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화호에서 하계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
Influence of Mesozooplankton on the Grazing Pressure of Planktonic Ciliates in Sihwa Lake During Summer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9 no.4, 2014년, pp.265 - 271  

홍현표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최중기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화호에서 식물플랑크톤섬모충류의 포식자인 중형동물플랑크톤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하계에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희석실험과 요각류 첨가 배양 실험을 병행하였다. 희석실험에서 섬모충류는 식물플랑크톤 생산량의 104%를 하루에 소비하였으나, 요각류 Acartia sinjiensis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섬모충류의 초식압은 19%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주요 초식자인 $>20{\mu}m$ 빈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선택적 섭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중형동물플랑크톤에 의해 섬모충류의 개체수가 강하게 지배되는 시기에는 섬모충류의 실제 초식압은 과대평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화호에서 요각류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춘계와 하계에는 식물플랑크톤의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은 크게 감소될 것으로 판단되며,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포식압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erformed dilution experiments together with copepod added incubation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esozooplankton on the grazing pressure of planktonic ciliates in Sihwa lake during summer when the abundances of phytoplankton and mesozooplankton increased considerably. Planktonic ciliates cons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화호에서 식물플랑크톤 및 섬모충류의 주 포식자인 중형동물플랑크톤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하계에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희석실험과 요각류 첨가 배양실험을 병행하였으며, 하계 시화호에서 중요한 초식자 그룹과 섬모충류에 대한 요각류의 먹이 선호도를 함께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형동물플랑크톤의 섬모충류와 종속영양와편모류는 무엇인가? 소형동물플랑크톤은 <200 µm의 포식성(phagotrophic) 원생생물 (protists)과 후생동물(metazoans)을 의미하며(Calbet and Alcaraz, 2009), 섬모충류와 종속영양와편모류는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가장 우점하는 원생생물분류군이다(Dolan and McKeon, 2004; Sherr and Sherr, 2007). 소형동물플랑크톤은 해양에서 일일 일차생산력의 59~74%를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일차생산자에 대한 주 포식자로 인식되고 있으며(Calbet and Landry, 2004), 특히,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주 포식자이다(Calbet, 2008).
소형동물플랑크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소형동물플랑크톤은 <200 µm의 포식성(phagotrophic) 원생생물 (protists)과 후생동물(metazoans)을 의미하며(Calbet and Alcaraz, 2009), 섬모충류와 종속영양와편모류는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가장 우점하는 원생생물분류군이다(Dolan and McKeon, 2004; Sherr and Sherr, 2007). 소형동물플랑크톤은 해양에서 일일 일차생산력의 59~74%를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일차생산자에 대한 주 포식자로 인식되고 있으며(Calbet and Landry, 2004), 특히,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주 포식자이다(Calbet, 2008).
소형동물플랑크톤과 달리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소형동물플랑크톤은 해양에서 일일 일차생산력의 59~74%를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일차생산자에 대한 주 포식자로 인식되고 있으며(Calbet and Landry, 2004), 특히,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주 포식자이다(Calbet, 2008). 반면 중형동물플랑크톤(특히, 요각류)은 >20 µm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을 주로 소비하며, 해역의 영양상태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먹이원으로 식물플랑크톤보다는 섬모충류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Verity and Paffenhöfer, 1996; Calbet and Saiz, 2005; Yang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k, S.H., K. You, B.S. Park, and M.S. Han, 2010. The seasonal variation of microbial community in the eutrophic brackish water of Lake Shihwa. Korean J. Limnol., 43: 55-68. 

  2. Calbet, A. and E. Saiz, 2005. The ciliate-copepod link in marine ecosystems. Aquat. microb. Ecol., 38: 157-167. 

  3. Calbet, A. and M. Alcaraz, 2009. Microzooplankton, key organisms in the pelagic food web. In Fisheries and aquaculture vol V. EOLSS p.227-242. 

  4. Calbet, A. and M. Landry, 2004. Phytoplankton growth, microzooplankton grazing, and carbon cycling in marine systems. Limnol. Oceanogr., 49: 51-57. 

  5. Calbet, A., 2008. The trophic roles of microzooplankton in marine systems. ICES J. Mar. Sci., 65: 325-331. 

  6. Calbet, A., I. Trepat, and R. Almeda, 2008. Impact of micro- and nano grazers on phytoplankton assessed by standard and sizefractionated dilution grazing experiments. Aquat. Microb. Ecol., 50: 145-156. 

  7. Dolan, J.R. and K. McKeon, 2004. The reliability of grazing rate estimates from dilution experiments: have we over-estimated rates of organic carbon consumption? Ocean. Sci. Discussions, 1: 21-36. 

  8. Edward, E.S., P.H. Burkill, and C.E. Stelfox, 1999. Zooplankton herbivory in the Arabian Sea during and after the SW monsoon, 1994. Deep-Sea Res. II, 46: 843-863. 

  9. Frost, B.W., 1972. Effects of size and concentration of food particles on the feeding behavior of the marine planktonic copepod Calanus pacificus. Limnol. Oceanogr., 17: 805-815. 

  10. Gallegos, C.L., 1989. Microzooplankton grazing on phytoplankton in the Rhode river, Maryland: nonlinear feeding kinetics. Mar. Ecol. Prog. Ser., 57: 23-33. 

  11. Graneli, E. and J.T. Turner, 2002. Top-down regulation in ctenophore - copepod - ciliate - diatom - phytoflagellate communities in coastal waters: a mesocosm study. Mar. Ecol. Prog. Ser., 239: 57-68. 

  12. Hansen, B., P.K. Bjornsen, and P.J. Hansen, 1994. The size ratio between planktonic predators and their prey. Limnol. Oceanogr., 39: 395-403. 

  13. Kim, T.H., Y.C. Park, H.J. Lee, D.H. Kim, J.K. Park, S.J. Kim, and N.Y. Lee, 2004.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seasonal variation on characteristics of geochemical parameters.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3: 1089-1102. 

  14. Landry, M.R. and R.P. Hassett, 1982. Estimating the grazing impact of marine micro-zooplankton. Mar. Biol., 67: 283-288. 

  15. Lawrence, C. and S. Menden-Deuer, 2012. Drivers of protistan grazing pressure: seasonal signals of 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Mar. Ecol. Prog. Ser., 459: 39-52. 

  16. Menden-Deuer, S. and E.J. Lessard, 2000. Carbon to volume relationships for dinoflagellates, diatoms, and protist plankton. Limnol. Oceanogr., 45: 569-579. 

  17. Nejstgaard, J.C., I. Gismervik, and P.T. Solberg, 1997. Feeding and reproduction by Calanus finmarchicus, and microzooplankton grazing during mesocosm blooms of diatoms and the coccolithophore Emiliania huxleyi. Mar. Ecol. Prog. Ser., 147: 197-217. 

  18. Nejstgaard, J.C., L.J. Naustvoll, and A. Sazhin, 2001. Correcting for underestimation of microzooplankton grazing in bottle incubation experiments with mesozooplankton. Mar. Ecol. Prog. Ser., 221: 59-75. 

  19. Saiz, E. and A. Calbet, 2011. Copepod feeding in the ocean: scaling patterns, composition of their diet and the bias of estimates due to microzooplankton grazing during incubations. Hydrobio., 666: 181-196. 

  20. Schmoker, C., S. Hernandez-Leon, and A. Calbet, 2013. Microzooplankton grazing in the oceans: impacts, data variability, knowledge gaps and future directions. J. Plankton. Res., 35: 691-706. 

  21. Sherr, E.B. and B.F. Sherr, 2007.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a significant component of microzooplankton biomass and major grazers of diatoms in the sea. Mar. Ecol. Prog. Ser., 352: 187-197. 

  22. Sherr, E.B., B.F. Sherr, and A.J. Hartz, 2009. Microzooplankton grazing impact in the Western Arctic Ocean. Deep-Sea Res. II, 56: 1264-1273. 

  23. Stoecker, D.K., A.E. Thessen, and D.E. Gustafson, 2008. "Windows of opportunity" for dinoflagellate blooms: Reduced microzooplankton net growth coupled to eutrophication. Harmful Algae, 8: 158-166. 

  24. Umani, S.F., V. Tirelli, A. Beran, and B. Guardiani, 2005. Relationships between microzooplankton and mesozooplankton: competition versus predation on natural assemblages of the Gulf of Trieste (northern Adriatic Sea). J. Plankton Res. 27: 973-986. 

  25. Verity, P.G. and G.A. Paffenhofer, 1996. On assessment of prey ingestion by copepods. J. Plankt. Res. 18: 1767-1779. 

  26. Verity, P.G., D.K. Stoecker, M.E. Sieracki, and J.R. Nelson, 1993. Grazing, growth and mortality of microzooplankton during the 1989 North Atlantic spring bloom at $45^{\circ}N$ , $18^{\circ}W$ . Deep-Sea Research, 40: 1793-1814 

  27. Yang, E.J. and J.K. Choi, 2009. Ingestion on planktonic ciliates by copepod Acartia hongi : A laboratory study. Ocean and Polar Res., 31: 265-276. 

  28. Yang, E.J., H.K. Kang, S.J. Yoo, and J.H. Hyun, 2009. Contribution of auto- and heterotrophic protozoa to the diet of copepod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Japan Sea. J. Plankton Res. 31: 647-659. 

  29. Yang, E.J., S.J. Ju, and J.K. Choi, 2010. Feeding activity of the copepod Acartia hongi on phytoplankton and micro-zooplankton in Gyeonggi Bay, Yellow Sea. Estu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88: 292-301. 

  30. Yoo, J.K., 2010. Spatio-tempor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Sihwa and coastal watera outside the Lake, Korea, and the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edominant copepods Acartia hudsonica and A. sinjiensis. Ph. D. Thesis, Inha University, Korea, 193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