$\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인지이론 기반 건강교육 프로그램이 대사증후군을 가진 대학생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on the Health Promo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Metabolic Syndrom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4, 2013년, pp.451 - 460  

김희걸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  이진화 (가천대학교 학생건강증진연구센터) ,  김지윤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  박현주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오현숙 (가천대학교 응용통계학과) ,  이원재 (가천대학교 글로벌헬스경영학과) ,  김은애 (가천대학교 글로벌헬스경영학과) ,  정혜경 (가천대학교 글로벌헬스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ects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on university students with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88 students who had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은 건강행위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역동성과 행위변화를 증진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으로, 건강행위는 인지를 포함하는 개인의 요소, 행동과 관련된 요소, 환경의 요소 등 세 요소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만들어진 역동적 · 상호적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며(Bandura, 1986), 강조하고 있는 주요 개념은 환경, 상황, 행동능력, 결과기대, 결과기대치, 자기통제, 관찰학습, 강화, 자기효능, 정서적 대처, 상호결정론이 있다(Glanz, Rimer, & Viswanath, 2008). 대학은 전문가 집단과 주요 자원의 집약체로서 학생 개인의 인지적 요소에 영향을 미쳐 건강행위변화를 증진시킬 수 있는 주요한 환경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 교양강좌로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건강에 관한 자기효능감을 주요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Bandura (1986)의 사회인지이론을 기반으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가진 대학생을 위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대학생의 건강한 학교생활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되었다.
  • 이를 위해 대사증후군에 대한 통계자료, 사례 등을 제시하였으며, 대사증후군의 심각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몇 명의 학생들이 발표할 수 있는 시간을 할애하여 격려와 지지를 제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목표 달성을 위한 의지를 심어주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학생들에게 중간고사 이전에 학생들의 과거 성공 경험에 대한 발표를 준비하게하여 자기 자신의 성공경험을 다른 학생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환경적 요인을 조성하였다.
  • 또한, 이러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보건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신들의 건강문제를 스스로 인식하여, 자가건강관리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때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바람직한 건강행위를 실천하는데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Park, Park, & Kwon, 1996), 자아존중감을 통해 본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건강교육 프로그램은 단순한 지식전달에 치우친 교수법보다는 성취적 경험과 언어적 설득을 제공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대리경험을 습득하여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대상자의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실험 설계이다.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인지이론 기반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대학의 정규교양강좌로 개설하여 15주간 적용한 효과를 확인하여 보다 효과적인 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인지이론을 기반으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을 강화함으로써 향후 건강한 대학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가급적 많은 학생들에게 건강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대규모 강좌를 통해 중재를 실시하였으나 보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찾기 위해서는 몰입도가 높은 소규모 강좌를 통한 학생들의 건강증진도 시도해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개별 상담 건강원스톱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자원을 이용한 대학생의 지속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히 기존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건강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대학생에게 있어서,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동기화로 환원되어 운동의 중요한 효과로 나타나며(Choi & Lee, 1999), 건강증진 행위에 주요한 결정 요인으로 작용하고(Lee, 1997),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Choi & Moon, 2005). 본 프로그램은 건강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강화하기 위하여 학생이 성공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현실적으로 성취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게 하고, 유사한 문제를 가진 또래 학생의 관찰을 통해 대리경험을 시도하며, 교육을 통한 자신감 고무와 설득적 의사소통 기술을 적용하는 전략을 이용하고자 한다.
  • 이 때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바람직한 건강행위를 실천하는데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Park, Park, & Kwon, 1996), 자아존중감을 통해 본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실험군에서 건강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사전에 비해 사후 에 유의하게 증가한 점은 다음과 같은 원인에서 기인했을 수 있다. 타 연구에서는 특별한 건강문제가 파악되지 않은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으로 인해 건강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큰 학생을 대상으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는 본 연구를 실시한 대학교가 자체적으로 초기 성인기에 있는 대학생의 예방적 건강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자체적으로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위험요인이 있는 학생을 선별하여 관리차원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갖추어졌기 때문이다.
  • 교수법은 사회인지이론의 주요개념인 자기효능을 기반으로 하여 건강교육(성취 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자기건강관리 계획서 작성 및 성공적 건강증진 자기평가 보고(성취경험, 대리경험)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행동 수행력 강화를 위하여 첫 번째 시간에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생활습관 중에서 자신이 특히 관심이 있는 습관에 대해 규명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였고, 이에 대한 개인적 및 환경적 중재자가 무엇이 될 것인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사증후군에 대한 통계자료, 사례 등을 제시하였으며, 대사증후군의 심각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의 주요 개념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자기효능감은 어떤 결과를 얻고자 하는 행동수행 신념으로 자신감의 강도를 의미하며, 자신감은 능력에 대한 개인의 믿음이다. 자기효능의 주요 개념에는 성취감, 설득, 대리경험, 생리적 상태 조절이 있다(Bandura, 1997). 따라서 자기효능감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행동을 얼마나 잘 조직하고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판단과 관계를 가진다.
사회인지이론이란? 한편,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은 건강행위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역동성과 행위변화를 증진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으로, 건강행위는 인지를 포함하는 개인의 요소, 행동과 관련된 요소, 환경의 요소 등 세 요소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만들어진 역동적 ․ 상호적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며(Bandura, 1986), 강조하고 있는 주요 개념은 환경, 상황, 행동능력, 결과기대, 결과기대치, 자기통제, 관찰학습, 강화, 자기효능, 정서적 대처, 상호결정론이 있다(Glanz, Rimer, & Viswanath, 2008). 대학은 전문가 집단과 주요 자원의 집약체로서 학생 개인의 인지적 요소에 영향을 미쳐 건강행위변화를 증진시킬 수 있는 주요한 환경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 교양강좌로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건강에 관한 자기효능감을 주요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사증후군의 특징은? 대사증후군은 생활습관 요인들이 유병률의 원인으로 영향을 미치며, 심혈관계 질환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Zhu, St-Onge, Heshka, & Heymsfield, 2004),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아진다(Park et al.,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 M., Ahn, Y. O., & Park, B. J. (1994). Association of stress level with smoking amounts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7 (1), 1-10. 

  2.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 Bandura, A. (1997). Self 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man. 

  4. Cha, E. S., Shin, Y. A., & Kim, H. Y. (2008). A feasibility study of an exercise intervention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among overweight and obese colleg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4), 704-714. 

  5. Choi, E. S., & Lee, M. R. (1999).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fatigue, perceived health state, exercise-related affect,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acy -from the sampl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6), 1254-1262. 

  6. Choi, J. M., & Moon, I. O. (2005).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on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1 (2), 105-113. 

  7.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 Glanz, K., Rimer, K. B., & Viswanath, K. (2008).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4/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9. Goodstat, M. S. (1986). School-based drug education in North America: What is wrong? what can be alone? Journal of School Health, 56 (7), 278-281. 

  10. Han, K. S. (2005).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3), 585-592. 

  11. Hur, H. K., Kim, G. Y., Park, S. M., & Shin, Y. H. (2003). Effects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self efficacy in sexuality, drinking, and smoking among college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 (2), 19-33. 

  12. International Diabetes Institute.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Retrieved March 5, 2013, from http://www.scribd.com/doc/33508685/Obesity-Guidelines-for-Asia-Pacific. 

  13. J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107-129. 

  14. Jung, C. H., Park, J. S., Lee, Y. W., & Kim, S. W. (2002).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Medicine, 63 (6), 649-659.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Cheongwon: Author. 

  16. Lee, M. R. (1997).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7 (1), 156-168. 

  17. Min, S. Y., & Park, K. S. (2007).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program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 (4), 562-571. 

  18. Ministry of Education. (2012). Number of student in junior col lege course and undergraduate course. Retrieved September 23, 2013, from http://www.moe.go.kr 

  19. Moon, I. S. (2002). The effect of the smoking-cessation education program to the solider's smoking knowledge, attitude, and the change of the smoking-cessation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2).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ment panel III). Retrieved March 5, 2013, from http://www. heart.org/HEARTORG/Conditions/More/MetabolicSynd rome/Symptoms-and-Diagnosis-of-Metabolic-Syndrome_UCM_301925_Article.jsp 

  21. Park, H. S., Oh, S. W., Kang, J. H., Park, Y. W., Choi, J. M., Kim, Y. S., et al. (2003).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with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 -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2 (1), 1-14. 

  22. Park, J. S., Park, C. J., & Kwon, Y. S. (1996).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on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 (2), 359-371. 

  23. Research Center for Student Health Promotion. (2012). Research center for student health promotion activity report. Unpublished manuscript, Gachon University at Gyunggi-do. 

  2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Shin, H. S., & Paik, S. N. (2003). Body image,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college female students -normal and overweigh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3), 331-338. 

  26. Shin, S. R. (1996).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elf-regulatory efficacy promoting program and it's effect on adolescent smok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Song, J. Y. (2008). Perception of and pattern of alcohol consumption and their effects on health-related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Seoul. 

  28. Song, M. R., & Park, K. A. (2001). An effect of the health education for health promotion on college students.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 (2), 298-307. 

  29. Statistics Korea. (2012). Number of estimated population. Retrieved September 23, 2013,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 

  30. Zhu, S., St-Onge, M. P., Heshka, S., & Heymsfield, S. B. (2004). Lifestyle behaviors associated with lower risk of having the metabolic syndrome. Metabolism, 53 (11), 1503-15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