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과정 평가를 위한 서술형 문항 및 채점기준 개발 연구
Developing Essay Type Questions and Rubrics for Assessment of Mathematical Process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8 no.4, 2014년, pp.553 - 571  

도종훈 (서원대학교) ,  박윤범 (서원대학교) ,  박혜숙 (서원대학교)

초록

근래 수학의 학습에서 수학의 내용뿐만 아니라 수학적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의 내용과 더불어 수학적 과정 즉, 수학적 의사소통, 추론, 문제해결을 명시적인 평가요소로 포함하는 서술형 문항으로서 '수학적 과정 문항'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수학적 과정 문항의 제작을 위한 예시 평가기준과 문항 및 채점기준 개발을 통해 서술형 문항을 활용한 수학적 과정 평가 방안을 논의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hematical process is an issue in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paper discuss how to assess the mathematical process using essay type questions. For this we first suggest the concept of Mathematical Process Oriented Question which is an essay type question and possible to assess mathem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서술형 문항의 개발이 아니라 수학적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 및 채점기준의 예시를 통해 교사들이 실제로 수학적 과정 문항과 그 채점기준을 손쉽게 작성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예시 수학적 과정 문항의 상당 부분은 수학 교과서 등에 제시되어 있는 기존의 문항들을 수학적 과정을 평가할 수 있도록 문항 내용과 형식 및 채점기준을 변형한 것이며, 크게 수학적 의사소통 문항, 수학적 추론 문항, 수학적 문제해결 문항으로 구분된다.
  • 둘째 수학적 의사소통, 추론, 문제해결 각각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평가기준은 각 능력의 다양한 의미를 포괄하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목적은 서술형 문항을 이용한 수학적 과정 평가 방안 모색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서술형 문항을 통해 평가 가능하고 평가 결과를 점수화하여 활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예시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미처 고려하지 못한 서술형 문항 평가기준 설정이 가능할 수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서술형 평가와는 달리 내용과 과정을 구분하여 수학적 과정을 명시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점수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수학적 과정을 평가하고 점수화하기 위한 서술형 문항을 제작하고자 할 때 평가기준 및 각 평가기준에 대한 예시문항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의 논의를 토대로 연구자 혹은 교사에 따라 다른 형태의 평가기준 및 문항을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이 예시문항은 수학 교과서에 전형적으로 제시되는 간단한 도형, 즉 주어진 각과 크기가 같은 각을 작도하는 문항을 변형한 것으로 도형의 작도 능력보다는 그림으로 주어진 도형의 작도 과정을 수학 용어(중심, 반지름, 원, 교점 등)와 기호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작도의 각 단계를 그림으로 제시하고, 문항의 발문을 각 단계의 작도 방법을 ‘적절한 수학적 용어와 기호를 사용하여 설명하시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서술형 문항의 기능과 역할을 보완하여 ‘수학적 과정’을 명시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계량화할 수 있는 서술형 문항과 채점기준의 개발 방안을 모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의 수학 평가 문항은 무엇에 초점을 맞추어 왔는가? 지금까지의 수학 평가 문항은 주로 수학의 내용에 해당하는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묻고 측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근래 수학의 학습에서 수학적 과정이 중시됨에 따라 수학의 내용뿐만 아니라 수학적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김도한 외, 2009; 교육과학기술부, 2011a; 박혜숙 외, 2013; 정상권 외, 2012).
수학 평가과 관련된 근래 변화는 무었인가? 지금까지의 수학 평가 문항은 주로 수학의 내용에 해당하는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묻고 측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근래 수학의 학습에서 수학적 과정이 중시됨에 따라 수학의 내용뿐만 아니라 수학적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김도한 외, 2009; 교육과학기술부, 2011a; 박혜숙 외, 2013; 정상권 외, 2012). 즉, 이미 형성된 지식으로서의 수학 내용뿐만 아니라 수학의 학습 및 그 결과의 활용에 필요한 기능과 소양 및 역량까지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복잡하고 전문화되어가는 미래 사회에서 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은? 복잡하고 전문화되어가는 미래 사회에서 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은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정보처리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으로, 이는 주로 수학적 추론,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의사소통과 같은 수학적 과정의 교수ㆍ학습을 통하여 증진된다. 수학적 과정을 통해 길러진 핵심 역량은 타 교과의 성공적인 학습에 기반이 될 뿐 아니라, 나아가 개인의 전문적 능력의 증진과 창의ㆍ인성 중심의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의 민주 시민에게 필요한 소양과 경쟁력을 갖추는 데에도 토대가 된다(교육과학기술부, 2011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교육과학기술부 (2011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 8]. 

  2. 교육과학기술부 (2011b).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 2011년 12월 13일 보도자료. 

  3. 김도한 외 (2009).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4. 도종훈.허선희 (2012). 수리논술 평가의 현황과 교육적 활용 방안. 교육논총 제17집, (pp. 93-110). 

  5. 박혜숙.김영국.박규홍.박윤범.도종훈 (2013). 서술형 중심의 지필평가 기반 조성. 한국과학창의재단. 

  6. 방정숙.김상화 (2006). 문제해결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분석. 학교수학, 8(3), (pp. 341-364). 

  7. 이종희.김선희.채미애 (2001).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기준 개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1(1), (pp. 207-221). 

  8. 이종희.김선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 교우사. 

  9. 전평국.김은희.김원경 (2002). 수학적 추론 능력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3, (pp. 425-455). 

  10. 정상권.이경화.유연주.신보미.김구연 (2012). 과정 중심의 수학교과 평가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매뉴얼. 

  12. 일본문부성 (2008a). 소학교학습지도요령. 東京: 대장성인쇄국. 

  13. 일본문부성 (2008b). 중학교학습지도요령. 東京: 대장성인쇄국. 

  14. NCTM (1989).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15.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2007). 학교 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16. Pehkonen, E. (1991).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ZDM, 23(1), (pp. 1-4). 

  17. Pehkonen, E. (1997). Introduction to the concept "open-ended problems" . In Pehkonen, E.(Ed.), Use of open-ended problems in mathematics classroom(pp.7-11). Helsinki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