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기암환자에서 혈청 비타민 C 농도와 연관된 인자들
Factors Related to Serum Vitamin C Level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7 no.4, 2014년, pp.241 - 247  

김형준 (가천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  황인철 (가천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  염창환 (유셀의원) ,  안홍엽 (동국대학교 통계학과) ,  최윤선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  이재준 (가천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  임수혁 (가천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혈청 비타민 C 수치는 체내 항산화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암환자에서는 정상인에 비해 감소되어 있다. 하지만, 이 지표가 말기암환자에서 어느 정도 감소되어 있고, 그 감소에 어떤 요인들이 관련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방법: 두 개 기관의 완화의료병동에 입원했던 암환자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 성별, 암의 종류, 기능상태, 임상증상, 완치 목적의 암 치료력, 그리고 혈청 비타민 C를 포함한 혈액검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혈청 비타민 C 수치의 사분위수를 기준으로 두 군(3사분위수 이하 vs. 4 사분위수)으로 분류한 후 각 군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단계적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혈청 비타민 C 수치와 관련된 인자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혈청 비타민 C의 평균은 $0.44{\mu}g/mL$이었으며, 대상자 전체가 비타민 C 결핍에 해당되었다. 단변량 분석에서는, 비폐암 환자이거나(P=0.041) 발열이 있는 환자(P=0.034)에서 낮은 혈청 비타민 C 수치를 보였다. 폐암, 발열, 삼킴곤란, 호흡곤란, C 반응단백, 그리고 항암화학요법 등의 잠재적인 인자들을 보정한 다변량 분석에서, 낮은 혈청 비타민 C 수치를 나타낼 가능성은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3.7배 높았고(P=0.046), 발열이 있는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7.22배 높았다(P=0.020). 결론: 말기암환자에서 비타민 C 부족은 매우 심각하였고, 항암화학요법 치료력과 발열이 관련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erum vitamin C is one of the indicators for antioxidant levels in the body and it is lower in cancer patients compared with the healthy population.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levels of serum vitamin C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nd related factors. Methods: We fol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의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혈청 비타민 C 부족 현황 및 그와 관련된 인자를 찾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 혈청 비타민 C 수치는 현저히 감소되어 있었으며, 그러한 결핍은 항암요법을 받은 환자와 발열이 있는 환자에서 유의하였다.
  • 하지만, 말기암환자에서 혈청 비타민 C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15).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말기암환자의 비타민 C부족의 정도를 살펴보고, 그와 관련된 인자를 추출함으로써 말기암환자에 있어서 비타민 C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나아가 이러한 환자군에서 향후 비타민 C의 중재연구에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는 악성종양 환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악성종양 환자에서는 에너지 대사의 변화나 만성 염증 반응, 그리고 항암제의 사용 등에 의해 산화 스트레스가 증가한다(1,2).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는 항산화제와 산화 스트레스의 불균형을 가져와 암 신생을 더 자극하거나, 구역, 피로, 식욕저하, 무력감 등의 다양한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3,4). 산화 스트레스는 우리 몸에 있거나 외부에서 섭취를 통해 얻어지는 항산화물질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조절되는데, 그 중 최근까지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것이 비타민 C이다(5,6).
암환자에게 혈청 비타민 C는 어떠한 효과를 가져다주는가? 암환자에서는 일반인에 비해 혈청 비타민 C의 농도가 낮고(9), 특정 암에서 생존율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10). 이러한 결과는 항암 치료의 효과는 상승시키고 부작용은 완화하는 기전으로 주로 설명되고 있어(11), 최근에는 다양한 중재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2-14). 하지만, 말기암환자에서 혈청 비타민 C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15).
산화 스트레스는 어떻게 조절되는가?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는 항산화제와 산화 스트레스의 불균형을 가져와 암 신생을 더 자극하거나, 구역, 피로, 식욕저하, 무력감 등의 다양한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3,4). 산화 스트레스는 우리 몸에 있거나 외부에서 섭취를 통해 얻어지는 항산화물질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조절되는데, 그 중 최근까지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것이 비타민 C이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Weijl NI, Cleton FJ, Osanto S.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chemotherapy-induced toxicity. Cancer Treat Rev 1997;23:209-40. 

  2. Sabitha KE, Shyamaladevi CS. Oxidant and antioxidant activity changes in patients with oral cancer and treated with radiotherapy. Oral Oncol 1999;35:273-7. 

  3. Yeh CC, Hou MF, Tsai SM, Lin SK, Hsiao JK, Huang JC, et al. Superoxide anion radical, lipid peroxides and antioxidant status in the blood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Clin Chim Acta 2005; 361:104-11. 

  4. Pathak SK, Sharma RA, Steward WP, Mellon JK, Griffiths TR, Gescher AJ. Oxidative stress and cyclooxygenase activity in prostate carcinogenesis: targets for chemopreventive strategies. Eur J Cancer 2005;41:61-70. 

  5. Mantovani G, Maccio A, Madeddu C, Mura L, Massa E, Gramignano G, et al. Reactive oxygen species, antioxidant mechanisms and serum cytokine levels in cancer patients: impact of an antioxidant treatment. J Cell Mol Med 2002;6:570-82. 

  6. Park S. The effects of high concentrations of vitamin C on cancer cells. Nutrients 2013;5:3496-505. 

  7. Chatterjee IB, Majumder AK, Nandi BK, Subramanian N. Synthesis and some major functions of vitamin C in animals. Ann N Y Acad Sci 1975;258:24-47. 

  8. Chambial S, Dwivedi S, Shukla KK, John PJ, Sharma P. Vitamin C in disease prevention and cure: an overview. Indian J Clin Biochem 2013;28:314-28. 

  9. Mahdavi R, Faramarzi E, Seyedrezazadeh E, Mohammad-Zadeh M, Pourmoghaddam M. Evaluation of oxidative stress, antioxidant status and serum vitamin C levels in cancer patients. Biol Trace Elem Res 2009;130:1-6. 

  10. Harris HR, Orsini N, Wolk A. Vitamin C and survival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a meta-analysis. Eur J Cancer 2014; 50:1223-31. 

  11. Lee KW, Lee HJ, Surh YJ, Lee CY. Vitamin C and cancer chemoprevention: reappraisal. Am J Clin Nutr 2003;78:1074-8. 

  12. Ma Y, Chapman J, Levine M, Polireddy K, Drisko J, Chen Q. High-dose parenteral ascorbate enhanced chemosensitivity of ovarian cancer and reduced toxicity of chemotherapy. Sci Transl Med 2014;6:222ra18. 

  13. Carr AC, Vissers MC, Cook J. Relief from cancer chemotherapy side effects with pharmacologic vitamin C. N Z Med J 2014; 127:66-70. 

  14. Padayatty SJ, Riordan HD, Hewitt SM, Katz A, Hoffer LJ, Levine M. Intravenously administered vitamin C as cancer therapy: three cases. CMAJ 2006;174:937-42. 

  15. Mayland CR, Bennett MI, Allan K. Vitamin C deficiency in cancer patients. Palliat Med 2005;19:17-20. 

  16. Yeom CH, Choi YS, Ahn HY, Lee SH, Hwang IC. Oxidative stress level is not associated with survival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 preliminary study. BMC Palliat Care 2014;13:14. 

  17. Yun YH, Heo DS, Heo BY, Yoo TW, Bae JM, Ahn SH. Development of terminal cancer prognostic score as an index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Oncol Rep 2001;8:795-800. 

  18. Manju V, Kalaivani Sailaja J, Nalini N. Circulating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status in cervical cancer patients: a case-control study. Clin Biochem 2002;35:621-5. 

  19. Senthil K, Aranganathan S, Nalini N. Evidence of oxidative stress in the circulation of ovarian cancer patients. Clin Chim Acta 2004;339:27-32. 

  20. Guo WD, Chow WH, Zheng W, Li JY, Blot WJ. Diet, serum markers and breast cancer mortality in China. Jpn J Cancer Res 1994;85:572-7. 

  21. Mayr VD, Dunser MW, Greil V, Jochberger S, Luckner G, Ulmer H, et al. Causes of death and determinants of outcome in critically ill patients. Crit Care 2006;10:R154. 

  22. Hui D, dos Santos R, Chisholm G, Bansal S, Silva TB, Kilgore K, et al. Clinical signs of impending death in cancer patients. Oncologist 2014;19:681-7. 

  23. Reuter S, Gupta SC, Chaturvedi MM, Aggarwal BB.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cancer: how are they linked? Free Radic Biol Med 2010;49:1603-16. 

  24. Vera-Ramirez L, Sanchez-Rovira P, Ramirez-Tortosa MC, Ramirez-Tortosa CL, Granados-Principal S, Lorente JA, et al. Oxidative stress status in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palliative chemotherapy and its impact on survival rates. Free Radic Res 2012;46:2-10. 

  25. Vera-Ramirez L, Sanchez-Rovira P, Ramirez-Tortosa MC, Ramirez-Tortosa CL, Granados-Principal S, Fernandez-Navarro M, et al. Does chemotherapy-induced oxidative stress improve the survival rates of breast cancer patients? Antioxid Redox Signal 2011;15:903-9. 

  26. Ozben T.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impact on cancer therapy. J Pharm Sci 2007;96:2181-96. 

  27. Ratnam DV, Ankola DD, Bhardwaj V, Sahana DK, Kumar MN. Role of antioxidants in prophylaxis and therapy: A pharmaceutical perspective. J Control Release 2006;113:189-207. 

  28. Suhail N, Bilal N, Khan HY, Hasan S, Sharma S, Khan F, et al. Effect of vitamins C and E on antioxidant status of breast-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 Clin Pharm Ther 2012;37: 22-6. 

  29. Bhattacharyya J, Biswas S, Datta AG. Mode of action of endotoxin: role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Curr Med Chem 2004;11:359-68. 

  30. Hou CC, Lin H, Chang CP, Huang WT, Lin MT. Oxidative stress and pyrogenic fever pathogenesis. Eur J Pharmacol 2011; 667:6-12. 

  31. Lowe FJ, Luettich K, Gregg EO. Lung cancer biomarkers for the assessment of modified risk tobacco products: an oxidative stress perspective. Biomarkers 2013;18:183-95. 

  32. Yeom CH, Jung GC, Song KJ. Chang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high dose vitamin C administration. J Korean Med Sci 2007;22:7-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