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부의 사망시차 및 생존기간의 종속관계 분석 -국민연금의 유족연금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
Analysis of mortality after death of spouse in relation to duration of bereavement and dependence relation between married couple -using married couples data from survivor's pension of National Pension Servic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6 no.4, 2015년, pp.931 - 946  

백혜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정림 (국민연금연구원) ,  이항석 (성균관대학교 보험계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부 또는 가족 등의 혈연관계는 생활환경 및 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에 그들의 생존기간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부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관 분석을 위해 피어슨의 상관계수, 스피어만의 상관계수, 그리고 켄달의 타우를 계산해 본다. 또한, 부부 중 한 명이 사망 후 최종생존자가 사망할 때까지의 사망시차를 분석하여 부부의 사망 시점 간에 종속관계에 대하여도 분석하도록 한다. 실제로 보험에 함께 가입한 부부나 가족은 생존기간 또는 사망시점 간에 상관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들의 생존기간이 독립이라 가정하는 보험 실무 방법 대신 상관성을 고려하여 보험 상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더 타당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부부 중 한 명의 배우자의 사망으로 인한 최종생존자의 잔존생존기간의 변화를 분석하여 연생보험의 보험료 및 준비금 산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multiple life insurance products consider benefits that are contingent on the combined survival status of two lives. To value premiums of the insurance products accurately, we need to consider the impact of the survivorship of one life on another. To show a dependence relation between marrie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부나 가족 등의 혈연관계는 생활 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에 그들의 생존 기간 간에 상관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히 실제 부부 사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관성을 측정해 보고, 이러한 상관성을 연생 보험의 보험료 및 준비금 산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로 제시해 보고자 사별 후 최종생존자의 사망이 발생할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의 패턴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망시차도 함께 분석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은 우리나라의 실제 부부 사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관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는 드물며, 또한 사별 후 최종생존자의 생존기간을 분석한 연구 또한 국 내 연구에서는 많지 않다는 점이다.
  • 실제로 보험에 함께 가입한 부부나 가족은 생활 패턴 및 환경이 비슷하기 때문에 실무 방법 대신 그들의 생존기간에 대하여 상관성을 고려하여 보험 상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더 타당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평가 방식의 타당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국민연금의 유족연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부의 생존기간 간에 상관성이 존재함을 보이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부의 사망시점에 대한 상관관계와 서로의 사망으로 인한 생존기간을 실증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은 국민연금 현재 가입자, 과거에 가입했던 자, 장애 2급 이상으로 장애연금을 받고 있는 자, 또는 노령연금을 받고 있는 자가 사망했을 경우 유족에게 지급되는 연금이다.
  • 이때 이 추정량이 진정한 평균 θ = EF [X]를 추정하는데 얼마나 정확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확률변수 X1, X2, · · · , Xn (독립, 동일 분포 가정)들이 미지의 분포함수 F를 각각 따른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생 보험의 경우 가입하는 두 명 이상의 가족 혹은 부부간 그들의 생존기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이유는? 부부나 가족 등 두 명 이상이 함께 가입할 수 있는 연생 보험의 경우 가입하는 사람들이 공통적인 생활환경을 공유하기 때문에 그들의 생존기간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가입자들의 생존기간에 대한 결합분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보험 실무에서 연생 보험 상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따라서 가입자들의 생존기간에 대한 결합분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험 실무에서 연생 보험 상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계산의 편의성을 들어 연생보험에 가입한 가입자들 간의 생존기간을 독립이라 가정하고 있다. 실제로 보험에 함께 가입한 부부나 가족은 생활 패턴 및 환경이 비슷하기 때문에 실무 방법 대신 그들의 생존기간에 대하여 상관성을 고려하여 보험 상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더 타당할 수 있다.
연생보험 가입자들의 상관성을 위해 코퓰라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연생보험 가입자들의 상관성을 반영하는 연구에서는 주로 코퓰라 모형을 사용하였고, 특히 Frees 등 (1996)는 실제 부부 데이터에 코퓰라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관성을 나타내는 모수가 스 피어만의 상관계수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기준으로 0.49 정도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Youn과 Shemyakin (1999), Youn과 Shemyakin (2001), Youn 등 (2002)과 Luciano 등 (2008)는 Frees 등 (1996)이 사용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Archimedean copulas 중 적합한 코퓰라를 선택하여 연생 보험 상품의 보험료 및 준비금을 산출하기 위해 세대별로 다른 코퓰라 모형과 그에 따른 모수들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ristakis, N. A. and Allison, P. D. (2006). Mortality after the hospitalization of a spous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4, 719-730. 

  2. Elwert, F. and Christakis, N. A. (2008). The effect of widowhood on mortality by the causes of death of both spous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 2092-2098. 

  3. Frees, E. W., Carriere, J. F. and Valdez, E. (1996). Annuity valuation with dependent Mortality. Journal of Risk and Insurance, 63, 229-261. 

  4. Han, J. and Lee, H. (2013a). An actuarial structure of income replacement ratio in pensions and individual annu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1385-1400. 

  5. Han, J. and Lee, H. (2013b). Estimation of Life Expectancy and Benefit-Cost Analysis of Beneficiaries of National Pension Old-Age Benefit.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36, 119-143. 

  6. Holden, K. C., Kim, J. and Novak, B. (2010). Psychological adjustment to widowhood: The role of income, wealth and time . Society of Actuaries and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USA. 

  7. Hougaard, P. (2000). Analysis of multivariate survival data, Springer, New York. 

  8. Jagger, C. and Sutton, C. J. (1991). Death after marital bereavement-Is the risk increased? Statistics in Medicine, 10, 395-404. 

  9. Jun, M. S. (1997). Understanding the bootstrap method, Freeacademy, Korea. 

  10. Jung, S. (2013). The limitation of the public pension and the ways to boost the retirement pens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 3409-3420. 

  11. Klugman, S., Panjer, H. H. and Willmot, G. E. (2010). A loss models: From data to decisions.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12. Lee, W. and Ahn, J. Y. (2013). On the Application of Multivariate Kendall's Tau and Its Interpretation.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6, 495-509. 

  13. Luciano, E., Spreeuw, J. and Vigna, E. (2008). Modelling stochastic mortality for dependent lives. Insurance, Mathematics and Economics, 43, 234-244. 

  14. Martikainen, P. and Valkonen, T. (1996a). Mortality after death of spouse in relation to duration of bereavement in Finland.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0, 264-268. 

  15. Martikainen, P. and Valkonen, T. (1996b). Mortality after the death of a spouse: Rates and causes of death in a large Finnish cohor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6, 1087-1093. 

  16. Martikainen, P., Martelin, T., Nihtila, E., Majamaa, J. and Koskinen, S. (2005). Differences in mortality by marital status in Finland from 1976 to 2000: Analyses of changes in marital-status distributions, socio-demographic and household composition, and cause of death. Population Studies, 59, 99-115. 

  17. Parkes, C. M., Benjamin, B. and Fitzgerald, R. G. (1969). Broken heart: A statistical study of increased mortality among widowers. British Medical Journal, 1, 740-743. 

  18. Rolden, Herbert J. A., van Bodegom, D. and Westendorp, R. G. (2014). Changes in health care expenditure after the loss of a spouse: Data on 6,487 older widows and widowers in the Netherlands. PLos ONE, 9, e115478. 

  19. Ryu, J. H. and Kim, K. (2013). A Study on developing business life tab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 165-175. 

  20. Ryu, J. H., Choi, H. and Kim, K. (2014). A study on business life table by regions and industri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 667-679. 

  21. Shin, K. H. (2006). Actuarial Estimates of Disability Pensioners and Survivor Pensioners in the National Pension,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Korea. 

  22. Shin, S., Son, H. and Lee, H. (2014). The estimation of lifetime income replacement rat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1315-1331. 

  23. Song, M. and Huh, M. (2002). Mathematical Statistics, Parkyoungsa, Korea. 

  24. Song, P. and Kim, J. (2012).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ased on variable selection of the university evaluation index.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457-465. 

  25. Spreeuw, J. and Owadally, I. (2012). Investigating the Broken-Heart effect: A model for short-term dependence between the remaining lifetimes of joint lives. Annals of Actuarial Science, 7, 236-257. 

  26. Youn, H. and Shemyakin A. (1999). Statistical aspects of joint life insurance pricing. Proceedings of the business and economic statistics section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34-38. 

  27. Youn, H. and Shemyakin A. (2001). Pricing practices for joint last survivor insurance. Actuarial Research Clearing House, 1, 3-14. 

  28. Youn, H., Shemyakin A. and Herman, E. (2002). A re-examination of the joint mortality functions. North American Actuarial Journal, 6, 166-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