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Magazine of RCR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9 no.3, 2014년, pp.23 - 30
초록이 없습니다.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KS F 2573(콘크리트용 순환골재)가 개정된 이유는 무엇인가? | 2003년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후 지속적으로 순환골재와 관련된 기술적 기준의 제·개정 작업이 이루어져 왔는데 특히 2005년에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 비롯하여 13개 용도별 ‘순환골재 품질기준’을 국토교통부 장관이 제정 공고하였고, 2006년에는 ‘순환골재 품질기준’과 부합하기 위하여 KS F 2573(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이 개정되었다. | |
건설폐토석은 무엇인가? | 2%인 1,083천톤/ 년을 폐콘크리트와 폐아스팔트콘크리트가 차지하고 있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이 폐콘크리트와 폐아스팔트콘크리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건설폐토석은 건설공사 시 건설폐기물과 혼합되어 발생되는 것 중 분리, 선별된 흘, 모래, 자갈 또는 건설폐기물을 중간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흙, 모래, 자락 등으로서 자연상태의 것을 제외한 것을 말한다. 2012년 건설폐기물 재활용 통계조사보고서에 의하면 1,858천 톤/년이 발생되고 1,582천톤/톤을 재활용하여 재활용율이 85. | |
2012년 건설폐기물 재활용 통계조사보고서에 따르면 건설폐토석의 발생량과 재활용률은? | 한편 건설폐토석은 건설공사 시 건설폐기물과 혼합되어 발생되는 것 중 분리, 선별된 흘, 모래, 자갈 또는 건설폐기물을 중간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흙, 모래, 자락 등으로서 자연상태의 것을 제외한 것을 말한다. 2012년 건설폐기물 재활용 통계조사보고서에 의하면 1,858천 톤/년이 발생되고 1,582천톤/톤을 재활용하여 재활용율이 85.1%로서 폐콘크리트과 폐아스팔트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