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OC 시설물 재난대응 및 관리시스템 개발방향
A Development Direction of Infrastructure Based Disaster Mitigation & Management Integrated System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7 no.3, 2016년, pp.134 - 142  

박수열 ((주)우노솔루션) ,  오은호 ((주)우노솔루션) ,  최봉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진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방, 댐, 교량, 도로 등 주요 시설물은 일상적인 사회 산업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재난발생 시 인적 물적 자산을 보호해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시설물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재난관리시스템이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정작 재난이 발생할 때는 시설물 보호 및 활용을 배제한 대응이 이루어져 2차 3차적인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재난관리와 관련된 기존 문헌조사와 SWOT/STEEP분석, 기술수요조사와 논문 특허 경향조사를 통해, 국가적 재난관리 시스템 및 관리체계가 변화되어 가는 트렌드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효과적인 재난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점분야와 세부 기술 분야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세부기술들은 SOC(Social Overhead Capital) 시설물 통합운영 및 연계기술 확보를 통한 선진국형 시설물 안전관리 및 재해대응을 위한 기술들로서, 기존의 인적 물적 피해저감 위주의 수동적 재난관리체계에서 시설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능동적 대응체계로 전환하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SOC시설물에 대한 통합적 유지관리 및 위험도 관리체계는 SOC시설물의 안전과 관련 재해예방에 관한 정책 결정자에게 합리적인 의사결정수단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대상 SOC시설물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특히, 장기대응(Mitigation) 또는 사후복구(Recovery)에 집중되어 있는 국내 재난관리체계에서 진일보하여, 선제적인 직전 대비(Preparedness)와 재난 발생 시 대응(Response)이 가능한 시설물 중심의 재난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전 방위적 재난대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in infrastructures, such as levee, dam, bridge, road, etc., are very important due to not only the means of support for social and industrial activities in normal situation but also the means of protection of life and property during disaster occurrence. In spite of this importance of infrastruc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TEEP 분석은 사회적(Social)·기술적(Technical)·경제적(Economical)·환경적(Environmental)·정치적(Political) 관점에서 타겟 현상 또는 시스템의 현황을 다각도로 관찰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 다양한 종류의 센서, 로봇 및 구조물 상태파악 방법에 기반을 둔 유지관리 플랫폼 구축과, 무인로봇에 의한 현장 접근성 극대화, 무선센서 네트워크에 의한 실시간 정밀 구조물 상태 파악 등이 가능해 질 것이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비용의 절감과, 스마트 진동제어, 복합 재료를 통한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 등이 기대된다.
  • 더욱이,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세월호 유람선 침몰사건에서 제기된 여러 가지 이슈들, 즉, 재난 발생 시 적절한 대응방안 제시 및 이와 관련된 즉각적인 (Golden time) 의사결정, 신속한 현장 파악 및 보고, 구조·복구를 위한 자원(Resources) 관리 및 동원, 통합적 컨트롤 기능상실 등의 문제들이 시설물 재난관리 상황에서도 발생할수 있는 바, 이를 적절히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논문을 통해 새로운 재난대응 및 관리체계의 개발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EP 분석의 목적은 무엇인가? STEEP 분석은 사회적(Social)·기술적(Technical)·경제적(Economical)·환경적(Environmental)·정치적(Political)관점에서 타겟 현상 또는 시스템의 현황을 다각도로 관찰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STEEP분석을 통해 도출된 5가지 시설물 중심 재난관리체계 중점추진 연구 분야는? •재해감시 예·경보 및 재해예방을 위한 센싱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재해재난 이력 등에 대한 시설물별 위험도 지도 구축 •네트워크 기반 SOC시설물 위험등급 설정 및 안전율 확보 기술 •국가 주요시설물 헬스 모니터링 및 붕괴방지 기술 •기초·지반 재해위기 대응 및 체계적 복구 기술
SWOT이란 무엇인가? SWOT는 타깃 분야에 대한 내·외부 환경을 강점(S)과 약점(W), 기회(O)와 위협(T)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다양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는 분석기법이다. 시설물 재난관리에 대하여 우리나라가 가진 강점(S)은 시설물 유지관리 및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인프라 기반 기술 역량이 높은 전문인력 보유,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을 이용한 공간 및 시간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확보, 시설물 안전 진단·건전도 진단·상태 평가에 대한 핵심역량 보유 등이며, 약점(W)은 재해관리 통합 거버넌스 (Governance) 부재, 요소기술의 통합시스템 기술 미흡, 응급처리 및 복구기술 낙후, 시설물 구조적 취약성 평가 미흡 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im, J., and Oh, E. (2014). "Infrastructure Vulnerability Assessment-based Disaster Mitigation & Management System",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Magazine, 62(6), pp. 52-55. 

  2.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2007). Design Criteria Research for Abnormal Weather-Disaster Prevention. 

  3.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7). Environmentfriendly Flood Risk Reduction Research, p. 1. 

  4.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2011). Pilot Project of Safety Management Network Establishment for National Main Infrastructure. 

  5.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12). Planning Report of Network Based SOC Management and Operation, pp. 3-21. 

  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Related Ministries (2014). Climate Change Report, p. 25. 

  7. Kim, J., and Cho, Y. (2010). "A Study on the Proposals for Improvement of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ystem based on Past Disaster Case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1(5), pp. 24-31. 

  8.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2013). Research Project of Flood Defense Technology for Next Generation.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2002). Master Plan for Safety and Maintenance of Infrastructure, 2002-318.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2011). The 4th Comprehensive Plan for Land Development 2011-2020. 

  11. Natu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9). Integrated Planing Research for Wind and Flood Disaster Management based on Climate Change Analysis, pp. 3. 

  12. Natu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1). Disaster Chronology, pp. 41-42. 

  13. Oh, E (2010). Impact analysis of natural disasters on critical infrastructure, associated industries, and communities, Ph.D. Dissertation, Purdue Univ., West Lafayette, IN. 

  14. GreenToday. 

  15. Water and Disaster Management Bureau (20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of Jap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