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금과 새우젓 첨가량을 달리한 달걀찜의 품질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amed Egg Salted with Various Ratios of Salt and Saeu Jeot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4, 2014년, pp.75 - 85  

송민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김대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윤혜현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금과 새우젓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달걀찜의 수분, 색도, pH, texture 분석 및 관능평가(특성차이검사와 기호도 검사)를 통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달걀찜의 수분 함량은 새우젓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 반면 pH는 새우젓 첨가가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다. 색도에서 L값과 b값은 새우젓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둘다 감소하였다. Texture에서는 경도, 씹힘성, 검성의 항목에서 새우젓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관능평가의 특성차이 검사 결과 외관(노란색, 보드라운 느낌)은 새우젓 함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달걀비린 냄새를 제외한 대부분의 향미특성(구운 견과류 냄새, 비린 냄새, 구운 견과류 맛, 짠맛, 비린 맛, 감칠맛)에서는 새우젓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과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호도 평가 결과에서는 소금과 새우젓 함량이 동일한 비율로 첨가된 달걀찜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소금과 새우젓의 비율을 1:1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달걀찜 제조 및 달걀 관련 요리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pared steamed egg salted with different ratios of salt and saeu jeot,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 saeu jeot conten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amed egg through the analysis of moisture content, color, pH, texture profiles, and sensory evaluation. Moisture contents of st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달걀찜 제조 시 달걀 특유의 비린 맛을 감소시키고 간을 맞추어 풍미를 상승시켜주는 데 적절한 비율의 소금과 새우젓 첨가량에 대해 알아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새우젓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음식인 달걀찜의 풍미와 영양을 증강시키고 새우젓의 첨가비율을 조절하여 단체급식, 노인식과 이유식 등의 식품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가 제공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조리법을 적용하면서 다량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는 새우젓을 첨가한 달걀찜을 제조하여 달걀 특유의 비린 맛을 감소시키고 간을 맞추어 풍미를 상승시켜주는 데 적절한 비율의 소금과 새우젓 첨가량(0, 25, 50, 75, 100%)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우젓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젓갈은 어패류의 육, 내장, 생식소 등을 염장하여 자가 소화 및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일정기간 발효시켜 만드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수산 발효 식품이다(Kim BM, 1988). 그 중 새우젓은 김치의 양념으로 주로 사용될 뿐 아니라 찌개, 양념장 등 일상 식생활에서 널리 이용되며(김상순, 1985; 이성우, 1986; 장지현, 1986), 새우젓의 독특한 풍미와 영양가로 인하여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동남아 일대에서도 널리 이용 되고 있다(Vanvee, 1965). 새우젓의 일반적 성분으로 수분은 약 37%, 회분함량이 23%로 높고 칼슘, 인, 칼륨 등이 풍부하며 열량은 100 g당 43 kcal이다.
젓갈이란? 젓갈은 어패류의 육, 내장, 생식소 등을 염장하여 자가 소화 및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일정기간 발효시켜 만드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수산 발효 식품이다(Kim BM, 1988). 그 중 새우젓은 김치의 양념으로 주로 사용될 뿐 아니라 찌개, 양념장 등 일상 식생활에서 널리 이용되며(김상순, 1985; 이성우, 1986; 장지현, 1986), 새우젓의 독특한 풍미와 영양가로 인하여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동남아 일대에서도 널리 이용 되고 있다(Vanvee, 1965).
달걀에는 어떤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는가? 달걀은 냄새가 없으나 삶았을 때 함황 아미노산의 분해로 생성된 유황성분에 의해 독특한 냄새가 난다. 그 밖에 칼륨, 나트륨, 염소 등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다(손정우 외, 2008). 영양적 우수성 뿐 아니라 달걀은 유화성, 기포성, 농후성, 결착성 등의 기능적 특성이 있어 다양한 목적으로 조리에 이용되고 있다(박영선·이정숙,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상순 (1985). 한국전통식품의 과학적 고찰.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334-335, 서울 

  2. 김혜영, 김미리, 고봉경 (2009). 식품품질평가. 효일, 275-276, 서울 

  3. 박문옥, 이승현 (2002). 첨가염의 종류에 따른 달걀찜의 관능적 품질 특성. 산업기술연구 11:31-44. 

  4. 박영선, 이정숙 (2000). 조리과학. 효일, 121, 서울 

  5. 오세욱, 남은정, 김영명 (1996. 6월). 시판 새우젓에서 protease의 정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 학술대회, 대구 EXCO, 56-57. 

  6. 이성우 (1985).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100-118, 서울 

  7. 장지현 (1986). 우리나라 전래의 양념류.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2):87-94. 

  8. 조은자 (2008). 한국전통식품연구.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15, 서울 

  9. Awazyhara H (1982). Thermal coagulation of egg white and egg yolk-effects of salt and sugar. Japan J Soc Sci 15:114-118. 

  10. Bai YH (1993). Structur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egg custard with soused shrimp juice. Korean J Soc Food Sci 9(4):303-307. 

  11. Cho EH, Kim KM, Lee YB (2011). Quality evaluation of teriyaki sauce processed with shrimp remnants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ites. Korean J Culinary Res 17(1): 184-196. 

  12. Forsyhe RH (1970). Eggs and egg products as functional ingredients. The Bakers Digest 44(4):40. 

  13. Heo OS, Oh SH, Shin HS, Kim MR (2005).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Salt and Salted-fermented Shrimp. Korean J food sci technol 3(4):519-524. 

  14. Hong WP, Kim DS, Choi SK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mb stock according to salt contents-Using a high pressure extraction cooking method. Korean J Culinary Res 18(2):149-161. 

  15. Jung EA, Choi SK, Namkung Y (2011). Quality and seasory characteristics of low-salt fermented king mushroom(Jjangachi) added with difference amounts of soy sauce. Korean J Culinary Res 17(5):231-240. 

  16. Kang HI, Kang TJ, Bae TJ, Kim HJ (1994). Processing of Fermented Squeezed-type Pen Shell By-product by Proteolytic Enzyme. Korean J fish soc 27(5):508-514. 

  17. Kim BM (1988). Changes in the properties of protein during the fermentation of salted shrimp. Korean J food sci technol 20(6):883-889. 

  18. Kim KM, Kim JG, Kim JS, Kim WJ (2004). Effects of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salt and pH in the texture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whole egg gel. Korean J Food Nutr 17(2):163-170. 

  19. Kim MJ, Rhee HS (1985). Determination of retinol equivalent and identification of carotenoids in hen, quail and duck eggs. Korean J Soc Food Sci Nutr 14(4):391-395. 

  20. Lee MS, Kim KS (1991). Effect of cooking tools and concentration of egg solution on textural characteristics in coagulation of egg sol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7(1):53-59. 

  21. Mok Ck, Lee JY, Song KT, Kim SY, Lim SB, Woo GJ (2000).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lted and fermented shrimp at different salt lev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187-191. 

  22. Ogawa N (1994). Effects of heat treatments and salt concentration on rheological properties and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of heat induced egg white gels of shell eggs(Part II).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41:191-195. 

  23. Oh SH, Heo OS, Bang OK, Chang HC, Shin HS, Kim MR (2004a). Microbiological Safety of Commercial Salt-fermented Shrimp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507-513. 

  24. Oh SH, Sung TH, Heo OS, Bang OK, Chang HC, Shin HS, Kim MR (2004b).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Salt-Fermented Shrim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6):1006-1012. 

  25. Park GH, Ju JS (1986). Proteolytic Digestion of Boiled Pork by Soused Shrimp. Korean J Nutr 19(6):363-373. 

  26. Park YS (1979). The effects of salt treatment on thermal coagulation of diluted eggs in cookery. Korean J Home Eco 17(4):35-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