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의 외모관리 행동과 정보탐색과의 관계 고찰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Information Search of Mal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1, 2014년, pp.6484 - 6491  

김혜균 (우송대학교 뷰티디자인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류역사와 함께 해온 인간의 미의식에 대한 기본적 욕구가 현대의 경제적 사회적 변화의 추이에 따라 보다 개인화 다양화 되었으며, 여성에 비해 매스미디어의 접속과 경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남성들의 경우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 획득과 공유를 미디어 상에서 빠르게 적용 및 활용해 가는 특징이 강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남성상의 이미지와 특징을 분류 정리하였으며, 남성의 외모관리와 정보탐색의 관계를 정보매체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남성의 외모관리행동과 특징을 메이크업, 헤어관리, 피부관리, 손발관리, 성형수술로 구분하여 정보매체별 탐색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는 남성소비시장을 타깃으로 한 미용, 화장품, 병원 등의 산업군에서 홍보마케팅 정보로 유용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여 지며,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탬색을 위한 매체 유형 선호관계를 이해함으로써 광고마케팅 전략 수립에 가치 있는 정보로 작용하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uman's basic desire for aesthetics, which has existed along with human history, has been more individualized and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modern economic social change. In the case of men, who have a relatively higher connection and experience of mass media compared to wome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성의 외모관리와 정보탐색의 관계를 설명하고 정보 매체 유형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경제 활동을 하는 젊은 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과 정보탐색과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 또한 그에 따라 소비자들의 정보 활용방법도 변화한다. 정보매체 전달의 원천에 따른 상업적 원천의 정보매체, 중립적 원천 정보매체, 소비자 원천 정보매체가 남성의 외모관리행동의 유형에 어떻게 여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모가 강조되는 시대에 외모관리가 어떠한 효과를 가져다 주는가? 특히 외모가 강조되는 시대에 외모관리를 함으로써 자기에 대한 태도 및 욕구 형성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자기 향상의 중요한 원동력이며 긍정적으로 사용되어질 때, 자기 수용감이나 자기존중에 기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외모에 대한 긍지를 갖게 되어 열등감과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인식에서 자신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기분의 변화를 이루어 낼 수 있다[2]. 이는 중년남성들에 게도 나타나는 현상으로 아름답게 나이 들기를 원하며, ` 꽃중년`이라는 신조어와 함께 이러한 미의식이 그들로 하여금 자기 자신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갖게 하는 결과로 나타난다[3].
현재 매스미디에서 표현되는 남성적 이미지는 기존의 전통적인 남성상이 아닌 부드럽고 세련된 새로운 성 이미지를 보여주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현재 매스미디어에서 표현되는 남성적 이미지는 기존의 전통적인 남성상을 이어받기보다는 부드럽고 세련된 새로운 성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사회가 요구하는 남성상이 더 이상 권력이나 위상을 표출하는 이미지가 아닌 세대 간의 융합과 이성간의 친화력을 보이는 포용적 이미지를 선호하는 경향으로 흘러감을 의미하기도 한다[4].
정보는 어떻게 사회를 변화시켰는가? 이러한 정보는 사람들의 문화욕구와 삶의 추구 방법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영향은 자연스레 남성들의 외모관리 행동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보는 전통사회가 갖는 성별, 지역, 문화적 특징의 차이를 줄이고 현대사회의 문화적 소통범위를 넓히고 유행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변화에 따른 파급 속도를 가속화시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yeongmin, Kim, [Grooming View "I went Barber goes Healing", shipbuilding business, 2014. 

  2. Kligman, AM, Graham, GF, Histological changes in facial skin after daily application of tretinoin for 5 to 6 years, JOURNAL OF DERMATOLOGICAL TREATMENT, 1993. DOI: http://dx.doi.org/10.3109/09546639309080547 

  3. Yumi,Jeon reading [2014 beauty trends - consumer psychology ... self-satisfaction and comfort "beauty area zoom, Kookmin Ilbo, 2014. 

  4. Yanghwan, Jeong, [Cover Story] man, fall into 美, Dong-A Ilbo, 2005. 

  5. Hyekyun, Kim, A stud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information search of males workers in 20s and 30s, p. 8, PhD Thesis,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13. 

  6. Dongjun, Kim, recession yen looks cultivate competitive, Fahion Insight, 2009. 

  7. Doosan Encyclopedia, cross-sexual [crosssexual], 2008. 

  8. Cash, TF, Effects of cosmetics use on the physical attractiveness and body image of American college wome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989. DOI: http://dx.doi.org/10.1080/00224545.1989.9712051 

  9. Teenage male half Huck!, Daily News, 2014. 

  10. Waters, K., Radical Feminism Today,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277-5395(02)00253-4 

  11. Yihuisu, meaning of information in information society, Korea Education, 1998. 

  12. Kimyugyeong, Study on the modular system of the modern fashion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12 No.1, 2006. 

  13. Robert B, Why they buy, John Wiley & Sons, Inc., 1989. 

  14. For a close, I jongwoo, the role of ATL and BTL advertising affects the consumer acceptance cultural dimension,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Vol.8 No.1, 2011. 

  15. Hyekyun, Kim, Analysis of Pursuing Value by Appearance Management Factor and Information Media for Hybrid Men,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p.770, Vol.13. No.4, 2013. 

  16. Hyekyun, Kim, Myunghee Park, The Socialcultural Value Research of Man Image and make up in Media,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pp. 450, Vol 11, No4, 2013. 

  17. Junbo Heo, A study on the analysis of narcissistic self-dispicious consumption in Facebook, p.22, Department of Broadcasting,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2012. 

  18. Hyekyun, Kim, A stud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information search of males workers in 20s and 30s, p. 8, PhD Thesis,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