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복의 KS 치수체계 개정을 위한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Suggestion for the Revision of Standard Sizing System for Infant Clothing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6 no.1, 2014년, pp.118 - 127  

정명숙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서추연 (동아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이진희 (원광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학과, 생활자원개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d a revision of standard sizing system for infant clothing to provide exact information for consumers and manufacturers. The size designation was set up by compensating the defect of existing system. Basic body measurement and reference body measurement were analysed according to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패션 글로벌 마켓을 위한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국제적인 기준을 고려한 국내 의류치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치수 표준안의 개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아복 치수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기본 개정안을 설정하고 호칭 설정과 기본인체치수 및 참고인체치수와의 관계, 분포율 등을 살펴보고, 본 개정안을 통해 소비자, 생산자 및 판매자가 모두 만족하고 소통이 가능하면서, 패션의류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국내 의류치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치수 표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현행 유아복 치수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기본 개정안을 설정하고 호칭에 따른 기본인체치수 및 참고인 체치수와의 관계, 분포율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개정안을 통해 소비자, 생산자 및 판매자가 모두 만족하고 소통이 가능하면서, 패션의류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국내 의류치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치수 표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개정안에서는 각 연령별 다양한 치수를 적용할 수 있도록 그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즉 유아복의 호칭은 키 치수를 기본으로 하고, 참고 인체 치수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예는 Table 6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급화되고 명품화되고 있는 유아복업계에 실질적으로 적용하기에 보다 편리한 치수체계를 설정하도록 하였으며 소비자들에게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있도록 개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현행 유아복 치수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기본 개정안을 설정하고 호칭에 따른 기본인체치수 및 참고인 체치수와의 관계, 분포율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급화되고 명품화되고 있는 유아복업계에 실질적으로 적용하기에 보다 편리한 치수체계를 설정하도록 하였으며 소비자들에게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있도록 개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현행 유아복 치수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기본 개정안을 설정하고 호칭에 따른 기본인체치수 및 참고인 체치수와의 관계, 분포율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개정안을 통해 소비자, 생산자 및 판매자가 모두 만족하고 소통이 가능하면서, 패션의류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국내 의류치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치수 표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복 시장은 무엇의 출현을 통해 강세를 보이는가? , 2011). 또한 유아복 시장의 경우 식스 포켓 세대(six pockets generation)의 출현을 통해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 용어는 고령화 및 저 출산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등장한 경제용어로서 부모, 친조부모, 외조부모 등 6명으로부터 용돈을 받아쓰는 아이들을 가리킨다(Shin et al., 2012).
유아동복 브랜드는 치열한 경쟁구도 속에서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결혼 연령기의 노령화와 저출산에 따른 유아 인구의 감소는 유아복 시장에도 영향을 주어 유아동복 브랜드는 치열한 경쟁구도 속에서 양질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점차 고급화, 명품화가 이루어지고 있다(Nam et al., 2011).
유아복 치수체계에 변화가 필요한 이유? 현재의 KS 유아복 의류치수 규격은 2004년 실시한 제5차 Size Korea 결과를 반영하여 2009년 개정하였으나, 최근 의류산업이 다품종 소량 생산, 전자상거래 및 대형마트의 등장 등 유통구조의 변화로 유통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표준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유아복 경우 KC 자율 안전 확인 안전 기준이 모든 유아복 섬유제품에 적용됨에 따른 대상 연령대의 변화는 유아복 치수 체계에도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패션 글로벌 마켓을 위한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국제적인 기준을 고려한 국내 의류치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치수 표준안의 개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아복 치수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기본 개정안을 설정하고 호칭 설정과 기본인체치수 및 참고인체치수와의 관계, 분포율 등을 살펴보고, 본 개정안을 통해 소비자, 생산자 및 판매자가 모두 만족하고 소통이 가능하면서, 패션의류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국내 의류치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치수 표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BS EN 13402-3. (2004).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Sizs designation of clothes - Part 3: Measurements and intervals. Retrieved Sepember 12, 2013, from http://www.cen.eu. 

  2. Korea Apparel Testing & Research Institute. (2010). Self-regulatory safety confirmation - Textile products for infant(Revision. 2010.12.27.). Retrieved October 12, 2013, from http://www.katri.re.kr. 

  3.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9). Korean industrial standards of sizing systems of infant's garments. Retrieved October 22, 2013, from http://sizekorea.kats.go.kr. 

  4.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4). The 5th human dimensions research reports. Retrieved October 27, 2013, from http://sizekorea.kats.go.kr. 

  5. Lee, J. Y., & Chun, J. S. (2001). A study on garment sizing systems for infants an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6), 1046-1056. 

  6. Nam, Y. R., Choi, H. S., & Kim, E. K. (2011). A study on the wearing conditions for development of toddler's indoor clothing -Focus on 3 to 6-year old toddl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1), 1309-1321. 

  7. Shin, Y. W., Noh, J. Y., Kim, J. K., & Koh, A. R. (2012).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ant clothing consumption of gold-mom.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3(2), 23-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