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방법에 따른 상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Effect of Extraction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Mori ramul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1, 2014년, pp.1709 - 1715  

박혜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홍주헌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상지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열수추출, 50% 에탄올추출, 초음파추출 및 가압추출 공정을 사용하여 상지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가압추출, 초음파추출, 50% 에탄올추출 및 열수추출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34.66 mg/g 및 35.6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ORAC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g당 $3,483.37{\mu}M$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17.34~65.8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다.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방법별 $100{\sim}500{\mu}g/mL$ 농도에서 62.56~98.74%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환원력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189.00{\sim}974.80{\mu}M$ 및 0.12~0.82로 가장 우수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0{\mu}g/mL$에서 67.2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50% 에탄올 추출방법이 상지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적합하였으며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ori ramulu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HE, hot water extraction; EE, 50% ethanol extraction; UE, ultrasonic extraction; PE, pressured extraction). The extraction yield of PE (3.07%) was higher than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상지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열수추출, 50% 에탄올추출, 초음파추출 및 가압추출 공정을 사용하여 상지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가압추출, 초음파추출, 50% 에탄올 추출 및 열수추출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3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용성분과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상지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추출방법에 따른 상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가장 효율적인 추출방법을 확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지란 무엇인가? 상지(桑枝, Mori ramulus)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뽕나무(Morus alba L.)의 어린가지로 늦은 봄과 초여름에 절취하여 쇄건한 것으로 눈상지, 상조 등의 이명이 있다(12). 성상은 긴 원주형으로 준비된 것도 있으며 길이는 일정하지 않고 지름은 0.
열수추출, 50%에탄올 추출, 초음파추출, 가압추출로 추출방법에 따른 상지 추출물의 추출수율을 비교한 결과, 최고 및 최저 추출수율을 나타내는 추출방법은? 18%) 및 HE(1.07%) 순으로 가압추출이 가장 높았고 열수추출 구간이 가장 낮았다. PE가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는 것은 고압 하에서 단백질이 변성되거나 세포막이 비가역적으로 분해되어 막 투과성이 증가됨에 따라 물질 이동이 용이해지는 관계로 보다 많은 성분이 세포 밖으로 용출된 것이라 판단되며, 이는 돼지감자잎의 환류냉각추출(29.
천연물 소재 활성 연구 시, 이상적인 천연물 추출 공정 조건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천연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천연물 소재에 대한 활성의 탐색과 별도로 생물자원의 특징을 고려한 제조공정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7). 적은 공간과 비용으로 다량의 기능성 소재를 생산할 수 있어야 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동일한 양의 천연물로부터 가급적 다량의 유용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추출공정이 개발되어야 한다(8). 열수추출은 일반적으로 식품의 추출방법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 가용성분 위주의 추출로 인해 낮은 추출수율, 높은 에너지소비 및 열에 의한 유용성분 파괴 등과 같은 단점이 있으므로 천연물의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에탄올추출, 초음파추출, 가압추출 등 여러 가지 추출방법이 시도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84. Oxygen toxicity, oxygen radicals, transition metals and disease. Biochem J 219: 1-14. 

  2.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3. Ames BN, Shigenaga MK, Hagen T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4. Kim MJ, Chu WM, Park EJ. 2012.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shiitake mushroom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41-1048. 

  5. Jo YH, Park JW, Lee JM, Ahn GH, Park HR, Lee SC. 2010.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parts of Jangseong Daebong persimmon (Diospyros kaki cv. Hachiy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00-505. 

  6. Kim JW, Kim JK, Song IS, Kwon ES, Youn KS. 2013.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rusalem artichoke leaves with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8-75. 

  7. Cho YJ, Lee SK, Ahn YH, Pyee JH. 2003. Development of ultrasonication-assisted extrac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extracts with high content of pinosylvin from pine leaves. J Korean Soc Agric Mach 28: 325-334. 

  8. Shin SL, Lee CH. 2011. Antioxidant activities of ostrich fern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nd solvents. J Life Sci 21: 56-61. 

  9. Kim DI, Hong JH. 2012.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for functional components from Lespedeza cuneat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275-283. 

  10. Park EJ, Ahn JJ, Kim JS, Kwon JH. 2013. Antioxidant activities in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schizandra fruit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t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667-674. 

  11. Hwang IG, Woo KS, Jeong HS. 2011. Biological activity and heat treatment processing of foods. Food Sci Ind 44: 56-65. 

  12.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6. National standard of traditional medicinal (herbal and botanical) materials. Seoul, Korea. p 209. 

  13. Jeong JC, Ko KC, Han DS. 1978. Effects of Morus bombycis Doidzumi stem on hypertension and arteriosclerosis. J Kyunghee Orient Med Coll 3: 17-25. 

  14. Hur JH, Lee DH. 1978. Study on the therapeutic effects on the hypercholesteremia and bloodpressure of aqueous extract of Mori radicis in the rabbits. J Kyunghee Orient Med Coll 1: 95-99. 

  15. Cha JY, Cho YS. 2001. Effect of stem bark extract from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concentrations of lipid and tissue lipid peroxidation in the cholesterol-fed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28-134. 

  16. Flier JS, Kahn CR, Roth J. 1979. Receptors, antireceptor antibodies and mechanisms of insulin resistance. N Engl J Med 300: 413-419. 

  17. Ham IH, Jeong ES, Lee BH, Choi HY. 2008. The study on anti-hypertensive and anti-diabetic effect of Mori tamulus. Korea J Herbology 23: 203-212. 

  18. Hwang JG. 2004. Effects of the Ramulus mori extrac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 1-32. 

  19. Kim HS, Jeong JC. 2002. Effects of Ramulus mori extract on obesity and lipid metabolism in high fat diet rats. J Korean Oriental Med 23: 64-72. 

  20. Roh SS, Ku SK, Seo YB. 2009. Effects of Mori ramulus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rat: expression of immunocells in draining lymph node. Kor J Ori Phyiol Pathol 23: 1106-1115. 

  21. Song MH, Hwang JY, Park YL, Whang KU. 2000. The inhibitory effect of Ramulus mori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in normal human melanocytes and B-16 melanoma cells. J Soonchunhyang Med Cell 6: 391-400. 

  22. Shin JY. 2001.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activities against skin-aging. Korean J Food & Nutr 14: 568-572. 

  23. Park SY. 2009. Whitening effects of Mori ramulus, Mori cortex radicis and Mori folium herbal-acupuncture solution after fermentation and heating. M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p 1-32. 

  24. Jeong HL, Kim HW, Kim JH, Kim JH, Kim DU. 2012. Cosmetic effect of mixed plant extracts including Saururus chinensis, Morus bombycis stem and Morus papyrifera stem. Korean Chem Eng Res 50: 610-613. 

  25. Jeong SI, Noh YH. 2008. Impact of Ramulus mori extract and ayurveda oil on hair loss treatment. J Kor Soc Cosm 14: 1436-1442. 

  26.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27.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28. Talcott ST, Lee JH. 2002. Ellagic acid and flavonoid antioxidant content of muscadine wine and juice. J Agric Food Chem 50: 3186-3192. 

  2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31. Nishikimi M, Rao NA, Yagi K. 1972. The occurrence of superoxide anion in the reaction of reduced phenazine methosulfate and molecular oxygen. Biochem Biophys Res Commu 46: 849-854. 

  32.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6. 

  33.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 J Nutr 44: 307-315. 

  34. Kameyama K, Takemura T, Hamada Y, Sakai C, Kondoh S, Nishiyama S, Urabe K, Hearing VJ. 1993. Pigment production in murine melanoma cells is regulated by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DOPA chrome tautomerase (TRP2), and a melanogenic inhibitor. J Invest Dermatol 100: 126-131. 

  35. Alarcon E, Campos AM, Edwards AM, Lissi E, Lopez-Alarcon C. 2008. Antioxidant capacity of herbal infusions and tea extracts: A comparison of ORAC-fluorescein and ORAC-pyrogallol red methodologies. Food Chem 107: 1114-1119. 

  36. Ronald LP, Xianli W, Karen S. 2005. Standardiz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3: 4290-4302. 

  37. Lim CY, Lim SH, Cho SI. 2014. Anti-oxidative effects of Mori folium, Mori ramulus and Mori cortex radidus. J Daejeon Orient Med Coll 22: 93-101. 

  38. Li H, Choi YM, Lee JS, Park JS, Yeon KS, Han CS. 2007.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 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0-254. 

  39. Hong JH. 2013.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af and twig extract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593-580. 

  40. Jung YT, Lee IS, Whang K, Yu MH. 2012. Antioxidant Effects of Picrasma quassioides and Chamaecyparis obtusa (S. et Z.) ENDL extracts. J Life Sci 22: 354-359. 

  41.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 In Post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 Material in the Tropics. Uritani I, Garcia VV, Mendoza EM, ed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 Japan. p 241-2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