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화산암의 물리・역학적 특성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0 no.11, 2014년, pp.39 - 49  

양순보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의 화산암은 여러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크기와 분포가 다양한 기공이 많은 다공상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지질학적 그리고 역학적 특성 또한 지역마다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제주도 화산암에 대한 지질학적/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및 물리적/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에 의해 활발히 이루어져 왔지만, 제주도 화산암의 물리적 및 역학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 분석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화산암에 대하여 기존에 발표된 연구논문 및 보고서를 통하여, 제주도 화산암에 대한 물리 역학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흡수율공극률과 겉보기 비중과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선형의 관계에 있으며, 여러 환경적 요인에 의해 제주도 화산암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선형근사로 대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P파 속도와 S파 속도와의 관계와 흡수율 및 공극률과 건조 상태의 암석에 대한 일축압축강도와의 각각의 관계에 대하여 흡수율 및 공극률과 겉보기 비중과의 두 개의 서로 다른 선형근사 관계를 고려함으로서, P파 속도와 S파 속도와의 관계와 흡수율 및 공극률과 일축압축강도와의 관계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show vesicular structure caus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cate the differences in geolog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from region to region. Previous studies on the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n geological and chem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는 위에서 언급을 했듯이, 마그마의 특성, 분출방식, 분출물의 종류, 암종별로 차별화된 풍화특성, 광물조성 등 여러 환경 요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여기에서는 자료가 부족한 관계로 선형근사 (1)에 해당하는 Moon et al.(2014)의 제주도 북동부 북촌리의 암석, 제주도 북동부(김녕리~행원리) 육상 및 해상의 암석, 그리고 선형근사 (2)에 해당하는 제주도 남동부 해상에서 채취한 암석에 대해서 여러 환경 요인 중의 하나로 여겨지는 광물조성을 통하여 그 원인을 간접적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화산암에 대하여 기존에 발표된 연구논문 및 보고서의 종합적인 비교・분석을 통하여, 제주도 화산암에 대한 물리 및 역학적 특성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화산암에 대한 종합적인 물리 및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논문 및 보고서를 비교・분석하였다. 암종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관계로 암종에 따른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제주도 화산암은 암종에 관계없이 흡수율 및 공극률과 겉보기 비중과의 각각의 관계에 있어서 두 개의 서로 다른 선형근사로 대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제주도 화산암의 이러한 관계를 고려함으로서 P파 속도와 S파 속도와의 관계, 흡수율 및 공극률과 일축압축강도와의 각각의 관계를 명확히 구분 지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이 장에서는 제주도 화산암에 대한 역학적 및 공학적 관점의 기존 연구논문 및 보고서를 연대순으로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화산활동은 크게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우리나라의 화산활동은 중생대의 중성 내지 산성 화산암류의 분출과 신생대의 현무암의 분출로 크게 구분된다. 중생대의 화산암은 옥천대 및 경상분지 내에 주로 분포하고, 제3기 후기와 제4기의 신생대 화산활동은 제주도, 울릉도, 철원∼전곡 일대, 포항분지의 구룡포 일대에서 일어났다(KGS, 2012).
중생대의 화산암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화산활동은 중생대의 중성 내지 산성 화산암류의 분출과 신생대의 현무암의 분출로 크게 구분된다. 중생대의 화산암은 옥천대 및 경상분지 내에 주로 분포하고, 제3기 후기와 제4기의 신생대 화산활동은 제주도, 울릉도, 철원∼전곡 일대, 포항분지의 구룡포 일대에서 일어났다(KGS, 2012). 이 중에서 제주도는 약 200만 년 전부터 역사시대까지 발생한 여러 차례의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섬으로(Yoon and Ko, 2011), 제주도의 화산암은 지역마다 지질학적으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그 역학적 특성 또한 지역마다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제주도 화산암에 대한 종합적인 물리 및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떠한가? (1) 흡수율과 공극률의 증가에 따라 겉보기 비중은 약 3.0을 시작으로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마그마의 특성, 분출방식, 분출물의 종류, 암종별로 차별화된 풍화특성, 광물조성 등으로 생각되는 여러 환경요인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이 다름을 알 수 있었으며, 제주도 화산암의 경우 흡수율 및 공극률과 겉보기 비중과의 각각의 관계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선형근사로 대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극률보다는 흡수율과 겉보기 비중과의 선형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2) 제주도 화산암의 경우 P파 속도와 S파 속도의 관계 대체적으로 선형의 관계에 있었으며, 서로 다른 선형근사에 해당하는 암석의 P파 속도에 대한 S파 속도의 기울기는 서로 다르며, 선형 근사 (2)에 해당하는 암석은 선형근사 (1)에 해당하는 암석에 비해 P파 속도에 대한 S파 속도의 기울기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건조 상태의 암석에 대한 일축압축강도는 흡수율 및 공극률이 감소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편차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주도 화산암의 두 개의 서로 다른 흡수율 및 공극률과 겉보기 비중의 선형 관계를 고려함으로서, 흡수율 및 공극률과 일축압축강도와의 관계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극률보다는 흡수율과 일축압축강도와의 관계가 결정계수가 높고,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흡수율과 겉보기 비중과의 관계를 구분함으로서, 흡수율을 이용하여 제주도 화산암의 일축압축강도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4) 제주도 화산암의 물리・역학적 특성에 있어서 두 개의 서로 다른 선형근사에 해당하는 암석의 채취지역을 구별하여 지도상에 나타냄으로서, 지역적 분포특성을 알 수 있었다. (5) 박편현미경분석과 X선-회절분석에 의한 주요 구성광물에 따른 지역적 분포의 비교를 통하여, 위에서 언급한 비교・분석결과에 대한 원인을 간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지중 암반에 대한 암종 및 암상에 따른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STM D7012-04,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i of Intact Rock Core Specimens under Varying States of Stress and Temperatures, ASTM International. 

  2. Castagna, J.P., Batzle, M.L., and Eastwood, R.L. (1985),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onal-Wave and Shear-Wave Velocities in Clastic Silicate Rocks, Geophysics, Vol.50, No.4, pp.571-581. 

  3. Cho, T.C., Lee, S.B., Hwang, T.J., and Won, K.S. (2009), Variations of Mechanical Properties of Hallasan Trachyte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Weathering,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ol.19, No.4, pp.287-303. (in Korean) 

  4. Eum, K.Y. (2002),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Volcanic Rocks in Chejudo, Master thesis, Yensei University. (in Korean) 

  5. GK Engineering, JPM Inc., and Jeju National Univ. (2013), Midway report of the Leading Industry of Jeju Economic Region. (in Korean) 

  6. GK Engineering, JPM Inc., and Jeju National Univ. (2014), Midway report of the Leading Industry of Jeju Economic Region. (in Korean) 

  7. Jeju Special Self-Governmental Province (2006), Report of soil survey for 2nd development project in Jeju port, Jeju Island. (in Korean) 

  8. Jeju Special Self-Governmental Province (2008), Report of soil survey for development project in Kangjung navy base, Jeju Island. (in Korean) 

  9. Jeju Special Self-Governmental Province (2011), Report of soil survey for 2nd development project in Aewol port, Jeju Island. (in Korean) 

  10. Kim, J.H. (2006), A Study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trength in Pyoseonri Basalt, Master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1. Kim, Y.K. and Choi, O.G. (1991), Engine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of the Northwestern Cheju Island,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 No.1, pp.19-37. (in Korean) 

  12.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012), Geology and rock mechanics for geotechnical engineer II, CIR Publishing Company, p.735. (in Korean) 

  13. Kwon, B.D., Chung, H.J., and Lee, H.S. (1993), Physical Properties of Volcanic Rocks in Chejudo,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14, No.3, pp.348-357. (in Korean) 

  14. La Bas, M.J., Le 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Journal of Petrology, Vol.27, No.3, pp.745-750. 

  15. Moon, K., Park, S., Kim, Y., and Yang, S. (2014), Mechanical Properties of Basalt in Jeju Island with respect to Poro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34, No.4, pp. 1215-1225. (in Korean) 

  16. Nam, J.M., Ko, H.S., and Oh, D.I. (2003), A study on strength Characteristics of Jeju-island's Scoria (So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5, No.4, pp.37-47. (in Korean) 

  17. Nam, J.M., Yun, J.M., Song, Y.S., and Kim, J.H. (2008a), Analysis of Engineering Properties to Basalt in Cheju Island, Journal of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7, No.1, pp.12-21. (in Korean) 

  18. Nam, J.M., Yun, J.M., Song, Y.S., and Kim, J.H. (2008b),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to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of Basalt in Cheju Island,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8, No. 2, pp.215-225. (in Korean) 

  19. Nam, J.M., Yun, J.M., and Song, Y.S. (2009), Estimation to the Strength of Basalt in Jeju Ialand according to Rock Failure Criterion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9, No.2, pp.153-163. (in Korean) 

  20. Seil Engineering, Hyein E&C, and JPM Inc. (2012), Report of soil survey for 2nd development project in Hwasun port, Jeju Island. (in Korean) 

  21. So, J.K. (200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the Behavior of Scorias, Master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22. Thuro, K., Plinninger, R.J., Zah, S., and Schutz, S. (2001), Scale effects in rock strength properties. Part 1: Unconfined compressive test and Brazilian test, Proceedings of ISRM Regional Symposium EUROCK 2001, pp.169-174. 

  23. Yoon, S.H. and Ko, K.W. (2011), Topography, Geology and Underground Water in Jeju Island, Nae Ha Publishing Company, p.130. (in Korean) 

  24. Youn, J.S. (1995), A study on Parasitic Cones of the Northern Parts of Cheju Island, Korea, Bulletin Marine Research Institute, Vol.19, pp.25-3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