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여성복의 KS 치수 표준 개정을 위한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Suggestion for the Revision of Standard Sizing System for Female Adult's Garment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6 no.5, 2014년, pp.776 - 784  

남윤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이정임 (배재대학교 의류패션학과) ,  정재은 (숭의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S K 0051(2009) was established in 1990 and revised in 1994, 1999, 2004 and 2009. Recently the structure of appare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re changing like as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increase of importing abroad apparel and increase of on-line shopping mall. Based on Social and econ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사회적, 경제적 상황을 근거로 현 시점에서 KS K 0051(2009) 성인 여성복 치수 표준의 내용과 활용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한국인의 인체 치수에 기본을 두고 소비자, 생산자 및 판매자 간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성인 여성복 치수 표준 개정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행 KS K 0051(2009)의 내용에 대한 검토와 국외 성인 여성복 치수 표준에 대해 고찰을 통해 개선점을 도출하고, 제6차 사이즈코리아의 성인 여성 인체치수 측정 결과를 활용하여 성인 여성복 치수 표준의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 한국 성인 여성의 인체 치수에 기본을 두고 소비자, 생산자및 판매자 간 소통이 원활하면서, 의류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국내 의류치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성인 여성복 치수 표준의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인 여성복 치수 표준의 제정과 개정의 과정은? KS K 0051(2009) 성인 여성복 치수 표준은 1990년에 제정되어 1994년, 1999년, 2004년, 2009년에 개정되었다. 1~3개 부위의 신체치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현행 성인 여성복 치수호칭 표기는 소비자가 본인의 신체치수를 사용하여 의복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 인지의 편이성을 높였다고 할 수 있다.
기본 인체치수 항목의 치수 간격에서 피트성이 필요한 경우의 치수 간격은 어떠한가? 치수 호칭에 사용되는 기본 인체치수 항목의 치수 간격을 비교해 보면, KS에서는 피트성이 필요한 의복과 피트성이 필요하지 않은 의복의 경우로 나누어 치수 간격을 제시하고 있다. 피트성이 필요한 경우 가슴둘레와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의 치수 간격은 3 cm, 키의 치수 간격은 5 cm를 사용하고 있으며, 피트성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가슴둘레와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키 모두 5 cm의 치수 간격을 사용하고 있다.
현행 성인 여성복 치수호칭 표기는 어떠한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KS K 0051(2009) 성인 여성복 치수 표준은 1990년에 제정되어 1994년, 1999년, 2004년, 2009년에 개정되었다. 1~3개 부위의 신체치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현행 성인 여성복 치수호칭 표기는 소비자가 본인의 신체치수를 사용하여 의복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 인지의 편이성을 높였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2002). BS EN 13402-2 Size designation of clothes-Part 2: Primary and secondary dimensions. London: BSI. 

  2.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2004). BS EN 13402-3 Size designation of clothes-Part 3: Measurements and intervals. London: BSI. 

  3. Chinese Standards. (2008). GB/T 1335.2-2008 Standard sizing systems for garments-Women. Beijing: SAC. 

  4. Nike. (n. d.). 'Women's size table. Retrieved August 20, 2012, from http://www.nikestore.co.kr. 

  5. Fila. (n. d.). 'Women's size table. Retrieved August 20, 2012, from http://www.fila.co.kr/2010/eshop/eshop.main.html. 

  6. Giordano. (n. d.). 'Size guide. Retrieved August 20, 2012, from http://www.giordano.co.kr. 

  7. Uniqlo. (n. d.). 'Women's size table. Retrieved August 20, 2012, from http://www.uniqlo.kr. 

  8.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77). ISO 3637 Size designation of clothes-Women's and girl's outwear garments. Geneva: ISO. 

  9.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81). ISO 4416 Size designation of clothes-Women's and girl's underwear, nightwear, foundation garments and shirts. Geneva: ISO. 

  10.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81). ISO/TR 10652 Standard sizing systems for clothes. Geneva: ISO. 

  11. Jung, M. S., Suh, C. Y., & Lee, J. H. (2014). A study on the suggestion for the revision of standard sizing system for infant clothing.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1), 118-127. doi:10.5805/SFTI.2014.16.1.118. 

  12.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9). KS K 0051 Sizing systems for female adult's garments. Seoul: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13.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9). KS K 0055 Sizing systems for elderly women's garments. Seoul: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14.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 The 6th Size Korea reports. Retrieved October 15, 2012, from http://sizekorea.kats.go.kr. 

  15.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n. (2001). JIS L 4005 Sizing systems for women's garments. Tokyo: J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