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II) -외모관리행동 집단 간 외모관리동기 및 신체이미지 비교-
A Stud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ale Consumers(II) -Examination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and Body Image Perception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3 no.1, 2011년, pp.91 - 99  

구양숙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  이영주 (경북대학교 패션디자인) ,  추태귀 (경북대학교 패션디자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and body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male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 set of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98 male consumers. Data were analyzed by utilizing frequency, factor analysis, ANONA, cluster analy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성들의 경우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남성들의 외모관련제품의 구매 행동,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관리동기의 연령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구양숙 외(2010)의 연구(I)의 후속으로 이루어졌으며, 남성들을 대상으로 외모관리행동 요인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후각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외모관리관련 행동을 살펴보고, 집단 간의 외모관리동기 및 스스로 인식하는 자신의 신체이미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성들의 신체 및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전체적인 연령층의 남성들을 대상으로 한 신체이미지의 다양한 하위차원과 외모관리행동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또한 신체이미지와 의복간의 관계에 국한되었던 연구를 보다 넓은 범위의 외모관리를 접목시킴으로써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그리고 외모관리동기까지 포함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성인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에 따른 외모관리 동기와 신체이미지, 구매행동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들을 외모관리행동요인에 따라 유사집단으로 분류한 후 각 집단의 다음과 같은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넷째, 각 집단은 신체이미지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둘째, 각 집단은 외모관련제품 구매행동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셋째, 각 집단은 외모관리동기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첫째, 각 집단은 인구통계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모관리행동은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Myerson(1971)은 인간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적 미의 기준 속에서 자신의 신체와 외모에 대해서 지각하고 자신의 신체적 결점과 외모에 대한 정신적인 콤플렉스에서 탈피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외모관리행동이라고 하였다. 이 외모관리행동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노력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만족감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아름다운 외모를 지닌 사람들은 자기 스스로 만족하고 능동적인 삶을 살아가며 사회생활에서도 자신감을 발휘하는 반면, 외모가 아름답지 못하다고 스스로 지각하는 경우는 사회적으로 위축되고 사회생활에 자신이 없으며 타인에게 좋은 대우를 받지 못한다(Cash & Pruzinsky, 1990).
외모는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외모는 첫인상에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중요시되고는 있으나, 개인에 따라서는 사회생활을 영위하고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외모의 중요성과 외모관리의 필요성을 낮게 인식할 수 있고, 그렇게 낮은 인식을 하는 개인은 외모관리에 적극적이지 않을 것이다. 평소에 자신의 외모관리에 사용하는 비용과 노력의 정도도 자신에 대하여 갖는 신체 이미지 및 외모관리동기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성인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에 따른 외모관리 동기와 신체이미지, 구매행동의 특성을 분석하여 연구한 결과는? 첫째, 신체이미지의 차원은 ‘외모관심’, ‘외모만족’, ‘운동능력’, ‘체중관심’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외모관리행동의 차원은 7개 요인, 외모관리동기의 차원은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또한 외모관리행동에 따른 집단은 건강관심집단, 적극적 수용집단, 무관심집단, 패션/피부 관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외모관리행동 집단 간에는 학력을 제외한 인구통계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관심집단은 40대 이상, 기혼, 가족 총 수입은 300-400만원 미만, 직업은 서비스/자영/자유직, 적극적 수용집단은 20대, 미혼, 가족 총 수입은 300-400만원 미만, 직업은 서비스/자영/자유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관심집단은 40대 이상, 기혼, 가족 총 수입은 300-400만원 미만, 직업은 서비스/자영/자유직, 패션/피부 관심집단은 20대, 미혼, 가족 총 수입은 200-300만원 미만, 직업은 학생, 서비스/ 자영/자유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모관리행동 집단 간 외모관리관련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수용집단이 패션잡지구독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패션/피부 관심집단, 건강관심집단, 무관심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모관리를 위한 동행인은 모든 집단에서 혼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쇼핑 시 동행인으로는 건강관심집단과 무관심집단은 가족 및 친척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적극적 수용집단은 가족 및 친척, 동성친구(동료), 패션/피부 관심집단은 동성친구(동료)와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다. 외모관리비용은 건강관심 집단은 5-10만원, 적극적 수용집단은 15만원 이상, 무관심집단은 5만원 이내, 패션/피부 관심집단은 10만원 이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패션 및 외모관리 정보원으로 무관심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인터넷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외모관리행동 집단 간에는 외모관리동기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외모관리동기에서는 사회성추구가 모든 집단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신체이미지에서는 운동 능력이 높은 점수를 보여 성인남성들은 운동능력을 갖춘 남성 다운 이미지를 선호하며 사회성추구를 위한 외모관리행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외모관리동기 및 신체이미지의 모든 요인에서 적극적 수용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 자신의 신체에 대하여 긍정적이면서 외모관리에 대한 동기도 높고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패션/피부 관심집단은 건강관심집단과 무관심집단보다 외모관리동기에서 사회성을, 신체이미지에서는 외모관심에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패션 및 피부관심이 대인관계와 사회적 지위향상, 그리고 다른 사람보다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외모에 대한 관심도 더 높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외모관리행동 집단 간 신체이미지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적극적 수용집단은 외모관심, 외모만족, 운동능력, 체중관심의 4개 요인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패션/피부관심집단과 건강관심집단은 외모만족, 운동능력, 체중관심에 대하여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외모관심에 대하여는 두 집단에 차이를 보여 패션/피부관심집단이 건강관심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무관심집단은 4개 요인 모두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구직자 19.9% "외모 때문에 취업 못해". (2010, 06. 18). 부산일보. 자료검색일 2010, 7. 6, 자료출처 http://news20.busan.com 

  2. 구양숙, 이영주, 추태귀. (2010). 남성들의 연령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I) -연령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4), 459-466. 

  3. 김광경, 이금실, 정미실. (2001). 다차원적 신체이미지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358-365. 

  4. 김선희. (2003).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5), 99-108. 

  5. 김지현, 홍금희. (2000). 남성집단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1), 43-54. 

  6. 노지영, 고애란, 정미실. (2005). 직장남성의 이미지 컨설팅을 위한 특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패션성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1), 58-67. 

  7. 류은정, 김영희. (2008). 남자대학생의 신체이미지에 따른 외모관리행동과 동기. 대한가정학회지, 46(1), 63-72. 

  8. 박수진, 박길순. (2008) 남성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태도 및 인식. 복식문화연구, 16(3), 533-546. 

  9. 송경자. (2009). 지각적 신체이미지, 외모관리행동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3(10), 1611-1621. 

  10. 신연욱. (2006). 남성 외모관리행동의 영향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우지영. (2005). 20-30대 남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매트로섹슈얼 성향과 외모관리행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유창조, 정혜은. (2002). 소비자의 아름다움 추구행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남성의 치장과 여성의 화장, 성형 및 피트니스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13(1), 211-231. 

  13. 이지현. (2004). 남자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성역할 정체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명선. (2003). 성인여성의 신체적 매력성 지각이 자존심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3(3), 165-180. 

  15. 태평양미용연구팀. (2005). Men's Grooming. 더북컴퍼니. 

  16. 하종경. (2009). 외모관리동기에 따른 의복 및 화장행동.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3), 385-396. 

  17. 홍금희. (2006).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비만도가 신체이미지와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1), 48-54. 

  18. 황진숙, 김윤희. (2006). 외모관리행동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심리적 안녕감. 한국복식학회지, 56(3), 143-155. 

  19. Cash, T. F., & Pruzinsky, T. (1990). Body image: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 Cash, T. F. (1990).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In appendix,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Elmsford: Pergamon press, pp. 125-130. 

  21. Huddy, D. C., Nieman, D. C., & Johnson, R. L. (1993).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percent body fat among college male varsity athletes and nonathlet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7, 851-857. 

  22.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2nd ed.). New York: Macmillan. 

  23. Myerson, L. (1971). Somatopsychology of physical disability in W.M. Cruickshank (Ed.), Psychology of exceptional children and youth.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Hall. 

  24. Secord, P. F., & Jourard, S. M. (1953). The Apperaisal of Body Cathexis: Body Cathexis and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7(5), 343-3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