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릉 연안에서 형망의 갈퀴 간격 및 망목 크기에 따른 어획 생물의 종조성 및 군집 분석
Species composition and cluster analysis of the communities caught by dredge in relation to tooth spacing and mesh size in the coastal waters of Gangneung, Korea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50 no.4, 2014년, pp.530 - 541  

안희춘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배재현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박종명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박창두 (국립수산과학원 시스템공학과) ,  홍성익 (바다생태리서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redge gear is dragged along the bottom of the sea to catch targeted edible bottom dwelling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nd ecological index of the catches of dredge were estimated around Gangneung coastal fishing ground by dredge with different mesh size and tooth space from July to December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원도 강릉시 영진연안에서 형망어구의 갈퀴간격 및 망목 크기를 달리 사용하여 어획된 저서생물의 종조성과 생물군집 구조 등을 통해 강릉연안의 저서생물의 군집분포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수산자원 보호를 위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강원도 강릉시 영진연안해역에서 형망어구를 달리하여 어획된 총 출현종은 31종으로 성구동물 1종, 연체동물 13종, 환형동물 3종, 절지동물 8종, 극피동물 4종, 기타종으로 어류 1종 그리고 해산종자식물 1종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강릉시 영진연안에서 형망어구의 갈퀴간격 및 망목크기를 달리 사용하여 어획된 어획물의 종조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형망어구의 틀은 1,450 × 430 mm 크기이고 자루그물의 길이는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획 형망어업에서 자원 보호를 위해 수사업법 시행령에 의한 규정은? 동해안에서 조업하는 구획 형망어업은 주로 이동성 구획어업에 속하며 이매패류와 저서생활을 하는 생물이 어획된다. 구획 형망어업에서 주요 포획대상인 패류 자원의 보호와 지속적 이용을 위하여 수산업법 시행령에 의하여 갈퀴간격은 35 mm 이상, 망목크기는 50 mm 이상을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형망의 포획 대상이 되는 이매패류의 종류가 다양하고 종에 따른 개체 크기도 차이가 많으므로 강원도에서는 형망어업의 목표종인 북방대합, 비늘백합, 접시조개, 민들조개 등에 대해 조개 종류별로 채포금지 각장, 갈퀴간격, 망목크기를 별도로 규정하여 이들 자원을 관리하고 있다 (Gangwon-do, 2003).
형망어업이란? 형망어업은 주로 해저에 서식하는 조개류를 어획 대상으로 하며 자루그물 입구에 일정한 고정틀을 설치한 어구로 바닥을 긁어서 어획 대상물을 잡는 어업이다(NFRDI, 2008). 동해안에서 조업하는 구획 형망어업은 주로 이동성 구획어업에 속하며 이매패류와 저서생활을 하는 생물이 어획된다.
형망 예인 중의 거동을 파악한 연구에서 갈퀴 이용 시 모래의 거동과 어획물의 거동은? 본 조사에서 형망 예인 중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잠수부를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북방대합과 접시조개가 서식하는 곳은 사니질로 모래입자가 작고 약간의 뻘로 구성되어 있다. 형망 예인시 갈퀴가 해저를 파게 되며 모래가 갈퀴 위쪽으로 올라가 형망틀 위에 봉우리가 생길 정도로 쌓였다가 뒤쪽의 자루그물 안으로 들어가거나 형망틀 옆쪽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Fig. 7). 이때 어획물 중 일부 소형 개체도 모래와 함께 빠져나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런 현상에 대해 Park and Kim (2000)은 민들조개 형망의 갈퀴간격이 좁을수록 갈퀴를 타고 올라가는 모래의 양이 많아 어획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하였으며, Kim and Jo (2001)는 갈퀴간격보다 자루그물의 망목크기에 따른 어획선택성이 크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ray JR and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 325-349. 

  2. Cha BY. 2009. Composition and catch variation of fisheries resourcesby set net in the Mizo fishing ground off Namhae island. Korean K Ichthyol 21, 191-199. 

  3. Cha BY, Lee CS, Moon TS and Park MS. 2012. A Study on bivalves in Yeongil Ba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Korean J Malacol 28, 101-108. 

  4. Cho BK. 1997. On the tooth selectivity of ark shell dredge. J Kor Soc Fish Tech 33, 1-8. 

  5. Dexter DM. 1983.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sandy beaches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ed. McLachlan A and Erasmus T, Sandy beaches as ecosystems, Port Elizabeth, South Africa, 461-472. 

  6. Gangwon-do. 2003. Notification of approval constraint and terms for the movable fixed area fishery (dredge). Gandwon-do Regulation Number 203-57. 

  7. Gaspar MB, Leitao F, Santos MN, Sobral M, Chicharo L, Chicharo A and Monteiro CC. 2003. Size selectivity of the Spisula solida dredge in relation to tooth spacing and mesh size. Fish Res 60, 561-568 

  8. Hong SY, Park KY, Park CW, Han CH, Suh HL, Yun SG, Song CB, Jo SG, Lim HS, Kang YS, Kim DJ, Ma CW, Son MH, Cha HK, Kim KB, Choi SD, Park KY, Oh CW, Kim DN, Shon HS, Kim JN, Choi JH, Kim MH and Choi IY. 2006. Marine invertebrates in Korean coasts. Academy books co. Seoul, Korea, 479. 

  9. Hwang SJ, Lee SI, Park JH, Yang JH and Kwon HC. 2006. Abstract, Spr Meet. Korean Soc Fish Aqu Sci, 258. 

  10. Jeong GS, Im YJ, Cha BY and Hwang HJ. 2012.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aquatic organism caught by commercial fishing of the pot and gill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Taean, Korea. J Kor Soc Fish Tech 48, 387-400. (DOI:10.3796/KSFT.2012.48.4.387). 

  11. Jung YH, Yoon KT, Park HS and Ma CW. 2013. Spati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on the sandy shore of Anmyeondo,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35, 27-37. (DOI:10.4217/OPR.2013.35.1.027) 

  12. Kang JW. 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8. Marine algae. Ministry of education, 465. 

  13. Kang DH, Choi KS and Chung SC. 1999. An ecological study on the Sand Dollar, Astrielypeus manni (VERRIL, 1867), in Handock, Cheju Korea. J Fish Soc 32, 345-352. 

  14. Kato Y and Hamai I. 1975. Growth and shell formation of the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Schrenck). Bull Fac Fish Hokkaido Univ 25, 291-303. 

  15. Kim IO and Jo TH. 2001. The Selectivity of venus clam dredge. Bull Natl Fish Res Inst Korea 59, 43-53. 

  16. Kim IO, Mituhasi T, Jo TH, Park CD and Tokai T. 2005. Effect of tooth spacing on the contact selection and available selection of a dredge for the equilateral Venus clam Gomphina melanaegis. Fish Sci 71, 713-720. (DOI:10.1111/J.1444-2906.2005.01020.X) 

  17. Kim MH and Son MH. 2006. Hermit crabs in Korean waters. Academy publishing company, Inc., Seoul, Korea, 1-89. 

  18. Kim SG, Jang CS, An YS, Koh EH and Baeck GW. 2014. Species composition of the demersal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f Geomun island, Korea. J Kor Soc Fish Tech 50, 131-138. (DOI:10.3796/KSFT.2013.49.4.341) 

  19. Kim SK, Lee C, Kim YD, Jo QT, Lee JH, Park MW, Kim JW and Gong YG. 2009.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es on reproductive cycle of Gomphina melanaegis (Bivalvia; Veneridae). J Korean Fish Soc 42, 41-47. 

  20. Ko JC, Ko HJ, Kim BY, Cha HK and Chang DS. 2012.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exploitable macrobenthic invertebrates of beach sediment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 of Jeju Island. Korean J Malacol 28, 197-213. (DOI:10.9710/KJM.2012.28.3.197) 

  21. Lee C, Lee CS, Kim SK, Kim WK and Jo QT. 2009. Analysis of population distribution on stocking area of sandy beach clam, Gomphina melanaegis. J Environ Sci 18, 1163-1170. 

  22. Lee JH, Lee JB, Zhang CI and Kang SY. 2012. A study on fluctuation of the fishing grounds of target fishes by the Korean large purse seine fishery. J Kor Soc Fish Tech 48, 107-117. (DOI:10.3796/KSFT.2012.48.2.107). 

  23. Lee JY, Chang YJ and Chun MJ. 2002. Optimal method for fertilization of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J Korean Fish Soc 35, 135-139. 

  24. Lee JY, Chang YJ, Kim YS, Choi YH and Chang YJ. 2002.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on egg development of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J Aquaculture 15, 39-42. 

  25. Mann R, Munroe DM, Powel EN, Hofmann EE and Klinck JM. 2013. Bivalve molluscs: barometers of climate change in Artic marine systems. 28th Lowell Wakefield Fisheries Symposium, 1-24. 

  26. Margalef R. 1963. On certain unifying principles in ecology. Amer Nature 97, 357-374. 

  27. McLachlan A. 1990. Dissipative beaches and macrofauna communities on exposed intertidal sands. J Coastal Res 6, 57-71. 

  28. MIFAFF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8.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ranching program 2007 in the East, West and Jeju coast of Korea. 1062. 

  29. MIFAFF and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itute). 2010. Guidebook of marine life ecology at the marine afforestation area. Hanguel graphics, Busan, Korea, 922. 

  30. Min DK, Lee JS, Koh DB and Je JG. 2004. Mollusks in Korea (revised supplementary edition). Hanguel graphics, Busan, Korea, 566. 

  31. Nashimoto K. 1984. The selectivity of the sunray surf clam dredge. Bull Japanese Soc Sci Fish 50, 1145-1155 (in Japanese). 

  32. Nashimoto K. 1985. The selectivity of the Japanese surf clam dredge. Bull Japanese Soc Sci Fish 51, 419-423 (in Japanese). 

  33. Nashimoto K, Miyazawa H and Hiraishi T. 1983. The tooth selectivity of Japanese surf clam dredge. Bull Japanese Soc Sci Fish 49, 379-385 (in Japanese). 

  34. NFRDI. 2008. Fishing gear of korea. Hanguel graphics, Busan, Korea, 270-298. 

  35. NFRDI. 2002. A study on fisheries resources by bivalves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1-18. 

  36. NFRDI. 2010. Habitats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research on fisheries resources enhancement in coastal area of Korea. 222. 

  37. NFRDI ESFRI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2008. Seaweeds from East coast of Korea. Dain Communications, Busan, Korea, 165. 

  38. Park HH and Kim SH. 2000. Tooth selectivity on venus clam (Gomphina melanaegis) dredge. Bull Korean Soc Fish Tech 36. 267-273. 

  39.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J Theoret Biol 13, 131-144. 

  40. Pielou EC. 1977. Mathematical ecology, 2n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USA, 358. 

  41. Sasaki K. 1981. Growth of the Sakhalin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Schrenck) in Sendai bay. Tohoku J Agricul Res 32, 168-180. 

  42. Seo YI, Lee JH, Oh TY, Lee JB, Choi YM and Lee DW. 2013. Distribu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ies resources captured by the beam trawl in Namhae island, Korea. J Kor Soc Fish Tech 49, 419-431. (DOI:10.3796/KSFT.2013.49.4.341) 

  43. Son MH, Seo IS, Kim MH and Kim DI. 2008. Korean seastars (Asteroidea and Ophiuroidea). Bokukbook, Busan, Korea, 105. 

  44. Thorarinsdottir GG, Jacobson L, Ragnarsson SA, Garcia EG and Gunnarsson K. 2009. Capture efficiency and size selectivity of hydraulic clam dredges used in fishing for ocean quahogs (Arctica islandica): simultaneous estimation in the SELECT model. ICES J Mar Sci 67, 345-354. (DOI:10.1093/icesjms/fsp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