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PA를 이용한 건설 현장별 노동생산성 저해요인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Hindrance Factors to Labor Productivity in Each Construction Site Using the IPA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5 no.6, 2014년, pp.71 - 82  

정재호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석원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안병주 () ,  지남용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재준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우리나라 건설 현장에서는 인적요소인 건설근로자들의 경험과 행동에 따라 노동 생산성이 좌우된다. 건설현장의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동생산성을 저해시키는 잠재적인 요인들에 대한 전략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노동생산성 관리는 사전에 잠재적인 저해요인들을 도출하여 전략적으로 관리계획을 세우기보다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재적인 저해요인들만을 관리하는데 치중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원인을 파악하는데 용이한 IPA를 이용하여 현장별 건설근로자의 노동생산성 저해요인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근로자의 경제적인 문제에 대한 불만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고용불안과 취약한 근로조건에 대해서 보호받고 있다고 느끼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장관리자에게 실질적이고 현장에 적합한 관리측면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현장의 특성에 따라 노동생산성 향상의 중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s labor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sites is dependent on experience and act in accordance with the human element of the construction workers.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site that requires a strategic management to potentially hindrance factors of labor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저해요인들에 대한 현장별 대응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외부적인 요인들에 의해 이 전략들이 제한될 수도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요인과, 과잉 투자요인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계획과 함께 현장별 비교가 가능한 IPA를 이용하여 현장별 건설근로자의 노동생산성 저해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실질적이고 현장에 적합한 관리 측면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현장의 특성에 따라 노동 생산성 향상의 중·장기적인 현장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원인을 파악하는데 용이한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이용하여 현장별 건설근로자의 노동생산성 저해요인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장관리자에게 실질적이고 현장에 적합한 관리측면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현장의 특성에 따라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먼저, A현장의 강점 요인은 현장 내 관리자의 작업 지시나 관리자에 대한 불만사항이 적은 것이다. 약점 요인으로는 현장 내 위험한 작업환경에 대한 근로자의 우려가 높은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PA모형의 장점은? IPA모형의 특성은 중요도와 성과도의 요소별 비교 평가 값에 의하여 네 가지의 다면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Fig. 3과 같이 응답자의 실질적인 성과도를 측정하기 위해 Ⅰ사분면에 위치하는 요소는 응답자에게 중요한 속성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성과도 역시 높기 때문에 기업이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노동 생산성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노동 생산성이란 일반적으로 노동투입량에 대한 산출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노동생산성과 노동투입량에 대한 부가가치의 비율을 나타내는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으로 구분된다. 흔히 물적 노동생산성은 생산과정에 있어서 생산효율의 향상정도, 기술수준의 변화 등 주로 기술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IPA는 어떻게 표현되며 무엇을 하는데 유용한가? IPA는 한정된 자원을 우선적으로 투입할 요인을 찾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서, 경영 전략이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자주 쓰이는 분석기법이다(Martilla and James 1977). 특성요인들의 중요도와 성과수준을 측정하여 X-Y 축으로 2차 평면상에 좌표로 각 요인을 표현하는 분석방법인데, 개선 우선순위와 과잉 투자요인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다(Duke and Persia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Eom, H. J. (1999). "Estimation procedures for reliability : A methodological review" Korean Society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1(1), pp. 35-49. 

  2. Lee, H. C., Lim, S. Y., Yeo, S. K. and Go, S. S. (2009). "A Study on the Work Delay Factors of Reinforced Concrete Work in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9(2), pp. 55-61. 

  3. Lee, S. M. (2007). "A Study on the Social Investment Participation Revitalization Plan for the Small & Medium Industry Construction Co. - Focused on the School BTL -." Inha University Master's Thesis. 

  4. Shin, J. H. and Ahn, S. H. (2012). "The research for action of affecting human factors on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8(1), pp. 459-462. 

  5. Lee, S. B. and Pyo, Y. M. (2007).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Decreasing Construction Labor-Productivity using AHP Method"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9)1, pp. 179-187. 

  6. Pyo, Y. M., Bae, S. Y., Ryo, H. H. and Lee, S. B. (2004 ).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Decreasing Construction Labor-Productivity Using AHP Method" Dong-Eui University Master's Thesis. 

  7. Son, C. B. and Lee, D. C. (2002). "An Analysis on the Factors Decreasing Productivity of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8(12), pp. 125-132. 

  8. Kim, G. H., Jung, Y. C., Kim, J, D. and Lee, Y. D. (2012). "A Study on Selection and Importance of Workers' Productivity Factors in Building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8(9), pp. 183-190. 

  9. Korea Productivity Center (2014). "Quarterly Labor Productivity Tendency." Technical Report, (Aug.1, 2014). 

  10. Yoon, Y. H. and Kim, H. Y. (2010). "Mining.Manufacturing Productivity Analysis" KOSIS Technical Report, 

  11. Kim. J. H. (2002).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Growth and Productivity."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Industry Economic Report, 

  12. Korea Productivity Center (1981). "Productivity Improvement Active Promotion Tips." Korea Productivity Center Technical Report, p. 415, 

  13. Lee. Y. S. (2009). "Ministry of Labor of Construction workers assume that unemployment benefits" KDI Country Economy Issue, 

  14. Martilla, J.A. and James, J.C. (1977).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pp.77-79. 

  15. Duke, C. R. and Persia, M. A. (1996). "Performance - importance analysis of escorted tour evaluations." Journal of Travel and Tourism Marketing, 5(3), pp. 207-223. 

  16. Choi, H. B., Shin, Y. S. and Kang, K. I. (2005). "A Study on Productivity of Foreign Labors in Domestic Apartment Construction Site - Focused on Evaluation of Productivity and Productivity Impediment Factor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5(1), pp. 75-79. 

  17. Jo, C. G. (200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ductivity measurement of foreign workers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Chung-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18. Jung, Y. C. (2012). "Analyzing the importance factors affecting the productivity of workers in building construction site" Kyonggi University Master's Thesis. 

  19. Kim, J. Y., Choi, J. H. and Lee, S. H. (2011). "Factors Affecting the Losses of Domestic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Strategies for Avoiding Them",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7(2), pp.113-124. 

  20. Yu, J, H. and Lee, H. S. (2002).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8(7), pp. 103-113. 

  21.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Mc-Graw Hill, NY. 

  22. Oh, S. H. (2003), "Score Reliability Estimation of Questionnaires using Cronbach's Alpha" The Journal of Sports Science - Inha University Sports Science Lab, 15(-), pp. 113-121. 

  23. Tzeng, G. H and Chang H. F. (2011). "Apply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s a Service Quality Measure in Food Service Industry."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 innovation, 6(3) pp. 106-115. 

  24. Kim, D. M., Lee, J. S., Kim, J. H. and Kim, J. J. (2014). "Marketing Strategy and Influential Factors based on the Attributes of Unit Modular System."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5(1), pp. 78-86. 

  25. Kim, J. S., Lee, H. K., Lee, Y. S. and Kim, J. J. (2013).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Innovation in a Knowledge-based Design Service Industry Using DEA-Tier. - Focused on the Architectural Design Offices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2), pp. 160-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