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중대역 송신 시스템을 위한 단일 피드백 디지털 전치왜곡 기법
Digital Predistortion for Concurrent Dual-Band Transmitter Based on a Single Feedback Path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1 no.3, 2017년, pp.499 - 508  

이광표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윤민선 (KMW R&D) ,  정배묵 (KMW R&D) ,  정의림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이중 대역 송신시스템에서 비선형 전력증폭기를 선형화하기 위한 새로운 디지털 전치왜곡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자기 대역의 비선형뿐만 아니라 타 대역간의 비선형을 보상하기 위해 두 개의 피드백 경로가 요구되는데 이는 하드웨어의 복잡도와 비용을 증가시킨다. 반면 제안하는 전치왜곡 시스템은 한 개의 피드백 경로만을 사용한다. 따라서 기존 시스템에 비해 훨씬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제안하는 기법은 전치왜곡 계수를 얻기 위해서 한 개의 피드백 경로를 공유하여 두 대역의 전력증폭기 특성을 먼저 추정하고 추정된 전력증폭기 특성으로부터 전치왜곡 계수를 얻는다.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된 방식은 두 개의 피드백 회로를 구성한 기존 방식과 대등한 선형화 성능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ew digital pre-distortion technique to linearize power amplifier (PA) is proposed for concurrent dual-band transmitters. In the conventional dual-band DPD techniques, two independent dual-feedback paths are required to compensate nonlinear cross-products between different bands as well as the n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LTE (long term evolution) 규격 release 10 이상에서는 CA (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이용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 기술은 100MHz 이상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한 사용자에게 할당하여 고속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이나 RRH (remote radio head)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방안으로 한 개의 광대역 전력증폭기를 이용하여 이중대역 신호를 동시에 증폭하는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1-5].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중 대역 전송 시스템에서 한 개의 피드백 경로를 갖는 새로운 디지털 전치왜곡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 서는 단일 피드백 경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전력증폭기의 두 대역 출력 신호 중 한 대역의 출력신호 밖에 얻을 수 없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에서 전력증폭기의 특성은 다항식으로 모델링 한다. 여기서 Ko = 1이라 가정한다. 이중 대역 전송 시스템에서 fc2는 fc1의 정수배가 아니라고 가정하면 전력 증폭기 LB, UB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한 피드백 신호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치왜곡기 출력신호는 무엇으로 인해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믹서 (mixier)에 의해 각각 전송 주파수 대역으로 상향 변환되는가? 한 개의 전치왜곡기는 LB 왜곡 보상을 위해 사용되며 다른 하나의 전치왜곡기는 UB 왜곡 보상을 위해 사용된다. 전치왜곡기 출력신호는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에 의해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믹서 (mixier)에 의해 각각 전송 주파수 대역으로 상향 변환된다. 이렇게 주파수 변환된 신호는 합성기에 의해 더해진 후 광대역 전력증폭기에 의해 증폭된다.
전치왜곡 시스템의 특징은?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자기 대역의 비선형뿐만 아니라 타 대역간의 비선형을 보상하기 위해 두 개의 피드백 경로가 요구되는데 이는 하드웨어의 복잡도와 비용을 증가시킨다. 반면 제안하는 전치왜곡 시스템은 한 개의 피드백 경로만을 사용한다. 따라서 기존 시스템에 비해 훨씬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제안하는 기법은 전치왜곡 계수를 얻기 위해서 한 개의 피드백 경로를 공유하여 두 대역의 전력증폭기 특성을 먼저 추정하고 추정된 전력증폭기 특성으로부터 전치왜곡 계수를 얻는다.
LTE 규격 release 10 이상에서는 CA (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이용하는데 이 기술은 무엇인가? 특히 LTE (long term evolution) 규격 release 10 이상에서는 CA (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이용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 기술은 100MHz 이상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한 사용자에게 할당하여 고속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이나 RRH (remote radio head)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방안으로 한 개의 광대역 전력증폭기를 이용하여 이중대역 신호를 동시에 증폭하는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 Cidronali, N. Giovannelli, I. Magrini and G. Manes, "Compact concurrent dual-band power amplifier for 1.9 GHz WCDMA and 3.5 GHz OFDM wireless systems," in Proceedings of the 3rd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 Conference, Amsterdam, pp. 518-521, 2008. 

  2. M. Simon, et al, "A high performance dual band/dual mode CMOS RF transceiver for WiMAX and WLAN systems," in Proceedings of the 1th Wireless Technology Conference, Amsterdam, pp.81-84, 2008. 

  3. R. Negra, A. Sadeve, S. Bensmida and F. M. Ghannouchi, "Concurrent dual-band class-F load coupling network for applications at 1.7 and 2.14 GHz,"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II: Express Briefs, vol, 55, no. 3, pp. 259-263, Mar. 2008. 

  4. S. A. Bassam, C. Wenhua, M. Helaoui and F. M Ghannouchi, "Transmitter architecture for CA: Carrier aggregation in LTE-advanced systems," IEEE Microwave Magazine, vol. 14, no. 5, pp. 78-86, Jul. 2013. 

  5. J.H. Jeon, W.G. Yang and Y.C Ho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nal Multi-band Folded Monopole Antenna for Mobile Station,"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vol. 9, no. 1, pp. 16-20, Feb. 2011. 

  6. K. P. Lee, S. I. Hong and E. R. Jeong, "A Polynomial Digital Pre-Distortion Technique Based on Iterative Architec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IJECE), vol, 6, no. 1, pp. 106-112, Feb. 2016. 

  7. K. P. Lee and E. R. Jeong, "Robust Digital Predistortion in Saturation Region of Power Amplifi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IJECE), vol. 6, no. 1, pp. 99- 105, Feb. 2016. 

  8. L. Ding, Z. Yang and H. Gandhi, "Concurrent dual-band digital predistortion," Microwave Symposium Digest (MTT), 2012 IEEE MTT-S International. IEEE, pp.1-3, 2012. 

  9. P. Roblin, C. Quindroit, N. Naraharisetti, S. Gheitanchi and M. Fitton, "Concurrent linearization," IEEE Microwwave Magazine, vol. 14, no. 7, pp. 75-91, Nov. 2013. 

  10. S. A. Bassam, M. Helaoui and F. M. Ghannouchi, "2-D digital predistortion (2-D-DPD) architecture for concurrent dual-band transmitters," IEEE Transactions on Microwave Theory and Techniques, vol. 59, no. 10, pp. 2547-2553, Oct. 2011. 

  11. C. Quindroit, et al, "Concurrent dual-band digital predistortion for power amplifier based on orthogonal polynomials," Microwave Symposium Digest (IMS), 2013, IEEE MTT-S International. IEEE, pp. 1-4, 2013. 

  12. Y. J. Liu, W. Chen, J. Zhou, B. H. Zhou and F. M Ghannouchi, "Digital predistortion for concurrent dual-band transmitters using 2-D modified memory polynomials," IEEE Transactions on Microwave Theory and Techniques, vol. 61, no. 1, pp. 281-290, Jan. 2013. 

  13. S. H. Choi and E. R. Jeong, "Digital predistortion based on combined feedback in MIMO transmitters," IEEE Communications Letters, vol. 16, no. 10, pp. 1572- 1575, Oct. 2012. 

  14. S. Haykin, Adaptive Filter Theory, 4th edition, Ontario, Pearson Education, 2002. 

  15. A. A. M. Saleh, "Frequency-independent and frequencydependent nonlinear models of TWT amplifiers,"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vol. COM-29, no. 11, pp. 1715-1720, Nov.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