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측 뇌성마비아의 볼기 테이핑이 앉은 자세에서 골반경사 및 몸통 안정성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luteal Taping on Pelvic Alignment, Trunk Stability, and Balance during Sitting in Children with Unilateral Cerebral Palsy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6 no.5, 2014년, pp.308 - 314  

서혜정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중휘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최명진 (보바스어린이병원 물리치료실) ,  정혜수 (보바스어린이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luteal taping on pelvic alignment, trunk stability, and balance during sitting posture in children with unilateral cerebral palsy (CP). Methods: Thirteen children with unilateral cerebral palsy (six females. seven males; mean age 8.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 중 신체 비대칭이 주요 문제가 되는 편측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신체, 특히 골반의 대칭을 위한 중재 방법으로 볼기 테이핑을 적용하여 골반의 대칭성이 변화되고, 이로 인하여 몸통 안정성 및 조절 능력, 그리고 동적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TIS는 2010년 Saether와 Jorgensen17에 의해 개발된 도구로, 5∼12세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크게 3가지 영역인 정적 앉기 균형 및 동적 앉기 균형과 몸통의 협응 조절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설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측 뇌성마비 아동의 환측 엉덩이에 볼기 테이핑을 적용하는 것이 앉은 자세에서 골반의 대칭성, 몸통의 안정성 및 조절 능력 그리고 동적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볼기 테이핑 중재 후 TIS평가에서 정적 균형을 제외한 골반 외측 경사각, TIS 평가의 동적 균형 및 협응 조절력, 그리고 Modified functional reaching test로 평가한 동적 균형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란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미성숙한 뇌의 병변으로 인한 운동과 자세 조절에 장애를 일으키는 비진행성 질환을 말한다. 뇌성마비는 마비 유형에 따라 사지마비(quadriplegia), 삼지마비(triplegia), 양측마비(diplegia), 반마비(hemiplegia)로 분류된다.
균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서 몸통의 안정성이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자세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효율적인 균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몸통의 안정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몸통 조절은 팔다리 움직임을 하는 동안 안정적인 기저면을 제공하는데 필수적이고, 또한 손뻗기 시에 몸통을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한다.8 특히 외부의 지지가 없이 앉은 자세에서는 다른 자세와는 달리 엉덩관절이 중간 범위에 있고, 몸통이 상대적으로 인대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어려워 근육 활동에 의한 몸통의 안정성이 요구된다.9
뇌성마비는 마비 유형에 따라서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뇌성마비는 미성숙한 뇌의 병변으로 인한 운동과 자세 조절에 장애를 일으키는 비진행성 질환을 말한다. 뇌성마비는 마비 유형에 따라 사지마비(quadriplegia), 삼지마비(triplegia), 양측마비(diplegia), 반마비(hemiplegia)로 분류된다.1 그중 32%는 한쪽 팔, 다리 및 몸통의 근육들에서 근력약화와 강직을 보이는 반마비 장애를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ung JH, Kim SK. The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 on bilateral coordinati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 Single-subject resear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3;21(2):37-48. 

  2. Colver A, Sethumadhavan T. The term diplegia should be abandoned. Arch Dis Child. 2003;88(4):286-90. 

  3. Kim GS, Seo HD, Lee BH et al. The effect of core program exercise on dynamic balance of the patient with post-stroke hemiplegia.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2010;20(2):79-87. 

  4. Kim EJ, Hwang BY, Kim JH. The effect of core exercises on balance and walking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009;21(4):17-22. 

  5. Kim SH, Lee DK, Kim EK. Effect of aquatic exercise on balance and depression of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Ther. 2014;26(2):104-9. 

  6. Domagalska ME, Szopa AJ, Lembert DT. A descriptive analysis of abnormal postural patterns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Med Sci Monit. 2011;17(2):110-6. 

  7. Rodby-Bousquet E, Czuba T, Hagglund G et al. Postural asymmetries in young adults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13;55(11):1009-15. 

  8. Heyrman L, Desloovere K, Molenaers G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mpaired trunk control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Res Dev Disabil. 2013;34(1):327-34. 

  9. Macias ML. Abnormal sitting postures in children with neuromotor disabilities and use of the pelvic corset or molded seat for adaptative sitting. Pediatric Physical Therapy. 1998;10(2):74-7. 

  10. Choi HJ, Nam KW. The effect of weight-support treadmill training on the balanc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6):398-404. 

  11. Shin HK, Chung BI. The effect of functional strengthening exercise on standing balance in a child with cerebral palsy. Physical Therapy Korea. 2001;8(3):97-105. 

  12. Kilbreath SL, Perkins S, Crosbie J et al. Gluteal taping improves hip extension during stance phase of walking following stroke. Aust J Physiother. 2006;52(1):53-6. 

  13. Mostert-Wentzel K, Swart JJ, Masenyetse LJ et al. Effect of kinesio taping on explosive muscle power of gluteus maximus of male athletes: Original research. South Af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2;24(3):75-80. 

  14. Jaraczewska E, Long C. Kinesio taping in stroke: Improving functional use of the upper extremity in hemiplegia. Top Stroke Rehabil. 2006;13(3):31-42. 

  15. McConnell J. Recalcitrant chronic low back and leg pain-a new theory and different approach to management. Man Ther. 2002;7(4):183-92. 

  16. Yasukawa A, Patel P, Sisung C. Pilot stud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in an acute pediatric rehabilitation setting. Am J Occup Ther. 2006;60(1):104-10. 

  17. Saether R, Jorgensen L. Intra-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the trunk impairment scal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s Dev Disabil. 2011;32(2):727-39. 

  18. Saether R, Helbostad JL, Adde L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runk impairment scal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Res Dev Disabil. 2013;34(7):2075-84. 

  19. Katz-Leurer M, Fisher I, Neeb M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at the sub-acute stage poststroke. Disabil Rehabil. 2009;31(3):243-8. 

  20. Graham HK, Selber P. Musculoskeletal aspects of cerebral palsy. J Bone Joint Surg Br. 2003;85(2):157-66. 

  21. Oh TY, Kim JH, Lee EJ. The effects of skeletomuscular operation of lower limbs for functional reaching and lower limbs movement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agia. The Education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2009;52(2):243-59. 

  22. Domagalska-Szopa M, Szopa A. Body posture asymmetry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mild scoliosis and children with unilateral cerebral palsy. Biomed Res int. 2013;2013:462094. 

  23. Morrissey D. Proprioceptive shoulder taping. J Bodywork Movement Ther. 2000;4(3):189-94. 

  24. Crenna P, Inverno M. Objective detection of pathophysiological factors contributing to gait disturbance in supraspinal lesions.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London: John Libbey & Company Ltd. 1994:103-18. 

  25. Jang SH, Gong WT, Kim JS. The effect of using trunk control pelvic movement exercise in the sitting and standing positions on the relative impulse of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1;23(1):123-6. 

  26.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Marylan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443-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