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내과 환자의 중환자실 전동에 대한 위험요인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to Predict Intensive Care Unit Transfer in Medical in-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4, 2014년, pp.259 - 266  

이주리 (서울아산병원 MAT) ,  최혜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isk factors in predicting medical patients transferred to Intensive Care Unit (ICU) on the general ward.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clinical data of 120 medical patients on the general ward and a Modified Early Warning Score (MEWS) betwee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국내에서의 MEWS에 대한 연구는 일반 병동 내·외과에 입원한 중증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Lee & Choi, 2014).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병동에 입원한 내과 환자의 중환자실 전동 전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활력징후 및 MEWS의 변화를 분석하고, 중환자실 전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의 목적은 일반병동 내과 환자의 중환자실 전동 전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활력징후 및 MEWS의 변화를 조사하고, 중환자실 전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일반병동에 입원한 내과 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전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인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반병동에 입원한 내과 환자의 중환자실 전동 전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활력징후 및 MEWS의 변화를 분석하고 중환자실 전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MET 의뢰 8시간 전 시점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활력징후 및 인자는 심박동 수와 호흡 수 및 산소 포화도였다.
  • 셋째, 대상자가 내과 환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외과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일반화하는 데에는 어려움이있다. 그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일반병동에 입원한 내과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로서, 일반병동에 입원한 내과 환자의 중환자실 전동 전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활력징후 및 MEWS의 변화를 제시하였고, 중환자실 전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내과 환자의 간호 중재 및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가설 설정

  • 첫째, 후향적 연구로 MEWS 및 SOFA 항목의 누락으로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던 환자에 대한 정보가 본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둘째, 대상자 수가 작은 연구라는 점이다. 셋째, 대상자가 내과 환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외과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일반화하는 데에는 어려움이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질환의 사망원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국내 · 외 통계청의 보고에 따르면 10대 사망원인 중 7가지가 만성질환이며(Heron, 201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의 75% 이상이 심장질환, 종양, 만성 호흡기 질환, 당뇨, 신부전, 폐렴 등의 내과 질환으로 인해 사망한다고 하였다(Heron, 2013). 국내의 한 연구에 따르면 일반병동 내 내과 환자가 외과 환자와 비교하여 비계획적인 중환자실 전동률이 4.
응급상황에서 간호사의 역할은? 간호사는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악화 상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직면한 간호문제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임상적 결정을 내려야 한다. 그러나 일반병동에서 응급 상황에 익숙하지 않은 간호사가 악화 상태를 발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Byeon et al.
의료비상팀의 도입으로 인한 운영결과는 어떠한가? 국외에서는일반병동내 환자의 악화 상태를조기에발견하고적시에 치료를 시행하여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료비상팀(Medical emergency team, MET)과 조기경고시스템을 도입하였다 (Lee, Bishop, Hillman, & Daffurn, 1995). Buist 등(2002)은 이 팀의 운영 결과 예상치 못한 심정지의 발생이 50%, 병원 사망률은 77%에서 55%로감소하였고, MET 활동과병원내심정지발생의관계에대해 분석한 Devita 등(2004)의 연구에 따르면 6.8년 동안 MET 활동 건수는 입원환자 1,000명당 13.7건에서 25.8건으로 증가하였고, 병원 내 심정지는 입원환자 1,000명당 6.5건에서 5.4건으로 17% 감소하였다. 이러한결과를바탕으로외국의여러병원에서 MET를도입하여확대운영하고있다(Bellom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llomo, R., Goldsmith, D., Uchino, S., Buckmaster, J., Hart, G., Opdam, H., et al. (2004).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of effect of medical emergency team on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Critical Care Medicine, 32(4), 916-921.http://dx.doi.org/10.1097/01.CCM.0000119428.02968.9E 

  2. Buist, M. D., Moore, G. E., Bernard, S. A., Waxman, B. P., Anderson, J. N., & Nguyen, T. V. (2002). Effects of a medical emergency team on reduction of incidence of and mortality from unexpected cardiac arrests in hospital: preliminary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24(7334), 387-390. http://dx.doi.org/10.1136/bmj.324.7334.387 

  3. Byeon, Y. S., Choe, M. A., Kim, H. S., Park, M. J., Seo, W. S., Lee, K. S., et al. (2002). A study of content analysis on ICU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of Basic Nursing Scienc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4(1), 41-49. 

  4. Choe, M. A., An, G. J., & Jeong, J. S. (2012). A coorientation analysis of perception on bionursing between clinical nurses and nursing professor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3), 212-220.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3.212 

  5. Cooksley, T., Kitlowski, E., & Haji-Michael, P. (2012). Effectiveness of modified early warning score in predicting outcomes in oncology patients. QJM, 105(11), 1083-1088. http://dx.doi.org/10.1093/qjmed/hcs138 

  6. Cuthbertson, B. H., Boroujerdi, M., McKie, L., Aucott, L., & Prescott, G. (2007). Can physiological variables and early warning scoring systems allow early recognition of the deteriorating surgical patient? Critical Care Medicine, 35(2), 402-409. http://dx.doi.org/10.1097/01.CCM.0000254826.10520.87 

  7. DeVita, M. A., Braithwaite, R. S., Mahidhara, R., Stuart, S., Foraida, M., & Simmons, R. L. (2004). Use of medical emergency team responses to reduce hospital cardiopulmonary arrest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3(4), 251-254. http://dx.doi.org/10.1136/qshc.2003.006585 

  8. DeVita, M. A., Bellomo, R., Hillman, K., Kellum, J., Rotondi, A., Teres, D., et al. (2006). Findings of the first consensus conference on medical emergency teams. Critical Care Medicine, 34(9), 2463-2478. http://dx.doi.org/10.1097/01.CCM.0000235743.38172.6E 

  9. Ferreira, F. L., Bota, D. P., Bross, A., Melot, C., & Vincent, J. L. (2001). Serial evaluation of the SOFA score to predict outcome in critically ill patients. JAMA, 286(14), 1754-1758. http://dx.doi.org/10.1001/jama.286.14.1754 

  10. Gardner-Thorpe, J., Love, N., Wrightson, J., Walsh, S., & Keeling, N. (2006). The value of Modified Early Warning Score (MEWS) in surgical in-patient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nnals of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 88(6), 571-575. http://dx.doi.org/10.1308/003588406x130615 

  11. Goldhill, D. R., Worthington, L., Mulcahy, A., Tarling, M., & Sumner, A. (1999). The patient-at-risk team: identifying and managing seriously ill ward patients. Anaesthesia, 54(9), 853-860. http://dx.doi.org/10.1046/j.1365-2044.1999.00996.x 

  12. Harrison, G. A., Jacques, T. C., Kilborn, G., & McLaws, M. L. (2005). The prevalence of recordings of the signs of critical conditions and emergency responses in hospital wards-the SOCCER study. Resuscitation, 65(2), 149-157.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4.11.017 

  13. Heron, M. (2013). Deaths: leading causes for 2010.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National Vital Statistics System, 62(6), 1-97. 

  14. Hillman, K. M., Bristow, P. J., Chey, T., Daffurn, K., Jacques, T., Norman, S. L., et al. (2002). Duration of life-threatening antecedents prior to intensive care admission. Intensive Care Medicine, 28(11), 1629-1634. http://dx.doi.org/10.1007/s00134-002-1496-y 

  15. Kause, J., Smith, G., Prytherch, D., Parr, M., Flabouris, A., & Hillman, K. (2004). A comparison of antecedents to cardiac arrests, deaths and emergency intensive care admission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and the United Kingdom-the ACADEMIA study. Resuscitation, 62(3), 275-282.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4.05.016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ational Statistics Yearbook, Seoul, Korea. 

  17. Lee, A., Bishop, G., Hillman, K. M., & Daffurn, K. (1995). The medical emergency team. Anaesthesia and Intensive Care, 23(2), 183-186. 

  18. Lee, J. R., & Choi, H. R. (2014). Validation of a Modified Early Warning Score to Predict ICU Transfer for Patients with Severe Sepsis or Septic Shock o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2), 219-227. http://dx.doi.org/10.4040/jkan.2014.44.2.219 

  19. McQuillan, P., Pilkington, S., Allan, A., Taylor, B., Short, A., Morgan, G., et al. (1998). Confidential inquiry into quality of care before admission to intensive care. British Medical Journal, 316(7148), 1853-1858. http://dx.doi.org/10.1136/bmj.316.7148.1853 

  20. Mulligan, A. (2010). Validation of a physiological track and trigger score to identify developing critical illness in hematology patient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6(4), 196-206. http://dx.doi.org/10.1016/j.iccn.2010.03.002 

  21. Odell, M., Victor, C., & Oliver, D. (2009). Nurses' role in detecting deterioration in ward patient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10), 1992-200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109.x 

  22. Park, T., Hong, S. B., Lim, C. M., & Koh, Y. (2010). Effect of admission time to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on acute critical patient outcomes.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5(2), 71-75. http://dx.doi.org/10.4266/kjccm.2010.25.2.71 

  23. Subbe, C. P., Kruger, M., Rutherford, P., & Gemmel, L. (2001). Validation of a modified early warning score in medical admissions. QJM, 94(10), 521-526. http://dx.doi.org/10.1093/qjmed/94.10.521 

  24. Wilson, R. M., Harrison, B. T., Gibberd, R. W., & Hamilton, J. D. (1999).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adverse events from the Quality in Australian Health Care Study.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70(9), 411-415. 

  25. Vincent, J. L., De Mendonca, A., Cantraine, F., Moreno, R., Takala, J., Suter, P. M., et al (1998). Use of the SOFA score to assess the incidence of organ dysfunction/failure in intensive care units: results of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Critical Care Medicine, 26(11), 1793-180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