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존기간을 고려한 생애소득대체율의 추정
The estimation of lifetime income replacement rat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5 no.6, 2014년, pp.1315 - 1331  

신승희 (국민연금연구원) ,  손현섭 (성균관대학교 보험계리학과) ,  이항석 (성균관대학교 보험계리학과)

초록

소득대체율은 은퇴 전 소득 대비 은퇴 후 소득이 어느 정도 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사회보장제도의 급여수준이나 노후대비소득의 적정성을 논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기존 연구들은 소득대체율 개념을 통해 은퇴시점이나 특정 은퇴기간의 은퇴소득을 진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애에 초점을 두고 생존기간에 따라 소득대체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으며, 생존기간에 따른 소득대체율을 하나의 지표 값으로 나타내어 분석하였다. 이를 생애소득대체율로 명명하였으며, 분석결과 3대 연금에 모두 20년 가입 시 남자의 생애소득대체율은 38.3%, 여자의 생애소득대체율은 41.1%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placement rates which shows the ratio of retirement income relative to preretirement income is used for a valuable evaluation measures while discussing social security benefit levels or the adequacy of retirement income. However, replacement rates has been only used for an index for evaluating b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생존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생애 연금 급여수준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서는 노후생활의 재정적인 측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생존기간 증가에 따른 생애 연금 급여수준의 변동성이 어느 정도인지 측정해 보았다. Figure 3.
  • 소득대체율을 다룬 해외 연구로 Eugene 등 (2000)은 최종소득, 근로 기간 중의 가장 높은 소득, 평균소득 등 은퇴 전 소득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소득대체율이 민감하게 달라질 수 있음을 실적 자료에 기초한 연령별 소득프로파일을 통해 설명하였다. 또한 은퇴를 준비하는 개인 또는 정책입안자들을 위해 소득대체율이 다양하게 개념화되고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5는 할인율을 물가상승률(3%) 보다 높은 4%로 가정한 분석결과로 국민연금을 포함한 3대 연금 모두 수급시점이 경과할수록 실질적인 급여수준이 감소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렇듯 수급시점이 경과함에 따라 즉, 고연령이 됨에 따라 실질적인 연금 급여수준이 감소하는 것을 소득대체율 산출 시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좀 더 포괄적으로 은퇴 소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출방법1, 2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존기간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소득대체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생애소득대체율로 명명하였으며 은퇴 전 소득 대비 은퇴 후 소득 (또는 연금)을 생존 기간 확률로 가중 평균하여 산출하였다 (산출방법3).
  • 생애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노후자산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기대수명의 증가 추세나 장수에 대한 리스크를 반영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존기간에 따라 소득대체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으며, 생존기간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생애소득대체율 산출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생애소득대체율 개념을 통해 우리나라 3대 연금인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노후보장수준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금에 초점을 두고 연금의 소득대체율 (pension replacement rates)을 산출하고자 하며, 은퇴 전 소득의 경우 근로기간의 소득을 대표할 수 있는 생애평균소득을 기준으로 하였다. 따라서 소득대체율은 식 (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3대 연금인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의 급여 수준을 소득대체율 개념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는데, 공·사적연금은 기본적으로 연금급여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형평성 있는 비교를 위해서는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 있다.
  • 소득대체율은 노후소득 수준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써 많은 연구에서 소득대체율을 개념을 이용한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기존 연구들은 소득대체율 개념을 통해 은퇴시점이나 특정 은퇴기간의 은퇴소득만을 진단하고 있어 기대수명의 증가 추세나 장수에 대한 리스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존기간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생애소득대체율 산출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생애소득대체율을 통해 우리나라 3대 연금의 노후보장수준을 분석함으로써 은퇴기간에 걸친 은퇴소득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
  •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산출방법1과 같이 수급 첫해의 연금급여를 기준으로 소득대체율을 산출하는데, 이를 통해 은퇴 시점에 예상되는 급여 수준을 알 수 있다. 참고로 국민연금도 수급 첫해의 연금급여를 기준으로 소득대체율을 제시하고 있는데, 연금제도에서 설계된 연금의 급여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넷째, 소득 대비 보험료 부담률 (보험료율)은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의 경우 「국민연금법」과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안」에 따라 각각 현행 9%와 8.3%를 적용하였으며, 개인연금의 경우 분석 자료의 부재로 국민연금과 동일한 9%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개인연금의 경우 실질적인 부담률과 괴리가 있을 수 있다.
  • 여자는 30대 초반에 최고점에 도달하고 이후 감소하다 50대 이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분석에서는 성별, 연령별 소득지수를 이용하였으며, 연도별로 동일한 연령별 소득지수를 가정하였다.
  • 셋째, 2014년 신규가입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수급연령은 60세로 가정하였다. 연금액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입기간은 현실적인 근로기간을 고려하기 위해 20년, 30년, 그리고 40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각 연금의 가입기간은 동일하게 가정하였다.
  • 여섯째, 경제변수는 최근 5년 간 (2009년∼2013년)의 실적을 고려하여 물가상승률은 3%, 임금상승률은 4%로 불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셋째, 2014년 신규가입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수급연령은 60세로 가정하였다. 연금액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입기간은 현실적인 근로기간을 고려하기 위해 20년, 30년, 그리고 40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각 연금의 가입기간은 동일하게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득대체율은 무엇인가? 소득대체율은 은퇴 전 소득 대비 은퇴 후 소득이 어느 정도 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사회보장제도의 급여수준이나 노후대비소득의 적정성을 논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기존 연구들은 소득대체율 개념을 통해 은퇴시점이나 특정 은퇴기간의 은퇴소득을 진단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최종소득을 기준으로 소득대체율을 계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보통 임금변동이 물가변동에 비해 크므로 소득에 임금변동을 반영하는 경우 물가변동을 반영한 경우보다 생애평균소득이 높게 나타난다. 반면 많은 선행 연구에서 최종소득 (또는 은퇴 전 몇 년간의 평균소득)을 기준으로 소득대체율을 계산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확정급여형 연금제도 (defined pension plans)가 최종소득을 기준으로 연금액을 산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최종소득은 추세를 이용한 예측이 수월하고 은퇴 전·후 소득의 비교를 통해 은퇴 직후 소비의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생애소득대체율의 장점은 무엇인가? 생애소득대체율로 명명하였으며 은퇴 전 소득 대비 은퇴 후 소득 (또는 연금)을 생존 기간 확률로 가중 평균하여 산출하였다 (산출방법3). 생존기간의 불확실성과 연금의 실질가치가 모두 반영된 지표로 은퇴기간에 걸친 연금급여 수준을 포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lan F. (1979). Earnings replacement rates of retired couples: Findings from the retirement history study. Social Security Bulletin, 42, 17-39. 

  2. An, C. and Jeon, S. (2005). Measuring the optimal income replacement ratio. Association of Korean Economic Studies, 15, 5-33. 

  3. Andrew, G. B. and Glenn R. S. (2008). Alternate measures of replacement rates for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retirement income. Social Security Bulletin, 68, 1-19. 

  4. Eugene, S. and Christopher, S. and Adam, C. (2000). Measuring replacement rates at retirement, Straight Talk on Social Security and Retirement Policy, Washington, DC. 

  5. Han, J and Lee, H. (2013). An actuarial structure of income replacement ratio in pensions and individual annu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1385-1400. 

  6. James, P. S. (2003). Trends and projections in income replacement during retirement. Journal of Labor Economics, 21, 755-781. 

  7. Kang, S. H. (2011). The estimation of public and private pension benefits in lifetime. Korean Insurance Academic Society, 88, 51-87. 

  8. OECD. (2013). Pensions at glance 2013, OECD Publishing, Paris. 

  9. Ryu, K. and Lee, B. (2008). Analysis of old-age income security effectiveness under private pension system.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or, 28, 189-205. 

  10. Ryu, K. and Lee, B. and Kim, D. (2009). Replacement rate of private pensions and the adequacy of retirement income security in Korea. Korean Insurance Academic Society, 83, 93-121. 

  11. Schieber, S. J. (1998). Deriving preretirement income replacement rates and the savings rates needed to meet them. Benefit Quarterly, 14, 27-39. 

  12. Seok, S. H. (2010). Longitudinal evidence on the income replacement ratio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Announcement, 30, 5-28. 

  13. Susan, G. (1990). Earnings replacement rates of new retired workers. Social Security Bulletin, 53, 2-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