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문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8 no.6, 2014년, pp.590 - 599  

박재문 (부산대학교 화학교육과) ,  이수진 (부산대학교 화학교육과) ,  문성배 (부산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환경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려면 교사들의 인식이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시 중학교 교사들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2007년 및 2012년 두 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하였다. 2007년 교사 200명, 2012년 300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71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교사들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수준을 시점, 경력, 전공 교과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여 일선 교육 현장에서의 환경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시점 간 교사들의 환경 문제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특히, 현대 환경 문제 인식, 이산화탄소 배출권 제도 등은 과학 전공 교사 및 비과학 전공 교사들에게 인식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들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는 기상이변과 무분별한 소비위주의 생활방식의 심각성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둘째, 경력에 따른 환경 문제의 인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전체적으로 현대 환경 문제 인식, 이산화탄소 배출권 제도, 오존층 파괴, 적조현상, 환경 정책 등에서 인식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전공과 무관하게 경력이 많은 교사가 환경오염의 심각성, 환경보전의 필요성, 건강의 중요성 등을 인식하는 정도가 높았다. 셋째, 과학 전공 교사 및 비과학 전공 교사에 따라 환경 문제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특히 현대 환경 문제 인식, 이산화탄소 배출권 제도, 오존층 파괴, 핵폐기물, 환경 호르몬, 적조 현상 등 환경 문제 전반에 걸쳐 과학 전공 교사 및 비과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차이가 뚜렷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vironmental education, effectively performed at school, is very important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Moreover the survey for teacher's perception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Pusan. The 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7년 환경문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1차 설문조사는 한 시점의 연구이므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크지 않았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인 대도시 중학교 교사의 특성상 일정한 지역 내에서 근무하는 동일 집단이므로 일정시점이 지난 후에 2차 설문조사를 하여 그 인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2차 설문조사는 2011년 및 2012년 환경문제가 언론에서 이슈화되어 2012년 환경문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 그리고 연구대상자인 대도시 중학교 교사의 특성상 일정한 지역 내에서 근무하는 동일 집단이므로 일정시점이 지난 후에 2차 설문조사를 하여 그 인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2차 설문조사는 2011년 및 2012년 환경문제가 언론에서 이슈화되어 2012년 환경문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 그러나 효과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환경문제로 야기된 심각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가 중요하므로 이의 설문조사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7년 및 2012년 두 차례에 걸쳐 환경문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을 시기, 경력 및 전공에 따라 분석하여 일선 교육현장에서의 환경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 자연 환경 파괴와 오염 현상이 더욱 심각해진 원인은 무엇인가? 오늘날의 환경문제는 산업화의 역기능으로 발생된 자연 환경 파괴와 오염 현상으로 지구에 살아가는 인류의 생존 자체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측면뿐 아니라 인류의 공동 노력이 필요한 한편, 국민 개개인의 환경 보전에 대한 노력과 실천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교사들이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 하고 있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제6차 교육과정에서 환경과목을 독립교과로 설정한 후 환경교육을 독립된 환경교과와 분산적 교과로 지도하는 2중 체계를 가지고 있다.13 하지만 제7차 교육과정 실시 후에 교과 재량활동에서 학교가 앞으로 선택해야 할 교과목으로 교사들은 컴퓨터(39.91%), 한문(28.90%), 생활 외국어(15.6%), 환경(15.14%)의 순으로 의견을 나타내 환경교과 선택에 우려를 나타내었다.14 이는 2012년 환경 백서의 학교 환경교육 현황에 의하면,10 2011년도 전국 3,075개 중학교 중에서 ‘환경’을 선택한 학교는 170개교(전체의 5.5%)임을 제시하고 있어 환경교과 선택율이 점점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환경교육에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이론이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고 있으며, 환경교육의 성격에 비추어 볼 때 통합적인 접근(holistic approach)은 매우 중요하다.
환경 소양인은 무엇인가? 최근의 환경 교육은 환경에 대한 정서와 태도, 환경 문제의 해결, 주관적인 책임 있는 환경 행동을 할 수 있는 환경 소양인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4 여기에서 환경 소양인이란 환경적으로 무언가를 해야 하는 것과 하지 않아야 하는 것을 구분하여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사람을 의미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 S.S. A Study on the Direction of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Professional Advance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8. 

  2. Kim, C. H. J. Dem. Civic Edu. 1998, 3(1), 33. 

  3. Cheong, C. J. Kor. Environ. Edu. 2011, 24(1), 76. 

  4. Lee, S. C.; Choi, D. H. J. Kor. Environ. Edu. 2010, 23(1), 27. 

  5. Postma, D. W. Why Care for Nature?; Springer: Dordrecht, 2006. 

  6. Kim, T. H.; Nam, H. W.; Shin, H. C.; Cho, K. H. J. Kor. Environ. Edu. 1999, 12(1), 245. 

  7. Ministry of Environment. People Consciousness Survey Report of Green Growth and Environmental Educ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8. Kim, J. W. An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Environmental Literac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ster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2. 

  9. Korean Environment Education Association Today's Environment; DongBangKiwhoik: Seoul, 1994. 

  10. Ministry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White Book 20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11. Tamir, P. J. Environ. Edu. 1991, 22(2), 34. 

  12. Lee, S. K. Theo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Leader Education Book; Environmental Education Information Center: Seoul, 1998. 

  13. Seo, W. S. J. Kor. Agr. Edu. 2003, 35(2), 1. 

  14. Han, S. H. J. Nat. Sci. SoonChunHyang Univ. 2001, 7(1), 53. 

  15. Yoon, K. H.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 about Water Shortage Problems Based on the Sustaintability Theories and the Holistic Approach.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4. 

  16. Nam, S. J.; Kim, D. S.; Kim, D. L.; Lee, S. B.; Han, S. I. Principles and Practi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WonMiSa: Seoul, 1999. 

  17. Lee, K. M.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8. 

  18. Choe, D. H.; Son, Y. A.; Lee, M. O.; Lee, S. H.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Kyo-YookKwaHakSa: Seoul, 2007. 

  19. Lee, D. H. The Attitude Surve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jeon. Master Thesis, DaeJeon University, 2002. 

  20. Kweon, O. 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 and Practi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4. 

  21. Kang, S. J. A Study on the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ste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1. 

  22. Chae, S. W. A Study on the Attitudes of Junior School Teachers toward Environmental Education in Seoul.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6. 

  23. Shin, E. W. A Study of Elementary School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and Knowledge Level on the Modern Environmental Problems. Master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7. 

  24. McMichael, D. F.; Strom, A. Teaching Science for an Understanding of Our Total Environmental and the Need for Conservation; Insights into Environmental Education; Martin, G. C., Wheeler, K. S., Eds.; Oliver & Boyd: Edinburgh Scotland, 1975; pp 29-47. 

  25. Han, J. E. Secondary School Scientific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Environmental Issue within the Science Curriculum: Seoul and JunlaDo Perspective.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5. 

  26. Choe, S. J. Environment and Ecology of High School; DaeHanTextbook: Seoul, 2002. 

  27. Choe, S. J. Guidebook for Teacher of Environment and Ecology of High School; DaeHanTextbook: Seoul,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