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PU 채란계절이 한우의 난자 품질 및 발달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lection Seasons on the Oocyte Quality and Developmental Competence of Oocytes Derived from Korean Native Cows (Hanwoo) by Ovum Pick-Up 원문보기

Journal of embryo transfer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v.29 no.3, 2014년, pp.265 - 271  

김성수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축산학전공) ,  최병현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축산학전공) ,  조현태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축산학전공) ,  진종인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축산학전공) ,  하아나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축산학전공) ,  민찬식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  조규완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  공일근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축산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한우를 공란우로 사용하여 OPU 방법으로 가장 더운 계절의 hot season과 선선한 cool season의 두 계절의 차이에 따른 생성된 난포의 수, 난자 회수율, 난자 등급율, 수정율 및 배반포 발달 능력을 분석하여, 두 계절이 공란우의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1. 계절의 영향이 OPU 공란우의 난포 생성 수에 미치는 결과는 난포 생성 개수는 1154개($18.32{\pm}2.26$), 971개($15.41{\pm}3.34$)로 hot season 그룹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2. 계절에 따른 난자 수 및 난자 회수율은 hot season 그룹의 475개($7.54{\pm}3.14$), 41.16%로 cool season 그룹 448개($7.11{\pm}3.42$), 46.14%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3. OPU를 통하여 회수된 두 계절별 난자 등급은 Grade A는 Hot season 그룹 110개($1.75{\pm}1.86$), Cool season 그룹 63개($1.00{\pm}1.46$)로 hot season 그룹이 cool season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하지만 다른 등급인 Grade B는 87개($1.38{\pm}1.60$) vs. 97개($1.54{\pm}1.39$), Grade C는 166개($2.63{\pm}2.43$) vs. 170개($2.70{\pm}2.04$), Grade D는 112개($1.78{\pm}2.65$) vs. 118개($1.87{\pm}1.86$)로 hot season과 cool season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계절에 따른 체외 수정 후의 수정률은 hot season과 cool season 각각 242(66.67%)와 209(63.3%), 배반포 발달율 214(58.95%) vs. 188(56.97%)로 수정률과 배반포 발달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로 계절에 따른 영향에 의해 공란우의 난포생성수와 A등급의 난자 출현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나머지 등급의 난자 출현율, 수정률 및 배반포 발달율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계절의 차이로 인한 한우 공란우의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plementation of smart embryo technologies in cattle e.g. ovum pick-up followed by in vitro embryo production (OPU-IVP). Seasonal variation is important factor for follicular growth, oocytes quality, quantity and developmental competence. Therefore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한우를 공란우로 사용하여 OPU 방법으로 가장 더운 계절의 hot season과 선선한 cool season의 두 계절의 차이에 따른 생성된 난포의 수, 난자 회수율, 난자 등급율, 수정율 및 배반포 발달 능력을 분석하여, 두 계절이 공란우의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OPU를 실시하는 계절의 온도에 따라 공란 우의 난포 생성, 난자 품질과 발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높은 기온이 소의 수정률 감소를 발생시키는 까닭은 무엇인가? 또한, 소의 배아 생존율은 시원한 계절보다 더운 계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Monty Jr와 Racowsky, 1987). 이러한 현상은 열 스트레스가 난포 발달의 스테로이드 생산과 유전자 발현의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난자의 품질을 저해하여 발생된다고 보고되었다(Hansen, 2007). 난자의 능력에 높은 온도의 직접적인 영향은 체외 배양에서 증명되었다.
Ovum Pick-Up 기술이 갖는 장점은 무엇인가? 초음파 유도 난자 채취 또는 Ovum Pick-Up(OPU)은 체외 배아 생산과 함께 점차적으로 소의 개량 및 육종 사업에 상용 화되고 있다(Van Wagtendonk-de Leeuw, 2006; Mapletoft와 Hasler, 2005). 이 기술은 생식 능력을 감소하지 않고, 같은 암소에서 난자를 반복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OPU 기술은 임신 초기에 채란을 하여도 태아의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는다(Meintjes 등, 1993). 하지만 새로 생겨나는 난포의 수는 계절에 따라 다르다는 보고(McNatty 등, 1984; Boni 등, 1997)와 OPU 기술로 체외 생산된 배아의 비율도 채란 전 열스트레스에 노출된 소에서 난자를 회수할 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orres-Júnior 등, 2008).
여름 동안 도축된 젖소의 난포에서 채취된 난자는 체외에서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고온으로 인한 열 스트레스는 OPU를 사용하여 회수된 난자의 발달 능력과 품질을 감소시 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Rocha 등, 1998). 또한 여름 동안에 도축된 젖소의 난포에서 채취된 난자는 체외 성숙(IVM)과 체외 수정(IVF) 후 배반포 발달 능력이 감소되는 것이 입증되었다(Al-Katanani 등, 2002). 또한 젖소에서 온습도 지수(Temperature humidity index: THI)가 71 기점으로 수정률이 감소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Bruno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Katanani Y, Paula-Lopes F and Hansen PJ. 2002. Effect of season and exposure to heat stress on oocyte competence in Holstein cows. J. Dairy Sci. 85:390-396. 

  2. Badinga L, Collier R, Thatcher W and Wilcox C. 1985. Effects of climatic and management factors on conception rate of dairy cattle in subtropical environment. J. Dairy Sci. 68:78- 85. 

  3. Boni R, Roelofsen M, Pieterse M, Kogut J and Kruip T. 1997. Follicular dynamics, repeat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follicular recruitment in cows undergoing repeated follicular puncture. Theriogenology 48:277-289. 

  4. Bruno RG, Rutigliano H, Cerri RL, Robinson PH and Santos JE. 2009. Effect of feeding yeast culture on reproduction and lameness in dairy cows under heat stress. J. Dairy Sci. 113:11-21. 

  5. Deb GK, Dey SR, Bang JI, Cho SJ, Park HC, Lee JG and Kong IK. 2011. 9-cis retinoic acid improves developmental competence and embryo quality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bovine oocytes through the inhibition of oocyte tumor necrosis factor-alpha gene expression. J. Anim. Sci. 89:2759-2767. 

  6. Fuquay JW. 1981. Heat stress it affects animal production. J. Anim. Sci. 52:164-174. 

  7. Hansen PJ. 2007. Exploitation of genetic and physiological determinants of embryonic resistance to elevated temperature to improve embryonic survival in dairy cattle during heat stress. Theriogenology 68:S242-S249. 

  8. Hernandez-Ceron J, Chase CC Jr and Hansen PJ. 2004. Differences in heat tolerance between preimplantation embryos from Brahman, Romosinuano, and Angus breeds. J. Dairy Sci. 87:53-58. 

  9. Kendrick KW, Bailey TL, Garst AS, Pryor AW, Ahmadzadeh A, Akers RM, Eyestone WE, Pearson RE and Gwazdauskas FC. 1999. Effects of energy balance of hormones, ovarian activity, and recovered oocytes in lactating Holstein cows using transvaginal follicular aspiration. J. Dairy Sci. 82: 1731-1741. 

  10. Mapletoft R and Hasler J. 2005.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in cattle:a review. Revue Scientifique et Technique- Office International des Epizooties 24:393-403. 

  11. McNatty KP, Hudson N, Gibb M, Henderson KM, Lun S, Heath D and Montgomery GW. 1984. Seasonal differences in ovarian activity in cows. J. Endocrinol. 102:189-198. 

  12. Meintjes M, Bellow M, Broussard J, Paul J and Godke R. 1993. Transvaginal aspiration of bovine oocytes from hormonetreated pregnant beef cattle for IVF. Theriogenology 39: 266(abstr.). 

  13. Merton J, De Roos A, Mullaart E, De Ruigh L, Kaal L, Vos P and Dieleman S. 2003. Factors affecting oocyte quality and quantity in commercial application of embryo technologies in the cattle breeding industry. Theriogenology 59: 651-674. 

  14. Monty Jr D and Racowsky C. 1987. In vitro evaluation of early embryo viability and development in summer heat-stressed, superovulated dairy cows. Theriogenology 28:451-465. 

  15. Payton RR, Romar R, Coy P, Saxton AM, Lawrence JL and Edwards JL. 2004. Susceptibility of bovine germinal vesiclestage oocytes from antral follicles to direct effects of heat stress in vitro. Biol. Reprod. 71:1303-1308. 

  16. Petyim S, Bage R, Hallap T, Bergqvist A, Rodriiguez-Martinez H and Larsson B. 2003. Two different schemes of twiceweekly ovum pick-up in dairy heifers:effect on oocyte recovery and ovarian function. Theriogenology 60:175-188. 

  17. Rensis FD and Scaramuzzi RJ. 2003. Heat stress and seasonal effects on reproduction in the dairy cow - a review. Theriogenology 60:1139-1151. 

  18. Rocha A, Randel R, Broussard J, Lim J, Blair R, Roussel J, Godke R and Hansel W. 1998. High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humidity decrease oocyte quality in Bostaurus but not in Bostaurus cows. Theriogenology 49:657-665. 

  19. Rosenkrans CF Jr, Zeng GQ, McNamara GT, Schoff PK and First NL. 1993.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in vitro as affected by energy substrates. Biol. Reprod. 49:459-462. 

  20. Roth Z. 2008. Heat stress, the follicle, and its enclosed oocyte: mechanisms and potential strategies to improve fertility in dairy cows. Reproduction in Domestic Animals 43:238-244. 

  21. Roth Z and Hansen PJ. 2004. Involvement of apoptosis in disruption of developmental competence of bovine oocytes by heat shock during maturation. Biol. Reprod. 71:1898-1906. 

  22. Torres-Junior JdS, Pires M, De Sa W, Ferreira AdM, Viana JHM, Camargo Luiz Sergio de Almeida Ramos AdA, Folhadella I, Polisseni J and De Freitas C. 2008. Effect of maternal heat-stress on follicular growth and oocyte competence in Bos indicus cattle. Theriogenology 69:155-166. 

  23. Van Wagtendonk-de Leeuw A. 2006. Ovum pick up and in vitro production in the bovine after use in several generations: a 2005 status. Theriogenology 65:914-925. 

  24. 손귀동, 송상현, 정우재, 박충생, 이정규, 공일근. 2008. 한우체내 수정란 이식후 수태율에 미치는 요인.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3:37-42. 

  25. 진종인, 권태현, 최병현, 김성수, 조현태, 공일근. 2010. OPU (Ovum Pick-up) 채란기간이 난자 및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5:15-20. 

  26. 최병현, 진종인, 권태현, 김성수, 조현태, 공일근. 2011. 한우와 젖소 대리모가 OPU 유래 한우 송아지의 체중과 임신 기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6:27-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