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목빗근의 근막통증에 키네시오테이핑 적용 후 호흡기능의 변화
Change of Pain and Breathing Function following Kinesio Taping of Myofascial Pain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6 no.5, 2014년, pp.302 - 307  

박용남 (대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배영숙 (가천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nges in pain and breathing function when kinesio taping is applied to patients with myofacial trigger points on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Methods: The subjects were 25 males and females aged 20 to 30 years (male 10, female 15). 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목빗근은 목의 자세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호흡 시에도 작용하는 근육이며, 목빗근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유발된 근막통증은 자세뿐만 아니라 호흡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성 근막통증이 있는 목빗근에 키네 시오테이핑을 적용하였을 때 통증과 호흡기능의 변화를 확인하여, 목빗근의 통증이 호흡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인지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목빗근에 근막통증이 호흡기능에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목빗근의 근막통증에 키네시오테이핑의 치료 중재는 통증완화 근육의 기능회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대상자의 목빗근에 발통점을 검사하기 위하여 대상자는 치료테이블에 바로 누운 상태에서 불편함이 있는 측에 목빗근을 검사하였다. 발통점의 4가지 진단기준은, 1) 근육에 긴장 띠가 촉진되고, 2) 긴장띠 내에 과민성 결절이 있고, 3) 결절을 촉진 시에 국소 연축(local twich)을 촉진하거나 확인할 수 있고, 4) 긴장성 띠를 촉진하면 연관통이 유발 된다.7목빗근에 발통점의 유무는 경험이 있는 물리치료사가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 7목빗근에 발통점의 유무는 경험이 있는 물리치료사가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발통점의 최소기준은1) 근육 내에 긴장성 띠나 결절을 촉진할 수 있고, 2) 근육의 긴장성 띠에 과민성 압통 부분이 있는 것으로 정하였다. 이러한 최소 기준은 근막통증을 확인하기 위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진단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들숨의 보조근육은 무엇인가? 호흡을 할 때 목 근육은 완전하게 이완되기가 힘들고 이로 인하여 목 근육을 들숨의 보조 근육이라 한다.2들숨의 보조근육은 목빗근, 목갈비근이며 이러한 근육에 피로가 증진되거나 통증이 유발되면 호흡기능장애(breathing dysfunction) 의 원인이 될 수 있다.5 목빗근은 들숨 시 가슴우리(thoracic cage) 벽에 작용하여 가슴뼈(sternum)와 갈비뼈(rib)가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들숨이 원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된다.
머리 전방전위 자세가 유발하는 것은? 머리 전방전위 자세는 좌식생활과 컴퓨터 사용의 증가로 인하여 많이 유발되는 자세이며, 이러한 자세는 목과 어깨 통증과 관련이 있고 근육의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다.1특히 근육의 불균형 중 목빗근(sternocleidomatoid: SCM muscle) 의 단축과 관련이 있다.
머리 전방전위 자세는 어떠한 근육 불균형과 관련이 있나? 머리 전방전위 자세는 좌식생활과 컴퓨터 사용의 증가로 인하여 많이 유발되는 자세이며, 이러한 자세는 목과 어깨 통증과 관련이 있고 근육의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다.1특히 근육의 불균형 중 목빗근(sternocleidomatoid: SCM muscle) 의 단축과 관련이 있다.2 목근육의 표면 근육인 목빗근은 목의 앞부분에 있으며 목의 표면근육 중 가장 큰 근육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ilva AG, Punt TD, Sharples P et al. Head posture and neck pain of chronic non-traumatic origin: a comparision between patients and pain-free persons. Arch Phys Med & Rehabil. 2009;90(4):669-74. 

  2.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 5th ed. Philadelphia, F.A.Davis. 2007: 443-55. 

  3. De Mayo T, Miralles R, Barrero D et al. Breathing type and body position effects on sternocleidomastoid and suprahyoid EMG activity. J Oral Rehabil. 2005;32(7): 487-94. 

  4. Kim SY, Kim NS, Jung JH et al. Effect of forward head posture on respiratory function in young adults. J Korean Soc PhysTher.2013;25(5): 311-15. 

  5. Kapreil E, Vourazanis E, Strimpakos N. Neck pain causes respiratory dysfunction. Medical hypotheses. 2008;70(5):1009-13. 

  6. Yokoba M, Abe T, Katagiri M et al. Respiratory muscle electromyogram and mouth pressure during isometric contraction. Respiratory Physiology & Neurobiology. 2003;137(1):51-60. 

  7. Simons DG, Travell JG, Simons LS. Travell& Simons'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2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9:94-173. 

  8. Han SC. Harrision P. Myofacial pain syndrome and trigger point management. Reg Anesth. 1997;22(1):89-101. 

  9. Demmerholt J. Dry needling-peripheral and central considerations. J Man Manip Ther. 2011;19(3):223-7. 

  10. Ge HY, Arendt-Nielsen L. Latent myofacial trigger point. Curr Pain Headache Rep. 2011;15(5):386-92. 

  11. Shirani AM, Gurkneeht N, Taghizadeh M et al. Low level laser therapy and myofascial pain dysfunction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Lasers Med Sci. 2009;24(5): 715-20. 

  12. Chatchawan U, Thinkhamrop B, Kharmwan S et al.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thai massage versus Swedish massage among patients with back pain associated with myofascial trigger points. J Bodywork & movement therapies. 2005;9(4):298-309. 

  13. Seo BD, Shin HS. The effect of neck exercises on neck and shoulder posture and pain in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Phys Ther. 2010;22(1):19-26. 

  14. Lee JH, Hwang KO, Park YH. Comparing the effect of stability exercise, ESWT, and taping for patients with myofacial pain syndrome of upper trapezius.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2):82-9. 

  15. Hsu YH, Chen WY, Lin HC et al. The effects of taping on scapular kinematics and muscle performance in baseball player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J Electromyogr Kinesiol. 2009:19(6):1092-9. 

  16. Gerwin RD, Shannon S, Hong C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in myofascial trigger point examination. Pain. 1997;69(1-2): 65-73. 

  17. Boonstra AM, Schiphorst Preuper HR, Reneman MF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for disability in patient in patient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Int J Rehabil Res. 2008;31(2):165-9. 

  18. Korean academy of cardiorespiratory physical therapy.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Seoul. Bum Moon education. 2013:223-31. 

  19. Ko DL. Taping & muscle releasing stimulation technique. Seoul. Pureunsol. 1997:96-9. 

  20. Lee MH, Park RJ. The effect of MFR and taping on pain level in whiplash injury. J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 2004;22(1): 81-96. 

  21. Dimitriadis Z, Kapreli E, Strimpakos N et al. Respiratory weak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Manual Therapy. 2013;18(3):248-53. 

  22. Czaplinski A, Yen AA, Appel SH. Force vital capacity(FVC) as an indicator of survival and disease progression in an ALS clinic population. J Neural Neurosurg Psychiatry. 2006;77:390-2. 

  23. Macgregor K, Gerlach S, Mellor R et al. Cutaneous stimulation from patella tape causes a differential increase in vasti muscle activity in people with patellofemoral pain. J Orthop Res. 2005; 23(2):351-8. 

  24. Shin HK, Kim HS, Lee OB. The effect of seat surface inclination on respiratory function and speech production in sitting.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1):29-3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