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환자실 조기 재입실 관련 위험요인
The Risk Factors Related to Early Re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2 no.1, 2019년, pp.36 - 45  

장진녕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  이윤미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건강과학연구소) ,  박효진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  이현주 (동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have been readmitted to ICU, and to analyz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eadmission to ICU within 48hour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electronic medical reports from one hospital in B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입실 시점의 중요한 임상적 가치를 고려할 때 48시간 이내 조기 재입실 관련 위험요인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조기 재입실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중환자실 조기 재입실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조기 재입실을 예방하고 중환자실 질 지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조기 재입실 환자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조기 재입실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하여 중환자실로의 재입실을 예방하고 중환자 관리의 질적 향상과 재입실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조기 재입실 환자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조기 재입실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하여 중환자실로의 재입실을 예방하고 중환자 관리의 질적 향상과 재입실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동으로 퇴실한 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퇴실 48시간 내에 중환자실로 조기 재입실한 환자현황과 특성을 조사하고 조기 재입실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조기 재입실한 환자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조기 재입실 관련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중환자실로의 조기 재입실을 예방하고 중환자 관리의 질적 향상과 재입실 여부를 예측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전체 중환자실 퇴실환자 2,937명 중 조기 재입실환자는 63명으로 2.
  • 본 연구는 중환자실 조기 재입실 관련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중환자 관리의 질적 향상과 재입실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을 위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은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은 무엇인가? 중환자실은 심각하고 위급한 질병을 가진 환자들이 임상적으로 안정적 상태로 나아가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관찰모니터, 인공호흡기, 제세동기 등과 같은 특수 의료장비를 갖추고 적극적인 중재술과 집중적인 간호가 이루어지는 곳이다(Watts, Pierson, & Gardner, 2007). 중환자실에서 치료 후 환자 상태가 호전되어 적절한 시기에 일반병동으로 퇴실하는 것은 환자 개인의 의료비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Zimmerman, 2008), 중환자실의 효율성을 높여 병원 전체의 비용감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Kim, 2008).
중환자실로의 재입실의 특징은 무엇인가? 중환자실로의 재입실은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 중환자실 및 병원 총재원기간의 증가 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며, 계획에 없던 중환자실의 재입실은 환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Cho, 2014). 중환자실에 재입실한다는 것은 환자의 상태가 다시 악화되었음을 나타내고, 그 원인이 불가항력적인 환자의 건강문제일 수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이전 중환자실 입실 시 충분한 치료를 받지 못했거나 조기 퇴실, 또는 일반병동에서 적절하지 못한 치료를 받았음을 반영한다(Rosenberg & Watts, 2000).
중환자실로의 재입실이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중환자실로의 재입실은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 중환자실 및 병원 총재원기간의 증가 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며, 계획에 없던 중환자실의 재입실은 환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Cho, 2014). 중환자실에 재입실한다는 것은 환자의 상태가 다시 악화되었음을 나타내고, 그 원인이 불가항력적인 환자의 건강문제일 수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이전 중환자실 입실 시 충분한 치료를 받지 못했거나 조기 퇴실, 또는 일반병동에서 적절하지 못한 치료를 받았음을 반영한다(Rosenberg & Watts, 2000). 미국 중환자의학회 질 지표 협의회(Quality Indicators Committee of the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는 중환자실에서의 의료의 질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중환자실 퇴실 후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을 질 지표로 제시하고 있다(Rosenberg & Watts,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udesteijn, E., Arbous, S., & Van Den Berg, P. (2007). Predictors of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 within 48 hours after discharge. Critical Care, 11(2), 475. 

  2. Brown, S. E., Ratcliffe, S. J., Kahn, J. M., & Halpern, S. D. (2012). The epidemiology of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5 (9), 955-964. 

  3. Chan, K. S., Tan, C. K., Fang, C. S., Tsai, C. L., Hou, C. C., Cheng, K. C., & Lee, M. C. (2009). Re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An indicator that reflects the potential risks of morbidity and mortality of surgical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Surgery Today, 39 (4), 295-299. 

  4. Cho, J. B. (2014). What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 means. Allergy Asthma Respiratory Disease, 2(2), 83-84. 

  5. Desautels, T., Das, R., Calvert, J., Trivedi, M., Summers, C., Wales, D. J., & Ercole, A. (2017). Prediction of early unplanned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 in a UK tertiary care hospital: A cross-sectional machine learning approach.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7 (9), e017199. 

  6. Elliott, M. (2006). Readmission to intensive c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ustralian Critical Care, 19 (3), 96-98, 100-104. 

  7. Elliott, M., Crookes, P., Worrall-Carter, L., & Page, K. (2011). Readmission to intensive care: A qualitative analysis of nurse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Heart & Lung, 40 (4), 299-309. 

  8. Elliott, M., Worrall-Carter, L., & Page, K. (2014). Intensive care readmission: A contemporary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30 (3), 121-37. 

  9. Frost, S. A., Tam, V., Alexandrou, E., Hunt, L., Salamonson, Y., Davidson, P. M,. . . . Hillman, K. M. (2010). Readmission to intensive care: Development of a nomogram for individualising risk. Critical Care and Resuscitation, 12 (2), 83-89. 

  10. Han, D. W., Koh, S. O., & Lee, M. W. (2003). Clinical features and risk factors of patients readmitted to ICU.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4(1), 78-83. 

  11. Han, D. W., Nam, S. B., Lee, W. K., Lee, J. S., Kim, C. S., & Shin, C. S. (2004).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re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7 (3), 385-388. 

  12. Hospital Nurses Association. (1994). The study on estimation of nursing cost. Seoul: Nursing in Living. 

  13.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05). Critical patient classification. Retrived November 23, 2017, from http://www.khna.or.kr/web/information/article_search.php 

  1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6). Results of 2014 ICU Suitability Evaluation. Retrived December 14, 2018, from http://www.hira.or.kr/re/diag/getDiagEvlList.do?pgmidHIRAA030004000100 

  1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8). Results of 2017 ICU Suitability Evaluation. Retrived November 14, 2018, from http://www.hira.or.kr/re/diag/getDiagEvlList.do?pgmidHIRAA030004000100 

  16. Kang, Y. A. (2014).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associated with unplanned ICU readmission after cardiac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17. Kim, N. M. (200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CU readmission and its related factors in adults. Health & Nursing, 20(1), 23-32. 

  18. Kim, Y. J., & Kim, K. S. (2013). Risk factors of unplanned readmission to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2), 265-274. 

  19. Knaus, W. A., Draper, E. A., Wagner, D. P., & Zimmerman, J. E. (1985). APACHE II: A severity of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Critical Care Medicine, 13 (10), 818-829. 

  20. Lin, F., Chaboyer, W., Wallis, M., & Miller, A. (2013).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ocess of intensive care patient discharge: An ethnographic study informed by activity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0 (8), 1054-1066. 

  21. Makris, N., Dulhunty, J. M., Paratz, J. D., Bandeshe, H., & Gowardman, J. R. (2010). Unplanned early re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A case-control study of patient, intensive care and ward-related factors. Anaesthesia and Intensive Care, 38 (4), 723-731. 

  22. Metnitz, P. G., Fieux, F., Jordan, B., Lang, T., Moreno, R., & Le Gall, J. R. (2003). Critically ill patients re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lessons to learn? Intensive Care Medicine, 29 (2), 241-248. 

  23. Nishi, G. K., Suh, R. H., Wilson, M. T., Cunneen, S. A., Margulies, D. R., & Shabot, M. M. (2003). Analysis of causes and prevention of early readmission to surgical intensive care. The American Surgeon, 69 (10), 913-917. 

  24. Rosenberg, A. L., & Watts, C. (2000). Patients readmitted to ICUs : A systematic review of risk factors and outcomes. Chest, 118 (2), 492-502. 

  25. Rojas, J. C., Carey, K. A., Edelson, D. P., Venable, L. R., Howel, M. D., & Churpek, M. M. (2018). Predicting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 with machine learning using electronic health record data. Annal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15 (7), 846-853. 

  26. Song, D. H., Lee, S. G., Kim, C. G., Choi, D. J., Lee, S. I., & Park, S. K. (2003). Unplanned readmission to intensive care unit during the same hospitalization at a teaching hospit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10(1), 28-41. 

  27. Watts, R., Pierson, J., & Gardner, H. (2007). Co-ordination of the discharge planning process in critical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1), 194-202. 

  28. Woldhek, A. L., Rijkenberg, S., Bosman, R. J., & van der Voort, P. H. (2017). Readmission of ICU patients: A quality indicator? Journal of Critical Care, 38, 328-334. 

  29. Wu, C. J., & Coyer, F. (2007). Reconsidering the transfer of patients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to the ward: A case study approach. Nursing & Health Sciences, 9 (1), 48-53. 

  30. Zimmerman, J. E. (2008).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 The issue is safety not frequency. Critical Care Medicine, 36 (3), 984-98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