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4개 주요항만(부산, 울산, 광양, 인천)에 분포하는 섬모충 플랑크톤의 계절동태 특성
Characteristic of Seasonal Dynamics of Planktonic Ciliates at Four Major Ports (Busan, Ulsan, Gwangyang and Incheon),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6 no.2, 2018년, pp.217 - 231  

양승우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이준백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김영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태기반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7년 2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국내의 4개 주요 항만(부산항, 울산항, 인천항, 광양항)에 분포하는 유종섬모충류의 계절적 출현양상과 선박평형수 벡터종(Coos Bay 벡터종 기준)의 계절적 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중 부산항과 울산항에서 유종섬모충류 난류종인 Ascampbeliella urceolata, Codonellopsis morchella, C. ostenfeldi, Dadayiella ganymedes, Eutintinnus stramentus, Protorhabdonella curta가 8월과 11월에 출현하였다. 인천항과 광양항에서는 전 계절을 통해 연안종이 출현하였고 특히 저수온기와 고수온기에 연안종의 출현이 뚜렷하였다. 광양항에서는 2007년 5월에 난류종 Tintinnopsis ampla의 출현과 2008년 11월에 C. ostenfeldi가 출현을 보였지만 인천항에서는 난류종의 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유종섬모충 출현분포의 특성은 연안종이 주로 출현하였으며, 부산항과 울산항에서 8월과 11월에 난류종이 중점적으로 출현하고 있는 것은 쿠로시오 해류(Kuroshio current)의 지류인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의 영향에 의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사 기간 중 주요 항만에서 출현한 유종섬모충류의 벡터종은 총 13종이었다. 광양항에서 13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인천항에서 6종으로 가장 적은 종수가 관찰되었으며 부산항과 울산항에서 각각 10종과 11종이 관찰되었다. 이들 벡터종은 부산항, 울산항, 광양항의 고수온기에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보인 반면, 인천항에서는 저수온기 2월에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보여 항만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해역에 영향을 주는 서로 다른 해류에 의한 유입종 연구와 선박 평형수에 의해 유입된 벡터종의 연구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주요 항만의 유종섬모충류의 종조성 차이에 대한 정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앞으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nktonic ciliat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od web of marine ecosystem as well as a bio-indicator for invasive species from ballast waters or from changing flow of ocean currents due to climate chang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some evidences for introduction of such invasive spe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7; KORDI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출입이 많은 국내의 4개 주요 항만(부산항, 울산항, 인천항, 광양항)에 분포하는 유종섬모충류의 계절적 출현양상과 선박평형수 벡터종(Coos Bay 벡터종 기준)의 계절적 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의 부유섬모충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해양의 부유섬모충은 체세포만으로 이루어진 무각섬모충(naked ciliates)과 키틴질 (chitin-like substance)의 껍데기(lorica, 종피 또는 피갑)를 갖는 유종섬모충(loricate ciliates 또는 tintinnids)으로 구분된다. 무각섬모충은 세포의 연약한 특성 때문에 이들의 채집과 분리 및 동정은 다른 그룹의 플랑크톤에 비해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유종섬모충은 타 섬모충에 비해 세포의 고정이 수월하며 피갑이 견고하고, 여러 가지 이물질을 각의 외부에 부착시키기도 하는데 종에 따라 일정한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비교적 동정이 용이하다(Kofoid and Campbell 1929, 1939).
해양생태계의 먹이 망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가? 해양생태계의 먹이 망은 매우 다양한 종류의 생물에 의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새로운 에너지 흐름 형태인 미세 생물고리(microbial loop)에서 미소플랑크톤(nanoplankton)과 초미소 플랑크톤 (picoplankton)의 중요성이 부각 되면서 더욱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e.g.
2007년 2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국내의 4개 주요 항만(부산항, 울산항, 인천항, 광양항)에 분포하는 유종 섬모충류의 계절적 출현양상과 선박평형수 벡터종(Coos Bay 벡터종기준)의 계절적 출현양상을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2007년 2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국내의 4개 주요 항만(부산항, 울산항, 인천항, 광양항)에 분포하는 유종섬모충류의 계절적 출현양상과 선박평형수 벡터종(Coos Bay 벡터종기준)의 계절적 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중 부산항과 울산항에서 유종섬모충류 난류종인 Ascampbeliella urceolata, Codonellopsis morchella, C. ostenfeldi, Dadayiella ganymedes, Eutintinnus stramentus, Protorhabdonella curta가 8월과 11월에 출현하였다. 인천항과 광양항에서는 전 계절을 통해 연안종이 출현하였고 특히 저수온기와 고수온기에 연안종의 출현이 뚜렷하였다. 광양항에서는 2007년 5월에 난류종 Tintinnopsis ampla의 출현과 2008년 11월에 C. ostenfeldi가 출현을 보였지만 인천항에서는 난류종의 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유종섬모충 출현분포의 특성은 연안종이 주로 출현하였으며, 부산항과 울산항에서 8월과 11월에 난류 종이 중점적으로 출현하고 있는 것은 쿠로시오 해류(Kuroshio current)의 지류인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의 영향에 의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사 기간 중주요 항만에서 출현한 유종섬모충류의 벡터종은 총 13종이었다. 광양항에서 13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인천항에서 6종으로 가장 적은 종수가 관찰되었으며 부산항과 울산항에서 각각 10종과 11종이 관찰되었다. 이들 벡터종은 부산항, 울산항, 광양항의 고수온기에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보인 반면, 인천항에서는 저수온기 2월에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보여 항만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해역에 영향을 주는 서로 다른 해류에 의한 유입종 연구와 선박 평형수에 의해 유입된 벡터종의 연구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주요 항만의 유종섬모충류의 종조성 차이에 대한 정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앞으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lder VA. 1999. Tintinninea. pp. 321-384. In South Atlantic Zooplankton Vol. 1 (Boltovskoy D ed.). Backhuys Publishers, Leiden, Netherlands. 

  2. Choi JK and JH Shim. 1986.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II. Phytoplankton composition, standing crops, tychopelagic plankton. J. Kor. Soc. Oceanogr. 23:1-12. 

  3. Hada Y. 1932a. Description of two new neritic Tintinnoinea, Tintinnopsis japonica and Tintinnopsis kofoidi with a brief note on a unicellular organism parasitic on the latter. Proc. Imp. Acad. 8:209-212. 

  4. Hada Y. 1932b. The tintinnoidea from Sea of Okhotsk and its neighbourhood. J. Fac. Sci. Hokkaido Imp. Univ. Ser. 4, 2: 37-59. 

  5. Hada Y. 1932c. Report of the biological survey of Mutsu Bay, 26. The pelagic Ciliata, suborder Tintinnoinea. Sci. Rep. Tohoku Imp. Univ. 4th Ser. Biol. 7:553-573. 

  6. Hada Y. 1935. On the pelagic Ciliata, Tintinnoinea, from the East Indies with consideration on the character of the plankton in the seas. Bull. Jap. Soc. Sci. Fish. 4:242-252. 

  7. Hada Y. 1937. The fauna of Akkeshi Bay. IV. The pelagic Ciliata. J. Far. Sci. Hokkaido Imp. Univ. Ser. 4 Zool. 5:143-216. 

  8. Hada Y. 1938. Studies on the Tintinnoinea from the western tropical Pacific. J. Fac. Sci. Hokkaido Imp. Univ. Ser. 6 Zool. 6:87-190. 

  9. Hada Y. 1957. The Tintinnoinea, useful microplankton for judging oceanographical conditions. Inform. Bull. Planktol. Japan 5:10-12. 

  10. Han GB and WJ Lee. 2010. Tempor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planktonic tintinneds (Protist, Ciliophora) in the Korea Strait. 'The Sea' J. Kor. Soc. Oceanol. 15:176-183. (in Korean) 

  11. Jeong HJ, YD Yoo and JS Kim. 2002. Outbreak of red t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southern Saemankeum areas, Jeonbuk, Korea 2. Temporal variations in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and ciliates in the summer-fall of 1999. 'The Sea' J. Kor. Soc. Oceanol. 7:140-147. (in Korean) 

  12. Jung JH, MH Park, SY Kim, JM Choi, GS Min and YO Kim. 2017. Checklist of Korean ciliates (Protozoa: Ciliophora). J. Species Res. 6:241-257. 

  13. Kang JH. 20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arrying capacity of the potentially risky species Noctiluca scintillans at international Korean seaports. Ocean and Polar Res. 32:449-462. (in Korean) 

  14. Kim YH and JB Lee. 2003. Season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planktonic ciliat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The Sea' J. Kor. Soc. Oceanol. 8:59-69. (in Korean) 

  15. Kim YO, J Chae, JS Hong and PG Jang. 2007a.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ciliate plankton in inner and outer areas of a harbor divided by an artificial breakwater. Mar. Environ. Res. 64:38-53. 

  16. Kim YO, HW Choi, MC Jang, PK Jang, WJ Lee, K Shin and M Jang. 2007b. A brief review of approaches using planktonic organisms to assess marine ecosystem health. Ocean and Polar Res. 29:327-337. (in Korean) 

  17. Kim YO and MC Jang. 2008. Temporal distribution of planktonic ciliates in Jangmok Bay, south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30:419-426. (in Korean) 

  18. Kim YO, K Shin, PG Jang, HW Choi, JH Noh, EJ Yang, E Kim and D Jeon. 2012. Tintinnid species as biological indicators for monitoring intrusion of the warm oceanic waters into Korean coastal waters. Ocean Sci. J. 47:161-172. 

  19. Kofoid CA and AS Campbell. 1929. A conspectus of the marine and freshwater ciliata belonging to the suborder Tintinnoinea, with descriptions of new species principally from the Agassiz Expedition to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1904-1905. Univ. California Publ. Zool. 34:1-403. 

  20. Kofoid CA and AS Campbell. 1939. Reports on the scientific results of the expedition to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in charge of Alexander Agassiz, by U.S. Fish Commission Stremer "Albatross" from October 1904 to March 1905. The Ciliata: the Tintinnoinea. Bull. Mus. Comp. Zool. 84:1-473. 

  21. Koh BS, JH Lee and JS Hong. 1997.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 of Incheon, Korea. 'The Sea' J. Kor. Soc. Oceanol. 2:31-41. (in Korean) 

  22. KORDI. 2009. Development of Port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Technology. 290 pp. (in Korean) 

  23. Lee JB and YH Kim. 1999. Distribution of tintinnids in the south Korean waters, the East Sea, and the East China Sea in the summer of 1998. Bull. Mar. Res. Inst. Cheju Nat. Univ. 23:29-37. 

  24. Lee JB and YH Kim. 2000. Taxonomical descriptions of planktonic ciliates in the southwestern coastal waters, the East China Sea and Yellow Sea. Bull. Mar. Res. Inst. Cheju Nat. Univ. 24:55-77. 

  25. Pierce RW and JT Turner. 1992. Ecology of planktonic ciliates in marine food webs. Rev. Aquat. Sci. 6:139-181. 

  26. Pierce RW and JT Turner. 1993. Global biogeography of marine tintinnids. Mar. Ecol. Prog. Ser. 94:11-26. 

  27. Pierce RW, JT Carlton, DA Carlton and JB Geller. 1997. Ballast water as a vector for tintinnid transport. Mar. Ecol. Prog. Ser. 149:295-297. 

  28. Pomeroy LR. 1974. The ocean's food web, a changing paradigm. Bioscience 24:499-504. 

  29. Seo JY, SH Park, HS Lim, M Chang and JW Choi. 2009.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zoobenthos during summer in the Incheon and Busan harbors,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7:6-19. (in Korean) 

  30. Yang EJ and JK Choi. 2007. Short-term variations in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and heterotrophic protozoa during the early fall phytoplankton blooms in the coastal water off Incheon, Korea. Ocean and Polar Res. 29:101-112. (in Korean) 

  31. Yoo JS, JH Lee and IK Lee. 1997.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factors of Incheon Dock ecosystem, Korea. Korean J. Ecol. 20:61-68. (in Korean) 

  32. Yoo JS, YH Kim, JH Lee and IK Lee. 1992. Fluctu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closed marine ecosystem, Incheon Dock. Korean J. Bot. 35:323-33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