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CP 기법을 활용한 화학공장에서의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
A Method to Develop for Emergency Response Guidelines using Business Continuity Plan in Chemical Plant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2 no.6, 2014년, pp.743 - 749  

양재모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설지우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용종원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고상욱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철환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유병태 (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  고재욱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학공장에서 사고를 예방하려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들은 규모가 크고, 초동 대응의 결과에 따라 인명, 재산 피해 규모가 달라진다. 따라서 사고 발생 이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고대응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던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작성법과 국내 법령 등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조사하고, 기존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작성 방법에 BCP 기법을 적용하여, 가이드라인의 개발을 위한 구성 요소, 대응단계, 개선 절차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if many studies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in chemical plant have been carried out, recently more severe accidents in chemical plants have occurred continuously. These have a large potential impact and the loss of casualties and economic can vary according to the activities of early emer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러한 요구사항들이 가이드라인의 최종 목표로 정의되어야 한다[11]. 따라서 국내 화학물질 관련 법령 및 리스크 관리에 관한 지침들에서 사고대응 가이드라인의 요구사항에 대하여조사하였다. Table 2는 화학물질 관련 법령 및 국내 리스크 관리에 관한 지침들에서 요구하는 사고대응 가이드라인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정리한 것이다.
  • 그러나, 이러한 위험성 평가 및 경감조치, 유지보수 활동에도 불구하고 사고 발생이 완전히 예방되지 않으며, 일단 사고가 발생하면 화학공장의 물질적, 공정적 특성에 따라 공장 시설, 근무자 및 인근 주민, 주변 환경에 대하여 광범위하고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 발생한 화학 사고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을 수행하여 사고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 사고에 대한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작성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사고대응 가이드라인의 요구사항, 주요 대응항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 개발된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 작성방법은 현재로서 실무에 적용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다.
  • 위험성 평가 기법들은 그 위험성의 정도에 따라 허용 가능한 위험 수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 건설 수행 시 경감(Mitigation)조치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운영 단계에서 정비, 보수활동(Maintenance)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어떤 위기상황이 발생하기 전에는 몇 가지의 징후가 발견된다. 이러한 징후를 추적 및 분석하여 위기로 발전되지 않는지 모니터링 한다.

가설 설정

  • -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된 피해자는 지속적으로 증세를 관찰하고 치료를 지원하여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EMA에서 제시하는 것은? FEMA(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에서는 각종 위기상황(자연재해, 화재, 폭발 등)에 대한 대비 및 대응을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작성법을 제시하고 있다[6]. 위기 상황에 대한 계획을 작성하기 위해서 6개 단계를 거쳐야한다.
BCP의 위기관리 단계에서 Learning 단계에서는 어떤 것을 수행하는가? 위기상황이 종료된 후, 위기상황에 발생하였던 상황들을 반영하여, 다음에 찾아올 위기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행동을 취한다. 이때 수행해야하는 행동은 다음 위기상황에 대하여 대비를 할 전담 부서의 설립, 시스템 개선, 이해관계자의 긍정적인 참여 유도 등이다.
WHO에서 공공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기 상황 대응을 위하여 발간하고 있는 것은? WHO(World Health Organization)는 공공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기 상황에 대한 대응을 위하여 Emergency Response Framework를 발간하고 있다. 다음 내용 및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SE, Review of hazard identification techniques, 1-6(2005). 

  2. BSI, BSI 25999-1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Code of Practice, London(2013). 

  3. BSI, BS 25999-2:2007 Specification for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London(2012). 

  4. William Rick Crandall, John A. Parnell, John E. Spillan, Crisis Management : Leading in the New Strategy Landscape, 2nd ed., SAGE(2014). 

  5. Takeshi Ito, Hideaki Orikasa, Tetsuya Yoshida, "Fujitsu's Busniess Continuity Plan Development Methodology," Fujitsu. Sci. Tech. J., 43(2), 168-177(2006). 

  6. FEMA, National Response Framework, 7-16(2013). 

  7. FEMA, Developing and Maintaining Emergency Operations Plans, 49-74(2010). 

  8. WHO, Emergency Response Framework, 15-30(2013). 

  9. Nato, Guidelines For First Response To A Cbrn Incident, 6-13(2007). 

  10. Victor Poyarkov, Chemical Accident Management, Council of Europe, 27-46(2000). 

  11. Young-jae Lee, An Introduction to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8-15(2004). 

  12. KOSHA, X-30 Recommended Practice in Emergency Service Organization Risk Management, 2-5(2012). 

  13. KOSHA, X-37 Risk Management Guidelines for Deployment Considerations, 2-7(2012). 

  14. Jae Min Lee et al, "A Study on Hazard Identification Method for Small and Medium Chemical Industries," Korean Chem. Eng. Res., 45(1), 103-108(2007).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Emergency Response Guideline Handbook(2012). 

  16. Jaedeuk Park et al., "Development of a Web-based Emergency Preparedness Plan System in Korea," Korean J. Chem. Eng., 28(11), 2110-2115(2011). 

  17. Department of the Army (US), Chemical Accident or Incident Response and Assistance (CAIRA) Operations, 20(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