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성 패션디자인 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독일의 교육 시스템 및 포르츠하임 조형대학과 베를린 예술디자인대학 교과과정 분석
Analysis of German Education System and program of Hochschule Pforzheim and Berlin University of Art for Fashion Design Curriculum Model to Develop Creativity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6 no.5, 2014년, pp.745 - 755  

김칠순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의류디자인학과) ,  장영수 (독일 고고학 연구소(비 유럽 문화 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school education system, higher education, and fashion education in Germany to find a good model for an desirable future education to lead a creative students in Korea, thereby reshaping curriculum. We also analysed the curriculum of the fashion design off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제경쟁력이 있는 창의적 패션 인재 양성의 필요성에 직면하여 이미 창의성 교육을 실천하며 국제 패션 산업을 새롭게 리드하고 있는 독일의 패션 교육 제도를 고찰하고 분석하여 그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방향과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연구문제 1: 독일의 초, 중고등 교육시스템을 살펴보며 그 특성을 확인한다.
  • 연구문제 2: 독일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패션디자인 대학의 일반적인 특성을 고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적 교육의 롤 모델로 인정받고 있는 국가는? 가속화되어가고 있는 글로벌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국제 경쟁력 있는 인재이며 이런 인재 양성은 창의적 교육에 의해 결정된다. 전통적으로 창의적 교육의 롤 모델로 인정받고 있는 독일은 기술과 디자인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런 독일의 국제 경쟁력은 창의적 인재 배출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Schirrmacher(2013)는 유럽의 유명 패션디자이너의 대다수는 독일에서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가속화되어가고 있는 글로벌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가속화되어가고 있는 글로벌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국제 경쟁력 있는 인재이며 이런 인재 양성은 창의적 교육에 의해 결정된다. 전통적으로 창의적 교육의 롤 모델로 인정받고 있는 독일은 기술과 디자인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런 독일의 국제 경쟁력은 창의적 인재 배출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독일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심층적 연구는 우리나라 패션교육에 새 방향을 제시하는데 큰 의미가 있는 이유? 패션디자인 영역에서 선진 유럽이나 미국 등의 패션디자인 교육을 분석하여 방향을 제시한 경우는 있었으나 창의성 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독일의 교육내용과 교과과정을 분석하거나 한국 교과과정에 적용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창의성 있는 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독일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심층적 연구는 우리나라 패션교육에 새 방향을 제시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mabile, T. (1989).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New York: Crown Pub. 

  2. Anzeiger der Universitat der Kuenste Berlin. (2013, December 03). Studienplan fur den Bachelorstudiengang " Design" an der Fakultat 2, Universitat der Kunste Berlin, 7-15. 

  3. AMD. (n.d.). Mode Design B.A. Retrieved June 24, 2014, from http://www.amdnet.de/programm/fashion/mode-design-b-a/ 

  4. 'Hamburg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Bachelor Degrees'. (2011, July 14). Retrieved June 24, 2014, from http://www.hawhamburg. de/english/haw-hamburg.html 

  5. 'Bologna-Prozess'. (n.d.). Retrieved June 24, 2014, from, http://de.wikipedia.org/wiki/Bologna-Prozess 

  6. Cha, Y. S. (2012). A case study on the design education developing creativity-focusing on the excellent foreign universities related to desig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37, 85-96. 

  7. Cho, J. M. (2010). Development of contents in fundamental design education for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265-1276. doi: 10.5850/JKSCT.2010.34.8.1265 

  8. Choi, K. H. (2011). A comparative study of fashion design education in Europe and Korea-Focus on the educational cases in the UK, France, Italy 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0), 1199-1214. doi: 10.5850/JKSCT.2011.35.10.1199 

  9. Choo, T. G. (1997). A study of fashion and textile design education in the U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3(0), 55-71. 

  10. Chun, H. J. (2000). The direction for fashion merchandising education. Fashion Business, 4(1), 87-96. 

  11. Chung, Y. A. (1992). The influence of Bauhaus on design curriculum in fine art college,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gi University, Suwon. 

  12. 'Creativity'. (n.d.). Creativity. Retrieved September 20, 2014, from http://ko.wikipedia.org 

  13. 'Hochschule Niederrhei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 (n.d.). Retrieved June 24, 2014, from, http://www.hs-niederrhein.de/faculties/textile-and-clothing-technology/?L0 

  14. 'Education in Germany'. (n.d.). Retrieved July 28, 2014, from http://en.wikipedia.org/wiki/Education_in_Germany 

  15. 'Esmod Berlin International University of Art for Fashion'. (n.d.). Study Programm. Retrieved June 24, 2014, from http://www.esmod.de/en/berlin/study-courses/ 

  16. 'Facts about the German higher education system'. (n.d.). Retrieved July 28, 2014, from http://www.entdecke-deutschland.diplo.de/__Zentrale_20Komponenten/Ganze-Seiten/en/Bildung/Studienlandschaft. html?site367613#tocList 

  17. Hochschule Pforzheim. (2013). Design PF, Der Studienfuehrer. Germany: Pforzheim. 

  18. Kang, C. K. (2007). Hochschulreform in Deutschland: Bachelor-und Masterstudiengang. Koreanische Zeitschrift fur deutschunterricht, 40, 356-377. 

  19. Kim, H. E. (1999). A study 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for the dept. of fashion design in colle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6, 89-108. 

  20. Kim, H. C., & Ahn, H. S. (2011). Integrated design education framework based in transdisciplinary approach of Technische Universitat Munchen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4(6), 80-97. 

  21. Kim, J. W. (2010). A study of the German cases on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of art-focusing on media as a tool for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of art-. Journal of Digital Design, 10(4), 242-252. 

  22. Kim, M. H. (2008). Fashion illustration curriculum an analysis in pursuit of better desig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6), 115-122. 

  23. Kim, S. H. (1996). A report on the fashion education in Ita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7, 147-161. 

  24. Ku, Y. S., Kim, J. W., Park, K. A., Park, K. H., & Choo, T. G. (1999). Analysis of fashion curriculum in 4-year college: Cross-national comparison of Korea, USA, UK, Japan & Hong Kong. Journal of the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11), 19-32. 

  25. Franken, R. E. (1993). Human motivation. 3rd Edition. Thomson Brooks/Cole: CA, USA. 

  26. 'German school system'. (n.d.). Retrieved June 24, 2014, from http://www.study-in-europe.kr/system/s02_02.php 

  27. Hasirci, D., & Demirkan, H. (2007).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cognition in creative decision making: a creativity model for enhancing the design studio proces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9(2-3), 259-271. 

  28. Lee, Y. J. (2003). A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marketing edu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6), 725-734. 

  29. Lee, Y. J. (2008). Comparison of clothing/textile area in university of education between Korea and Germany.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SKPAE), 14(4), 115-134. 

  30. Osborn, A. (1953). Applied Imagination. New York: Charles Scribner. 

  31. Park, C. J., & Lee, J. Y. (2012). A study on comparison of Bauhaus and Hochschule fur Gestaltung in Ulm in Germany.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6(1), 193-222. 

  32. Park, M. J. (2011). FIT summer program at SUNY in USA.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8, 85-97. 

  33. Schirrmacher, J. (2013, March 15). Study in Germany: fashion. Young Germany. Retrieved July 28, 2014, from http://www.younggermany.de/topic/study/courses-degrees/design-becoming-afashion-maker 

  34. UNESCO: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 (1993). Wilhelm Von Humboldt. Prospects: the quarterly review of comparative education, 23(3/4), 613-623. 

  35.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36. Yoon, Y. (1998). The role of foundation courses in industrial design in formation of german design im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ience of Design Studies, 11(1), 199-2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