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산모사 프로그램을 이용한 은나노함유 촉진수송막의 프로필렌/프로판 분리특성 예측
Simulation of Separation Properties of Propylene/propane in Silver Nanoparticle Containing Facilitated Transport Membrane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4 no.5, 2014년, pp.409 - 415  

박채영 (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공정연구센터 자원분리회수연구그룹) ,  한상훈 (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공정연구센터 자원분리회수연구그룹) ,  김정훈 (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공정연구센터 자원분리회수연구그룹) ,  이용택 (충남대학교 바이오응용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공정 중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NCC(Naphtha Cracking Center) $C_3$ splitter를 대신하여 에너지 소비가 적고 친환경 공정인 막분리법을 이용하여 프로필렌/프로판의 분리특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막소재로는 프로필렌/프로판 분리에 대하여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진 촉진수송막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촉진수송막은 한양대학교에서 제조한 은나노입자가 함유된 VP/$AgBF_4$/TCNQ 용액을 에어레인에서 다공성 폴리이서이미드 중공사에 얇게 코팅하여 소형 중공사 막모듈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촉진수송막 모듈의 투과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프로필렌과 프로판에 대한 단일기체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분리막의 투과현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전산모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산모사 프로그램에 단일기체 테스트를 통해 얻어진 투과도와 선택도를 이용하여 95/5 vol% $C_3H_6$ / vol% $C_3H_8$ 혼합가스를 공급하였을 경우, 공급측 및 투과측 압력 변화에 따른 투과측 프로필렌의 농도가 99.5 vol%를 유지하는 단일 분리막 공정을 설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separate propylene and propane using membrane process instead of NCC(Naphtha Cracking Center) $C_3$ splitter. Membrane process is a low energy consumption and eco-friendly process while $C_3$ splitter requires high energy consumption in petrochemical pr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것은 대체공정인 NCC C3 splitter의 실제 가스 조성인 프로필렌 95%, 프로판 5%를 바탕으로 공정에 필요한 조건들을 나타낸 것이다. 25℃ 온도에서 공급 압력을 단계적으로 5 atm에서 20 atm까지 증가시키고 투과부 압력을 1, 5, 10, 15 atm로 가정하여 전체 유량 14,000 Nm3/hr을 처리하여 95%의 프로필렌을 99.5% 이상으로 농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전산모사 프로그램에 공급 조성부터 공급유량까지의 값을 각각 입력하면 투과측으로 배출된 C3H6의 농도 및 유량, 막면적이 자동적으로 계산되어지고, 이 값들을 이용해 stage-cut과 회수율을 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산모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촉진수송막의 프로필렌/프로판의 분리성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단일 분리막공정을 설계하였다. 프로필렌의 투과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일기체 테스트를 하였고, 그 결과 프로필렌 투과도는 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유화학제품은 국내 제조업 분야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가? 석유화학제품은 2012년 국내 제조업분야에서 매출액 1위로 가장 큰 영향을 차지하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의 기초 원료인 에틸렌, 프로필렌은 매년 740만 톤, 560만 톤 생산되며 전체 석유화학산업에서 약 26.
에틸렌과 프로필렌은 어떤 과정으로 생산되는가? 에틸렌, 프로필렌은 Naphtha Cracker에서 나오는 에틸렌/에탄, 프로필렌/프로판 혼합물로부터 대부분 저온 증류하여 생산된다. 증류공정은 혼합물의 끓는점 차이에 의해 분리가 되며, 에틸렌/에탄, 프로필렌/프로판 혼합물은 끓는점 차이가 적기 때문에 분리를 위해서는 적어도 100번 이상의 기화⋅액화 과정을 되풀이하여야 한다.
석유화학제품의 기초 원료인 에틸렌, 프로필렌의 생산량은 어떠한가? 석유화학제품은 2012년 국내 제조업분야에서 매출액 1위로 가장 큰 영향을 차지하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의 기초 원료인 에틸렌, 프로필렌은 매년 740만 톤, 560만 톤 생산되며 전체 석유화학산업에서 약 26.5%를 차지하고 있다.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생산량은 전 세계적으로 연 5%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특히 중국에서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 Faiz and K. Li, "Polymeric membranes for light olefin/paraffin separation", Desalination, 287, 82 (2012). 

  2. Greenhouse gas reduction technology strategic roadmap 2011, KETEP (2011). 

  3. I. Pinnau and L. G. Toy, "Solid polyemr electrolyte composite membranes for olefin/paraffin separation", J. Membr. Sci., 184, 39 (2001). 

  4. Y. Pan, T. Li, G. Lestari, and Z. Lai, "Effective separation of propylene/propane binary mixtures by ZIF-8 membranes", J. Membr. Sci., 390, 93 (2012). 

  5. Z. D. Pozun, K. Tran, A. Shi, R. H. Smith, and G. Henkelman, "Why Silver Nanoparticles Are Effective for Olefin/Paraffin Separation", J. Phys. Chem. C, 115, 1811 (2011). 

  6. M. Naghsh, M. Sdeghi, A. Moheb, M. P. Chenar, and M. Mohagheghian, "Separation of ethylene/ethane and propylene/propane by cellulose acetate-silica nanocomposite membranes", J. Membr. Sci., 423, 97 (2012). 

  7. M. T. Ravanchi, T. Kaghazchi, and A. Kargari, "Separation of Propylene-Propane Mixture Using Immobilized Liquid Membrane via Facilitated Transport Mechanism", Sep. Sci. Technol., 44, 1198 (2009). 

  8. M. T. Ravanchi, T. Kaghazchi, and A. Kargari, "Selective Transport of Propylene by Sliver Ion Complex Through an Immobilized Liquid Membrane", IRan. J. Chem. Eng., 7, 28 (2010). 

  9. R. L. Burns and W. J. Koros, "Defining the challenges for C3H6/C3H8 separation using polymeric membrane", J. Membr. Sci., 211, 299 (2003). 

  10. D. K. Ko, J. H. Kim, S. T. Chung, and Y. S. Kang, "Analysis of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Through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Containing Silver Salts", Membrane Journal, 13, 239 (2003). 

  11. J. I. Lee, S. C. Jang, D. Y. Choi, J. H. Bang, H. S. Kim, and D. K. Choi, "Separation of Propylene/Propane using SPEEK-Ag+ Facilitated Transport Membrane", Korean Chem. Eng. Res., 46, 164 (2008). 

  12. J. Shen, J. Qiu, L, Wu, and C. Gao, "Facilitated transport of carbon dioxide through poly(2-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co-acrylic acid sodium) membrane", Sep. and Pur. Tech., 51, 345 (2006). 

  13. Y. S. Kang, K. H. Cha, and S. W. Kang, "The facilitated olefin transporting composite membrane comprising nanosized silver metal and ionic liquid", KR 10-2006-0037430, May 3 (2007). 

  14. Y. S. Kang, S. W. Kang, J. H. Kim, S. H. Moon, and J. H. Lee, "The facilitated olefin transporting composite membrane comprising nanosized silver oxide or copper oxide, and ionic liquid", Korea Patent 10-2008-0066670, June 29 (2010). 

  15. Y. S. Kang, S. W. Kang, H. Kim, J. H. Kim, J. O. won, C. K. Kim, and K. H. Char, "Interaction with Olefins of the Partially Polarized Surface of Silver Nanoparticles Activated by p-Benzoquinone and Its Imlications for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Adv. Mater., 19, 475 (2007). 

  16. J. H. Koh, S. W. Kang, J. T. Park, J. A. Seo, J. H. Kim, and Y. S. Kang, "Synthesis of silver halide nanocomposites templated by amphiphilic graft copolymer and their use as olefin carrier for facilitated transport membranes", J. Membr. Sci., 339, 49 (2009). 

  17. I. S. Chae, S. W. Kang, J. Y. Park, Y. G. Lee, J. H. Lee, J. O. Won, and Y. S. Kang, "Surface Energy-Level Tuning of Silver Nanoparticles for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50, 2982 (2011). 

  18. W. L. McCabe, J. C. Smith, and P. Harriott, "Unit operations of chemical engineering", pp. 846-853, M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s, Singapore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