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re-service Teacher Librarian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5 no.3, 2014년, pp.321 - 348  

권선영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  박장순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과정을 체험하면서 느꼈던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실습과정 전반과 실습과정을 둘러싼 모든 환경을 총체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최근 교육실습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사서 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 구성요소는 '성장과정을 통한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의 형성', '진로설계에 대한 구체화와 실행전략', '실습경험을 통한 자기성장의 욕구', '조직문화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인지',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현실 직시'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요소는 시간적 흐름에 의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현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사서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환경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personal experience of Pre-Service Librarian Teacher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This helps us understand the overall process and diverse environment of Student Teaching Practice. We conducted in depth interview with participants who had re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실습 과정은 어떤 과정이라 할 수 있는가? 교육실습 과정은 교사로 이어지는 수많은 일련의 단계적 과정에서 실제 경험을 해보는 첫 단계로써 향후 교사의 전문성을 함양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실습이란 무엇인가? 교육실습은 교원 양성교육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현직 경험을 통해 교사로서 필요한 다양한 요건들을 갖추어 주고자 하는 취지에서 시행되어 온 전통적인 교직 준비 프로그램 과정중 하나이다(김병찬 2005, 50). 교육실습은 교수-학습 절차를 보다 계획적으로 수립하고 수업기술 및 학습지도에 향상을 가져오며 교사로서의 올바른 교직관과 교직에 대한 체험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중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실습과정을 체험하면서 느꼈던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실습과정 전반과 실습과정을 둘러싼 모든 환경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이를 위해 가장 최근 교육실습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사서 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 구성요소는 '성장과정을 통한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의 형성', '진로설계에 대한 구체화와 실행전략', '실습경험을 통한 자기성장의 욕구', '조직문화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인지',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현실 직시'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요소는 시간적 흐름에 의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현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사서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환경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창숙. 2007. 교생들이 관찰 경험한 중학교 지리 수업.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2): 201-219.(Kang, Chang Sook. 2007.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on Geography Teaching as a Participant Observer in the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3(2): 201-219.) 

  2. 교육통계서비스 [인용 2014. 5. 20].(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cited 2014. 5. 20].) 

  3. 김경배. 1996. 교육실습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4. 김병찬. 2003. 사범대생들의 사범대학 진학 동기와 적응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 57-83.(Kim, Byeong-Chan. 2003. "A Study on the Motiv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Entrance into Teachers College and the Process of Their Adapt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1): 57-83.) 

  5. 김병찬. 2005.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교육행정학연구, 23(4): 49-76.(Kim, Byeong-Chan. 2005. "A Study on the Meaning of Student Teaching of Student-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3(4): 49-76.) 

  6. 김성준. 2011. 사서교사 교육실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183-203.(Kim, Sung-Jun. 2011. "A Study on the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Practice Teaching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183-203.) 

  7. 김성준. 2011.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93-213.(Kim, Sung-Jun.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Librarians' Teaching Practice Program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193-213.) 

  8. 김수정. 2011. 자립초기 지적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 청소년복지연구, 13(4): 149-174.(Kim, Su Jung. 2011.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Mother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t the early Life Stage of independenc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3(4): 149-174.) 

  9. 김정태. 1988. 한국 중등학교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Kim, Jeong-Tae. 1988.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eaching Practice in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0. 김정현, 강명숙, 왕석순. 2009. 예비 중등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사로서의 자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1(4): 55-70.(Kim, Jung-Huyn, Kang, Myung-Sook and Wang, Seok-Soon. 2009. "Effect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Teaching Practice on Their Teacher Competence as Futu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4): 55-70.) 

  11. 김종성. 2006.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135-159.(Kim, Jong-Sung. 2006.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Contents and Strategies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4): 135-159.) 

  12. 김필성, 강현석. 2014.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A대학교중등학교예비교사들의 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0(1): 51-78.(Kim, Pil-sung and Kang, Hyeon-seok. 2014. "Research on Prelimina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1): 51-78.) 

  13. 나경은. 2012.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실천, 13(3): 269-289.(Na, Kyoung Eun. 2012. "Grounded Theory on Experience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3(3): 269-289.) 

  14. 나승일 외 2012.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 가이드. 파주: 교육과학사. 

  15. 박은숙. 1999.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실습 실태 및 교육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2(3): 129-143.(Park, Eun-Sook. 1999. "The Survey of Teaching Practice and the Factors of Satisfaction on Teaching Practi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2(3): 129-143.) 

  16. 박인옥. 2007. 중등.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관한 인식 조사. 조사시민연구, 39(3):185-212.(Park, Inock. 2007. "A Study on Seconday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Practice student teaching."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9(3): 185-212.) 

  17. 백순근, 함은혜, 이재열, 신효정, 유예림.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8(1): 47-69.(Baek, Sun-Geun, Ham, Eun Hye, Lee, Jae Yeol, Shin, Hyo Jeong and Yu, Ye Lim. 2007. "A Theoretical Inquiry on the Construct for Teaching Competence in Secondary School." Asian Journal of Education, 8(1): 47-69.) 

  18. 심정신, 최미정. 2013. 간호대학 예비보건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7(4):pp. 107-114.(Shim, Chung-Sin and Choi, Mi-Jung. 2013. "A Qualitative Case Study on School Health Practice of Pre-service School Health Teachers in Nursing College." Journal of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7(4): 107-114.) 

  19. 엄미리, 엄준용. 2010.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인적자원관리연구, 17(1): 127-149.(Eom, Mi Ri and Uhm Joon Yong. 2013. "A Survey On Perception And Needs For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7(1): 127-149.) 

  20. 이남인. 2005.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철학과 현상학 연구, 24: 91-121.(Lee, Nam-in. 2005.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earch in Philosophy and Phenomenology, 24(1): 91-121.) 

  21. 이명훈. 2012. 기술과 교육실습의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49-74.(Lee, Myoung-Hun. 2012. "An Analysis Status of Educational Practice in Technology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2(2): 49-74.) 

  22. 이병기. 2008.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조사와 양성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51-72.(Lee, Byeong-Ki. 2008. "A Study on the Revision of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Survey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Teacher Libraria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51-72.) 

  23. 이은주, 이해영. 2009. 예비영양교사의 학교에서의 영양교육 경험 및 방향 설정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4): 440-450.(Lee, Eun-Ju, Lee and Hae-Young. 2009. "Experience and Vision of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Candidate in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4(4): 440-450.) 

  24. 정재은. 2012. 예비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실습체제 비교연구. 음악교육공학, 14: 19-40.(Jeong, Jaeeun. 2012. "A Study of Student Teaching Practicum Program for Music Teachers in Middle School: focused o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14: 19-40.) 

  25. 정진수. 2014.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의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153-171.(Chung, Jin Soo. 2014. "A Study on the Levels of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by Korean Teacher-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1): 153-171.) 

  26. 정한호. 2008. 비 사범계 교직이수과정 이수생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생태학적 고찰. 한국교육, 35(4): 25-58.(Jeong, Hanho. 2008. "An Ecological Perspective Study on Liberal Arts Students' Pre-Service Internship Course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5(4): 25-58.) 

  27. 한재영. 2012.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삶과 정체성 변화연구. 교사교육연구, 51(1): 75-89.(Han, JaeYoung. 2012. "Research on the Pre-Service Teachers' Life and Identify Change in a College of Education."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1): 75-89.) 

  28. 함명식. 2008.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과 사서교사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169-188.(Hahm, Myoung-Sik. 2008. "A Study on the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and the Roles of Teacher-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169-188.) 

  29. Colaizzi, Paul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In Valle, Ronald S. & King, Mark (Eds.) Existential-phenomenologist Alternatives for Psychology. (pp.112-137). New York: Oxford University. 

  30. Giorgi, Amedeo, 1983. "Concerning the Possibility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14(1): 129-169. 

  31. Lincoln, Yvonna S and Guba, Egon G. 1985. "The Impact of illness on later life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1: 65-172. 

  32. Patton, Michael Quinn.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inc, 

  33. Van Manen, Max.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