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VDF 중공사막의 표면친수화 후 PVA/PAM 용액의 코팅을 통한 복합막제조와 이의 물-에탄올계의 투과증발 분리
Preparation of Composite Membranes Via PVA/PAM Solution Coating onto Hydrophilized PVDF Hollow Fiber Membrane and Their Pervaporation Separation of Water-ethanol Mixture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3 no.4, 2013년, pp.312 - 318  

김지선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화학공학과) ,  박채영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화학공학과) ,  박헌휘 ((주)이엔이) ,  서창희 ((주)이엔이) ,  임지원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중공사막을 polyethylenimine (PEI)와 p-xylylene dichloride (XDC)를 이용해 친수화 시킨 후 poly(vinyl alcohol) (PVA)과 가교제인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 (PAM)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막을 제조하였다. 중공사막 표면의 코팅여부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통해 관찰하였으며, 막의 특성평가를 위해 물/에탄올 혼합액에 대한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급액 조성은 90 wt%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가교제 농도, 공급액과 반응온도 변화에 따른 투과도선택도를 측정하였다. 투과도는 반응온도 $100^{\circ}C$, PAM 농도 3 wt%, 공급액온도 $70^{\circ}C$에서 $1,480g/m^2hr$, 그리고 선택도는 반응온도 $100^{\circ}C$, PAM 농도 15 wt%, 공급액온도 $25^{\circ}C$에서 ${\alpha}_{W/E}=82$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hollow fiber membranes were hydrophilized using polyethylenimine (PEI) and p-xylylene dichloride (XDC), and poly(vinyl alcohol) (PVA) and poly (acrylic acid -co- maleic acid) (PAM) mixed solutions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PAM were coated onto PVDF membrane sur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대표적인 소수성 물질인 PVDF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선택층 코팅을 하기 전에 표면친수화를 위해서 PEI를 중공사 표면에 코팅하고 XDC로 가교하여 코팅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 선택층 복합막을 위한 코팅물질은 초순수에 PVA 3%를 넣어 80℃에서 6시간 이상 충분히 녹이고 가교제인 PAM을 PVA대비 3, 5, 10, 15 wt%로 첨가한 후 상온(약 24 ± 1℃)에서 하루 이상 충분히 교반시켰다. PEI를 이용하여 친수화된 PVDF를 만들어진 PVA/PAM 용액에 5분간 담금법으로 코팅한 다음 상온에서 하루 동안 건조시키고 건조된 막을 60, 80, 100℃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켜 가교하였다.
  • 5, 6과 7은 PVA/PAM을 이용하여 코팅한 PVDF 막의 가교제의 농도와 반응온도 변화에 따른 투과도와 선택도를 나타낸 것이다. 공급액의 조성은 90 wt%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공급액 온도는 25, 50, 70℃로 변화하여 실험하였다. Figs.
  • 다공성 PVDF막에 남아있을 불순물 제거를 위하여 에탄올을 이용하여 30분 동안 세척하고 표면 친수화를 위하여 1,000 ppm PEI수용액에 30분 동안 담궈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XDC를 아세톤에 용해시켜 담금법을 이용하여 6시간 동안 함침 시킨 후 25℃ 진공오븐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선택층 복합막을 위한 코팅물질은 초순수에 PVA 3%를 넣어 80℃에서 6시간 이상 충분히 녹이고 가교제인 PAM을 PVA대비 3, 5, 10, 15 wt%로 첨가한 후 상온(약 24 ± 1℃)에서 하루 이상 충분히 교반시켰다.
  • 제조된 복합막의 코팅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SEM 사진을 측정하였다. 막 시료를 일정하게 자른 후 수분 제거를 위해 진공오븐에서 일정 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금속판에 고정시킨 뒤 백금(Pt)코팅하여 FE-SEM(JEOL Model JSF-6340F, Tokyo, Japa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친수화되어진 막에 PVA와 PAM의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선택층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막의 투과선택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90 wt%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코팅용액의 PAM 농도, 반응온도, 공급액의 온도변화에 따라 투과 증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실험에 사용한 PVDF막은 선택층코팅을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전처리로 PEI로 코팅하고 XDC로 반응시켜 표면을 친수화 하였다. Figs.
  • 본 연구에서는 PVDF 중공사막 표면에 polyethylenimine (PEI)를 코팅한 후 p-xylylene dichloride (XDC)으로 반응시켜 표면을 친수화하였다. 선택층 코팅을 위해 친수성고분자 PVA와 가교제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 (PAM)를 사용하였으며 가교농도와 반응온도, 공급액인 에탄올수용액 온도 등의 실험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투과선택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선택층 복합막을 위한 코팅물질은 초순수에 PVA 3%를 넣어 80℃에서 6시간 이상 충분히 녹이고 가교제인 PAM을 PVA대비 3, 5, 10, 15 wt%로 첨가한 후 상온(약 24 ± 1℃)에서 하루 이상 충분히 교반시켰다.
  • 본 연구에서는 PVDF 중공사막 표면에 polyethylenimine (PEI)를 코팅한 후 p-xylylene dichloride (XDC)으로 반응시켜 표면을 친수화하였다. 선택층 코팅을 위해 친수성고분자 PVA와 가교제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 (PAM)를 사용하였으며 가교농도와 반응온도, 공급액인 에탄올수용액 온도 등의 실험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투과선택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PVDF 중공사막에 친수성 고분자인 PVA를 코팅하여 제조된 복합막의 코팅여부를 SEM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Fig. 2에 나타내었다. SEM 사진을 통해 PVDF 증공사막의 표면에 코팅 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코팅하지 않은 막의 표면보다 코팅한 막의 표면이 매끄러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 제조된 복합막의 코팅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SEM 사진을 측정하였다. 막 시료를 일정하게 자른 후 수분 제거를 위해 진공오븐에서 일정 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금속판에 고정시킨 뒤 백금(Pt)코팅하여 FE-SEM(JEOL Model JSF-6340F, Tokyo, Japa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지지체로 사용된 PVDF는 대표적인 소수성 물질로써 선택층 생성을 위한 코팅에 제약이 따라 이를 개선하고자 PEI를 이용하여 표면친수화를 수행하였다. 친수화되어진 막에 PVA와 PAM의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선택층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막의 투과선택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90 wt%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코팅용액의 PAM 농도, 반응온도, 공급액의 온도변화에 따라 투과 증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투과된 시료의 성분 분석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iGC 7200, DS SCIENCE IN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부터 물에 대한 선택도(α)를 계산하였다(식 (2) 참조).

대상 데이터

  • 다공성 PVDF 중공사막은 (주)이엔이로부터 제공받았으며 평균 기공크기는 0.04~0.06 µm이고 평균 기공도는 약 50%이다.
  • 표면 친수화를 위해 PEI (Mw =25,000)는 Aldrich, XDC (98%)는 Alfa Aesar, 아세톤은 Junsei사로 부터 각각 구입하였다. 선택층 복합막 제조를 위해 코팅물질로 사용한 PVA (Mw = 89,000 -98,000 (99+%))와 가교제로 사용된 PAM (Mw = 3,000)은 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중공사막 세척과 투과증발 공급액 제조를 위하여 사용한 에탄올은 J.
  • 선택층 복합막 제조를 위해 코팅물질로 사용한 PVA (Mw = 89,000 -98,000 (99+%))와 가교제로 사용된 PAM (Mw = 3,000)은 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중공사막 세척과 투과증발 공급액 제조를 위하여 사용한 에탄올은 J. T. Baker사의 1급 시약을 정제 없이 사용하였고 초순수는 Younglin Pure Water System (Seoul, Korea)으로 생산하여 사용하였다.
  • 06 µm이고 평균 기공도는 약 50%이다. 표면 친수화를 위해 PEI (Mw =25,000)는 Aldrich, XDC (98%)는 Alfa Aesar, 아세톤은 Junsei사로 부터 각각 구입하였다. 선택층 복합막 제조를 위해 코팅물질로 사용한 PVA (Mw = 89,000 -98,000 (99+%))와 가교제로 사용된 PAM (Mw = 3,000)은 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과증발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현재 투과증발 공정에서는 막의 기계적 강도를 위해 한외여과(ultrafiltration)막이나 기공의 크기가 정밀여과(microfiltration)막 정도를 가지는 비대칭 지지막 위에 밀도가 높은 구조의 고분자 활성층이 얇게 코팅되어 있는 복합막을 사용한다. 이 공정에서 중요한 점은 고분자 재료를 선택하는 부분이다. 그 이유는 투과증발 공정에서 분리는 막의 skin층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과 높은 친화성을 가진 물질로 코팅하여야 한다[8,9].
현재 투과증발 공정에서는 막의 기계적 강도를 위해 어떤 복합막을 사용하는가? 현재 투과증발 공정에서는 막의 기계적 강도를 위해 한외여과(ultrafiltration)막이나 기공의 크기가 정밀여과(microfiltration)막 정도를 가지는 비대칭 지지막 위에 밀도가 높은 구조의 고분자 활성층이 얇게 코팅되어 있는 복합막을 사용한다. 이 공정에서 중요한 점은 고분자 재료를 선택하는 부분이다.
투과증발은 언제 처음 상용화되었는가? 투과증발은 1980년대에 독일의 GFT사(현재 Sultzer사)에서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PVA)을 이용한 복합막을 개발하여 평판형모듈로 처음 상용화 하였고, 그 이후 여러 가지 막재료를 이용하여 알코올계 수용액을 분리하는 연구들이 행해졌다. 특히 에탄올 수용액의 경우 공비점 전후에서 증류법으로는 분리가 어렵기 때문에 고순도의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해 투과증발 공정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 Verhoef, A. Figoli, B. Leen, B. Bettens, E. Drioli, and B. Bruggen, "Performance of a Nanofiltration Membrane for Removal of Ethanol from Aqueous Solutions by Pervaporation", Sep. Purif. Tech., 60(1), 54-63 (2008). 

  2. K. Sato, K. Sugimoto, and T. Nakane, "Synthesis of Industrial Scale NaY Zeolite Membranes and Ethanol Permeating Performance in Pervaporation and Vapor Permeation up to 130 ${^{\circ}C}$ and 570 kPa", J. Membr. Sci., 310(1-2), 161-173 (2008). 

  3. L. M. Vane, V. V. Namboodiri, and T. C. Bowen, "Hydrophobic Zeolite-Silicone Rubber Mixed Matrix Membranes for Ethanol-Water Separation : Effect of Zeolite and Silicone Component Selection on Pervaporation Performance", J. Membr. Sci., 308(1-2), 230-241 (2008). 

  4. H. Sun, L. Lu, X. Chen, and X. Jiang, "Pervaporation Dehydration of Aqueous Ethanol Solution Using H­ZSM­5 Filled Chitosan Membranes", Sep. Purif. Tech., 58(3), 429-436 (2008). 

  5. L. Y. Jiang, T. Chung, and R. Rajagopalan, "Dehydration of Alcohols by Pervaporation Through Polyimide Matrimid ${\circledR}$ Asymmetric Hollow Fibers with Various Modifications", Chem. Eng. Sci., 63(1), 204-216 (2008). 

  6. J. M. Won, B. H. Ha, and H. S. Choi. "Separation of Aqueous Ethanol Solution Using PAA-PAN Composite Membrane Through Pervaporation.", Membrane Journal, 6(3), 182-187 (1996). 

  7. Y. M. Lee, S. Y. Nam, J. K. Yoo, and K. O. Yoo, "Dehydration of Alcohol Solutions Through Crosslinked Chitosan Composite Membranes III. Effect of Substrate, Neutralization and Active Layer Thickness on Pervaporation of Water/Ethanol Mixture", Membrane Journal, 6(4), 250 (1996). 

  8. O. Trifunovic and G. Tragardh, "The influence ofsupport layer on mass transport of homologous series of alcohols and esters through composite pervaporation membranes", J. Membr. Sci., 259, 122 (2005). 

  9. H. S. Choi, Y. T. Park, S. T. Nam, J. H. Jeon, and S. K. Lee, "The Preparation of a Polyimide Membrane for the Separation of Water-Acetic Acid Mixture through Pervaporation", Membrane Journal, 9, 215-220 (1999). 

  10. H. Y. Yu, Y. Xie, M. X. Hu, J. L. Wang, S. Y. Wang, and Z. K. Xu, "Surface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microporous membrane to improve its antifouling property in MBR: $CO_2$ plasma treatment", J. Membr. Sci., 254, 219-227 (2005). 

  11. B. Bae, B. H. Chun, and D. Kim, "Surface characterization of microporous polypropylenemembranes modified by plasma treatment", Polymer, 42, 7879- 7885 (2001). 

  12. H. I. Kim and S. S. Kim, "Plasma treatment of polypropylene and polysulfone supports for thin film composite reverse osmosis membrane", J. Membr. Sci., 286, 193-201 (2006). 

  13. T. Carroll, N. A. Booker, and J. Meier-Haack, "Polyelectrolyte-grafted microfiltration membranes to control fouling by natural organic matter in drinking water", J. Membr. Sci., 203, 3-13 (2002). 

  14. Y. Wang, J. H. Kim, K. H. Choo, Y. S. Lee, and C. H. Lee, "Hydrophilic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microfiltration membranes by ozone-induced graft polymerization", J. Membr. Sci., 169, 269-276 (2000). 

  15. J. S. Kang, J. K. Shim, H. Huh, and Y. M. Lee, "Colloidal adsorption of bovine serumalbumin on porous polypropylene-g-poly(2-hydroxyethyl metha crylate) membrane", Langmuir, 17, 4352-4359 (2001). 

  16. E. Y. Choi, B. Bae, and S. H. Moon, "Control of the fixed charge distribution in an ionexchange membrane via diffusion and the reaction rate of the monomer", J. Phys. Chem., B, 111, 6393-6390 (2007). 

  17. R. Q. Kou, Z. K. Xu, H. T. Deng, Z. M. Liu, P. Seta, and Y. Y. Xu, "Surface modification of microporous polypropylene membranes by plasma-induced graft polymerization of alpha-allyl glucoside", Langmuir, 19, 6869-6875 (2003). 

  18. H. M. Ma, R. H. Davis, and C. N. Bowman, "A novel sequential photoinduced living graft polymerization", Macromolecules, 33, 331-335 (2000). 

  19. A. H. M. Yusof and M. Ulbricht, "Polypropylenebased membrane adsorbers via photo-initiated graft copolymerization: optimizing separation performance by preparation conditions", J. Membr. Sci., 311, 294-305 (2008). 

  20. Q. Yang, Z. K. Xu, Z. W. Dai, J. L. Wang, and M. Ulbricht, "Surface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microporous membranes with a novel glycopolymer", Chem. Mater., 17, 3050-3058 (2005). 

  21. F. Yao, G. D. Fu, J. P. Zhao, E. T. Kang, and K. G. Neoh, "Antibacterial effect of surfacefunctionalized polypropylene hollow fiber membrane from surface-initiated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J. Membr. Sci., 319, 149-157 (2008). 

  22. Q. Yang, J. Tian, M. X. Hu, and Z. K. Xu, "Construction of a comb-like glycosylated membrane surface by a combination of UV-induced graft polymerization and surface-initiated ATRP", Langmuir, 23, 6684-6690 (2007). 

  23. H. Molisak-Tolwinska, A. Wencel, and Z. Figaszewski, "The effect of hydrophilization of polypropylene membranes with alcohols on their transport properties", J. Macromol. Sci., Pure Appl. Chem. 35, 857-865 (1998). 

  24. P. K. Kang and D. O. Shah, "Filtration of nanoparticles with dimethyldioctadecylammonium bromide treated microporous polypropylene filters", Langmuir, 13, 1820-1826 (1997). 

  25. H. C. Shih, Y. S. Yeh, and H. Yasuda, "Morphology of microporous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s studied dy gas permea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 Membr. Sci., 50, 299 (1990). 

  26. S. Munari, A. Bottino, and G. Capannelli, "Casting and perfomance of polyvinylidene fluoride based membranes", J. Membr. Sci., 16, 181 (1983). 

  27. V. Laninovic,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nonsolvent additive and properties of polyethersulfone membranes", Desalination, 186, 39 (2005). 

  28. J.-W. Rhim and Y.-K. Kim, "Pervaporation separation of MTBE-Methanol Mixtures using crosslinked PVA Membranes", J. Appl. Polym. Sci., 75, 1699-1707 (2000). 

  29. J. Chen, J. Li., J. Chen, Y. Z. Lin, and X. Wang, "Pervaporation separation of ethyl thioether/heptanemixtures by polyethylene glycol membranes", Separationand Purification Technology, 66, 3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