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 분석을 이용한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Robotics Education to Programming Education Using Meta-Analysi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18 no.3, 2014년, pp.413 - 422  

양창모 (청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거의 동일하지만, 로봇교육은 프로그래밍교육에 비하여 로봇구입이라는 경제적 비용과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을 증가시키는 로봇 제작 과정이 포함되기도 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하여 모든 학교급 또는 모든 학습 목표에 대하여 프로그래밍교육이 동일한 효과를 갖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로봇교육의 효과에 대한 논문을 메타분석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프로그래밍교육의 효과크기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로봇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의 평균 효과크기는 각각 0.6664과 0.4060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초등학생의 경우 평균 효과크기가 로봇교육은 0.373, 프로그래밍교육은 0.667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중학생이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 모두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보였으며,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프로그래밍교육에 비하여 로봇교육의 효과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목적별 분석 결과 프로그래밍교육은 모든 영역에 고르게 중간의 효과를 보인 반면 로봇교육은 인지적 영역보다 정의적 영역에 더 큰 효과가 있었다. 교육방법별로 분석한 결과 로봇제작의 효과크기는 1.3294로 높은 효과를 보이며, 로봇제작과 프로그래밍, 로봇프로그래밍, 로봇활용의 순으로 중간의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프로그래밍교육이 로봇교육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효과가 크고, 로봇교육은 중학생 이상의 대상에 대하여 프로그래밍 교육보다 효과가 크며, 로봇교육은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로봇교육은 단순 로봇활용보다는 로봇제작, 로봇프로그래밍을 포함하여, 다양한 주제에 적용할 때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sitive impacts of robotics education and programming education on learners are similar. However, robotics education differs from programming education because it includes purchasing and building robots that cause financial and cognitive load of learners. Due to these differences, two kind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average effect size of robotics programming is compared with that of programming education that uses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directions for robotics education through the comparison.
  • When all these factors are considered, it is possible that robotics education and programming education may not have identical effects for all schools or all learning objectives. To confirm the hypothesis, this paper estimates the effect size of robotics education by conducting meta-analysis on the studies that argue positive impacts of robotics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average effect size of robotics programming is compared with that of programming education that uses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어떠한가?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거의 동일하지만, 로봇교육은 프로그래밍교육에 비하여 로봇구입이라는 경제적 비용과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을 증가시키는 로봇 제작 과정이 포함되기도 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하여 모든 학교급 또는 모든 학습 목표에 대하여 프로그래밍교육이 동일한 효과를 갖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거의 동일하지만, 로봇교육은 프로그래밍교육에 비하여 로봇구입이라는 경제적 비용과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을 증가시키는 로봇 제작 과정이 포함되기도 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하여 모든 학교급 또는 모든 학습 목표에 대하여 프로그래밍교육이 동일한 효과를 갖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비교결과는 어떠한가?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로봇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의 평균 효과크기는 각각 0.6664과 0.4060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초등학생의 경우 평균 효과크기가 로봇교육은 0.373, 프로그래밍교육은 0.667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중학생이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 모두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보였으며,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프로그래밍교육에 비하여 로봇교육의 효과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목적별 분석 결과 프로그래밍교육은 모든 영역에 고르게 중간의 효과를 보인 반면 로봇교육은 인지적 영역보다 정의적 영역에 더 큰 효과가 있었다. 교육방법별로 분석한 결과 로봇제작의 효과크기는 1.3294로 높은 효과를 보이며, 로봇제작과 프로그래밍, 로봇프로그래밍, 로봇활용의 순으로 중간의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프로그래밍교육이 로봇교육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효과가 크고, 로봇교육은 중학생 이상의 대상에 대하여 프로그래밍 교육보다 효과가 크며, 로봇교육은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로봇교육은 단순 로봇활용보다는 로봇제작, 로봇프로그래밍을 포함하여, 다양한 주제에 적용할 때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lberta Education(2012). Competencies for 21st century learning. 

  2. D. Alimisis(2013). Educational robotics: Open questions and new challenges. Themes i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6(1), 63-71. 

  3. F. B. V. Benitti(2013). Explor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robotics in schools: A systematic review. Computers & Education, 50, 978-988. 

  4. A. Felicia and S. Sharif(2014). A review on educational robotics as assistive tools for learning mathematics and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Trends and Technology, 2(2). 

  5. G. V. Glass(1976).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 10, 3-8. 

  6. S. Grover(2011). Robotics and engineer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develop computational thinking. In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7. S. Grover and R. Pea(2013).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A review of the state of the field. Educational Research, 42(1), 38043. 

  8. L. V. Hedges and I. Olkin(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Academic Press, Orlando. 

  9. L. V. Hedges and J. L. Vevea(1998). Fixed- and random-effects models in meta-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3(4), 486-504. 

  10. C. Kim(2013). A study on systematic review of learning with a robo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7(2), 199-209. 

  11. K.-C. Kim and S.-D. Park(2013). A meta analysis of R-Learning effects on targeting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8(4), 397-417. 

  12. E. Lee(2009). A Robot Programm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PhD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3. S. B. Morris and R. P. DeShon(2002). Combining effect size estimates in meta- analysis with repeated measures and independent-groups designs. Psychological Methods, 7(2), 105-125. 

  14. S. Papert(1980).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Basic Books. 

  15. C. A. Siebra and N. C. Q. Lino(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use of robotics as an educational tool. In XXI Brazilian Symposium on Computer in Education. 

  16. A. J. Sutton, S. J. Duval, R. L. Tweedie, K. R. Abrams, and D. R. Jones(2000). Empirical assessment of effect of publication bias on meta-analyses. BMJ, 320(10), 1574-1577. 

  17. D. C. Williams, Y. Ma, L. Prejean, M. J. Ford, and G. Lai(2007). Acquisition of physics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in a robotics summer camp.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0(2), 201-216, 2007. 

  18. J. M. Wing(2011). Computational thinking: What and why? The Link Magazin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