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사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s for Preventing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 Financial Corporations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4 no.4, 2014년, pp.109 - 116  

정기석 (영동대학교 정보통신보안학과)

초록

올 들어 카드3사를 비롯한 개인금융정보 유출 사건이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다. 이는 개인정보의 암호화 미비와 인적 보안의 태만 등 원칙을 지키지 않은데 그 원인이 있다. 또 유출된 불법정보를 활용해 영업을 하는 모집인들이 수요처로 작용하는 것도 유출 원인중 하나로 분석되고 있다. 정보 유출은 개인에게는 정신적 피해와 함께 2차 피해를 줄 수 있으며 해당 금융사에는 영업 손실을 가져올 뿐만이 아니라 신뢰성을 악화시키고 나아가 지금까지 쌓아온 신용사회의 근간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철저한 재발방지가 요구된다. 이에 정부에서는 사후제재강화와 개인정보 수집 보유 제공 제한을 골자로 하는 금융분야 정보유출 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하기에 이르렀고 국회에서는 관련법 개정안 심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유출의 원인을 분석하고 정부 대책의 실효성에 대해 따져보고 정보유출방지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 financial corporations including three card corporations has occurred constantly this year. It is due to incomplete encryption system and negligent personal security. Solicitors are known as a cause of information leakage because they operate with leaked inform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금융정보유출은 회사에 수익성 악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신용사회의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방지대책을 철저히 하여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금융정보의 유출 원인과 금융보안관리 실태를 알아보고 정부대책의 실효성에 대해 따져보고 정보유출 방지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융분야개인정보유출 방비를 위해 정부는 어떤 대책을 발표했나요? 카드모집인이나 대출모집인등이 유출된 불법정보를 영업에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카드 3사 사건이후 금융회사 고객정보유출 재발방지 대책[5], 개인정보 불법유통·활용차단조치[6]를 발표했고 이들을 종합해서 금융분야개인정보유출 재발방지 종합대책[7]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개인금융정보 유출사고에 대한 예로는 무엇이 있나요? KB국민, 롯데, NH농협 등 카드3사의 정보유출[1], 보험사GA 고객정보유출[2], 포스단말기관리업체 서버에서 신용카드정보 유출[3], 농협생명 정보유출[4] 등 개인금융정보 유출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개인금융정보를 필요로 하는 수요가 그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개인금융정보 유출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KB국민, 롯데, NH농협 등 카드3사의 정보유출[1], 보험사GA 고객정보유출[2], 포스단말기관리업체 서버에서 신용카드정보 유출[3], 농협생명 정보유출[4] 등 개인금융정보 유출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개인금융정보를 필요로 하는 수요가 그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카드모집인이나 대출모집인등이 유출된 불법정보를 영업에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카드 3사 사건이후 금융회사 고객정보유출 재발방지 대책[5], 개인정보 불법유통·활용차단조치[6]를 발표했고 이들을 종합해서 금융분야개인정보유출 재발방지 종합대책[7]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금융위, "신용카드업자 고객정보 유출관련 현황 및 대응 방안", 보도자료, 2014.1.8. 

  2. 박해욱, "보험사GA서도 개인정보 유출", 서울경제신문, 2014.3.25. 

  3. 이동현, "카드 가맹점 단말기 해킹해 고객정보 털었다.", 한국일보, 2014.4.12. 

  4. 강지원, "이번에 농협생명...자고나면 터지는 정보유출" , 한국일보, 2014.4.17. 

  5. 금융위, "금융회사 고객정보 유출 재발 방지 대책", 보도자료, 2014.1.22. 

  6. 금융위, "개인정보 불법유통,활용차단 조치 시행", 보도자료, 2014.1.24. 

  7. 금융위, 기획재정부, 미래부, 안전행정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감독원, "금융분야 개인정보 유출재발방지 종합대책", 보도자료, 2014,3.10 

  8. 손철, "금융당국 IT 보안관리 총체적 부실", 서울경제, 2014.4.18. 

  9. 강지원, "족쇄 풀리는 카드 3사 - 600만 이탈고객잡아라.", 한국일보, 2014.5.12. 

  10. 강지원, "금융사 3곳중 2곳 CISO 없어요", 한국일보, 2014.4.14. 

  11. 이호정, "KB금융지주, CEO 스코어 문제 제기후 CISO 제도 첫 개편", The CEOScoreDaily, 2014.4.21. 

  12. 박윤선, "다시 늘어난 카드 모집인", 서울경제, 2014.4.11. 

  13. 박준서, 이지훈 "대출중개업 초토화__올들어 대출모집인 절반 업계 떠나", 한국경제, 2014.4.18. 

  14. 김현희, "'주민등록번호 암호화' 개인정보보호법개정_금융사 비상", 파이낸셜 뉴스, 2014.3.2. 

  15. 사설 , "금융권 암호화 늦출 일 아니다", 디지털타임스, 2014.4.17. 

  16. 앨런 케슬러, "개인정보유출 대재앙 막으려면", 서울경제, 2014.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