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tial points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for Acne vulgaris and suggest them to the clinic setting Methods : We searched the papers that suggest patterns identification for Acne vulgaris through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 및 중국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빈도 순으로 여드름의 변증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증상을 비교함으로써 주요 감별점들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로 여겨지나 몇 가지 한계점들이 있다. 먼저 높은 빈도의 변증유형을 추출한 후 큰 범주로 묶는 과정에서, 변증마다의 세세한 차이점들을 간과한 측면이 있다.
  • 가 古典 및 중의학 서적을 통해 여드름의 변증 분류에 대해 고찰하였으나, 다양한 변증 분류들의 제시에 그쳐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이에 저자는 한국과 중국의 논문들을 토대로 각 문헌에서 제시한 변증 분류 및 증후 분석을 통해, 여드름의 변증 유형별 주요 증후를 객관적으로 제시하여 실제 임상 진료에 응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중국 문헌 Reference 정리에 도움을 주신 이연화 선생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드름이란 무엇인가? 여드름은 털피지샘단위(Pilosebaceous unit)의 만성염증 질환을 뜻하며 면포, 구진, 농포, 결절, 거짓낭(pseudocyst) 등 다양한 병리적 소견들이 나타난다. 또한 오목흉터(Pitted scar)나 비대흉터(Hypertrophic scar)와 같은 후유증이 남기도 하며1), 이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자신감 결여 등의 심리적 문제들을 야기할수도 있다.
여드름이 심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여드름은 털피지샘단위(Pilosebaceous unit)의 만성염증 질환을 뜻하며 면포, 구진, 농포, 결절, 거짓낭(pseudocyst) 등 다양한 병리적 소견들이 나타난다. 또한 오목흉터(Pitted scar)나 비대흉터(Hypertrophic scar)와 같은 후유증이 남기도 하며1), 이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자신감 결여 등의 심리적 문제들을 야기할수도 있다. 여드름은 특히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인안면과 흉배부에 호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로 청소년기에 발생하여 20대 중반 이후에는 대부분 호전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2).
변증의 특징은? 변증이란 望聞問切의 과정을 통하여 임상 증상과 신체 징후들에 대한 분석과 판단을 의미하며 한의학에서의 “證”이라 함은 발병원인이 되는 인자의 작용하에 인체에 생기는 증상 및 징후의 총합을 뜻한다3).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 환자를 변증함에 있어서 환자의 주관적 표현이나 의사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소지가 있으므로 객관적인 진찰이 어렵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이 수치화된 자료가 아니며, 證型의 객관적인 비교 분석이 어렵다는 문제점들이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6th Edition Dermatology. Seoul:Medbook, 2014:528 

  2. Korean Traditional Dermatology Association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Seoul:Sunwoo. 2007:486-90 

  3. Yim HJ, Kim SH, Lee SR, Jung IC.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Hwa-byung.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8;22(5):1071-7 

  4. Lee EH, Choi WC, Jung IC.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s for Depressio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24(4):435-50 

  5. Joo HA, Bae HJ, Hwang CY. A literature Study about Comparison of Eastern-Western Medicine on the Ac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2;25(2):1-19 

  6. Kim SJ, Yun CY. A Literatural Study on the Classifcation of Differential Diagnosis for Acne Treatment in Oriental Medical Papers. Korean Journal of Korean Medical Institute of Dermatology & Aesthetics. 2010;3(1):36-52 

  7. Lee SH. The Clinical Classification as Identify of Symptoms about 54 Cases of Patients with Acne. Korean Journal of Korean Medical Institute of Dermatology & Aesthetics. 2005;1(1):114-126 

  8. Jeong HY, Ji SY. Consideration of Acne Vulgaris in East and West medicines.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s. 1997;22(4):41-54 

  9. Kim KH, Gil HS, Choi BM. Comparison Consideration of Acne Vulgaris i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Journal of Korean Medical Gi-gong Academy. 2001;5(1):284-302 

  10. Kim DI, Lee TG. Management of female acne in OPD of Korean medicine OB. J of Orient Obstet Gynecol. 2001;14(3):80-100 

  11. Park SY, Na CS, Jeong WC, Lee JC. A Clinical Study for Effect of Herbal Cosmetics Containing Cortex Betulae Platyphyllae Extract Complex on Ac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3;26(3):1-19 

  12. Wu XX, Jia HS. The Syndrome and Treatment of Acne Vulgaris. Shanxi Correspondence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0(3):22-3 

  13. Gao LY. TCM Syndrome Typing and the Syndrome Differentiation Treatment on Acne Vulgaris. Chinsese Archiv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2;20(5):701 

  14. Wang HY, Zhou CH, Chen GQ. Relationship between TCM Syndrome Typing and Sex Hormone Levels in Women with Acne Vulagaris. New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05;37(5):24-5 

  15. Qu JH, Yaho WH, Wang P, Chen XY, Liu JS. Clinical Research and Experiment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CM Syndrome Typing and Facial Flora of Acne patients. Journal of Medical Research. 2006;35(10):100-1 

  16. Zhang JL, Yang HI, Bai X, Zhang JD, Wang YH.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vel of Sex Hormones in the Luteal of Menstrual Cycle in Women with Acne Vulagaris and Typing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in J Derm Venereol. 2009;23(1):672-80 

  17. Li ML, Yang L, Huang WJ, Zou ZM, Pan C, Lai MS. Discussion on TCM Pathology of Acne based on Prof.Yang Liu's Four Different Syndrome Typings. Lishizhen Medicine And Materia Medica Research. 2010;21(2):456-7 

  18. Li ML, Zou ZM, Huang WJ, Pan C, Lai MS, Yang L.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rof.Yang Liu's Academic Thoughts about Acne and Recent 20 years' Literature. Lishizhen Medicine And Materia Medica Research. 2010;21(4):985-7 

  19. Cang T, Wang P, Qu JH. Research Chen Tong-yun's Clinical Medicine and Syndrome Characteristic on Treatment of Acne. Beij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0;29(5):329-32 

  20. Zhou BK, Zhou T. Syndrome Differentiation and Treatment Experience of Acne. Journal of Liaoning university of TCM. 2010;14(7):13-5 

  21. Ouyang WJ, Chen XY, Chen XQ. Research Progresse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CM Syndrome Typing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Acne Vulgaris. Medical Recapitulate. 2013;19(23):4340-7 

  22. Peng QD, He HX. TCM Dialectically Nursing and Acupuncture Treatment for Acne vulgaris Patients in Puberty. Chinese Journal of Aesthetic Medicine. 2013;22(23):2325-7 

  23. Ahn SK, Jang KH, Song, JW, Cheon SH. Common Skin Disease. Seoul:Doctor's Book, 2009:114-145 

  24. Lee WG, Kim BH, Jeon SW, Kim KS, Nam HJ, Kim YB. The Latest Trends of Treatment for Acne Vulgaris in Pubmed.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1;24(2):41-56 

  25. Yu HJ, Lee SD, Choi IH. A Clinic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cne Distribution in the Jaw and Emmeniopath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4;17(2):87-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