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을 위한 문화복지서비스의 실태 분석연구 -영월군의 박물관·미술관을 중심으로-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ltural Welfare System for the Disabled -Focus on a Museum and Art Museum in Youngwol-gu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1, 2014년, pp.6659 - 6668  

오승하 (동방대학원 대학교 교육학과) ,  조성제 (동방대학원 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인을 위한 문화복지서비스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4년 6월1일부터 7월31일까지 강원도 박물관고을특구 영월군에 소재하는 문화복지시설 중 공 사립 21관의 박물관을 대상으로 실태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척도문항을 중심으로 박물관 문화복지시설의 현장조사와 관장면접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장애인을 위한 문화복지서비스가 문화 예술 여가활동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에 대한 문화향유는 생활만족도, 삶의 질에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평등한 문화향유의 권리를 갖는 장애인관람객을 위한 문화복지서비스의 환경구축, 다양한 프로그램개발, 관람시스템개발 및 보완, 편의시설구축, 재정적지원 등 개선정책 수립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ltural welfare system for the disabled. The survey was completed by 21 public and private museums at a cultural welfare center in Gangwon-do, Yongwol-gun, specialized for museums only between 1 June and 31 July 2014. The study scale questions wer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미술관을 대상으로 장애인관람객을 위한 문화복지전반(프로그램, 관람시설, 편의시설)의 경향을 살펴보고, 문화복지정책 수립 및 기초자료를 생산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문화복지서비스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연구의 설계는 박물관의 실태와 현황을 조사·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을 위한 문화복지서비스, 관람 시스템과 형식, 편의시설 전반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개선 및 보완 그리고 발전방향 제시하여 장애인의 문화향유의 권리를 찾고자 한다.
  • 이는 장애인이 우리 사회의 문화적 소외를 경험해온 대표적인 집단들 가운데 하나이며, 장애인은 기본권으로서 문화향유권을 보장받아야 함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과 프로그램과 개선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제도적인 지원협력 체계 및 지역 장애인 문화복지 실현모델 구축, 사회적인 인식제고, 안정적인 재원확충, 문화복지 기반시설의 조성, 문화복지 공동체 형성을 위한 민간 참여의 활성화, 장애인 문화복지 정보망 구축, 문화환경 및 자원, 시설에 접근성 확대, 정기적인 문화복지 실태조사와 문화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등에 관한 정책개발을 요구하고 있는데 큰 의미가 있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은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문화복지서비스와 관람시설의 구축 그리고 편의시설 유·뮤에 따라서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 첫째, 박물관·미술관의 일반인 및 장애인 문화복지 실태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적 복지욕구의 특징은 무엇인가? 문화적 복지욕구는 문화적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확대 및 저소득층의 여가활동을 위한 문화복지서비스의 수요와 급증으로 나타나고 있다. 문화복지 욕구 중 핵심적 기능에 박물관이 있으며, 최근 사회의 요구에 맞는 문화양성과 교육기관으로서의 박물관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높아지고 관람객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1].
문화복지 욕구 중 핵심적 기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문화적 복지욕구는 문화적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확대 및 저소득층의 여가활동을 위한 문화복지서비스의 수요와 급증으로 나타나고 있다. 문화복지 욕구 중 핵심적 기능에 박물관이 있으며, 최근 사회의 요구에 맞는 문화양성과 교육기관으로서의 박물관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높아지고 관람객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1].
문화복지시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현재 문화시설의 대부분은 일반인을 위하여 유지 운영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은 장애인을 위한 문화복지 프로그램과 장소가 미흡하므로 장애인을 위하여 문화예술을 함께 체험하며, 즐길 수 있는 장소를 마련 할 수 있다면 장애인들의 문화향수 증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o-sam Jeon, "2013 Museum.Art gallery Education Academy", The Korean Museum Association, p.9-10, 2013. 

  2. Bong-soo Hong, "Social Welfare Policy", Gongdongchae, pp304-305, 2012. 

  3. Byung-hwa Yoon, "Museum Exhibition for the Blind", General Assembly of The Korean Museum Association 2012, Korea Culture & Tourism Welfare Association, p.33, 2012. 

  4. Guem-ok Won, "Educational program and Space usage in Museums for the disabled", Chungang graduate school of art, Master's Dissertation, pp.100-106, 2003. 

  5. Hye-kyung Oh, "Investigation into cultural activities of the disabled", 

  6. Mi-sun Park, "Case study of Educational program in Museum and Galley for the disabled", Sookmyung Wome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issertation, pp.94-96, 2007. 

  7. Deok-kyoung Yoon, "The disabled's cultural art participation reality and the potential", Dance Association of Korea, Vol.29 No.3 pp.17-21, 2011. 

  8. Moo-seong Jeong et al., "Achievement of cultural supporting business for the disabled", Korean Associa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 Research, Vol.12 No.1 pp.209-236, 2013. 

  9. Dong-young Lee et al., Discussion of architectural planning, SeoWoo, p 6-19, 2001. 

  10. Bo-a Lee, "Introduction of museology", Kimyoung-sa, pp.6-9, 2000. 

  11. Yun-hee Kim, Cultural Welfare Present condition of Museum", pp. 32-33, 2013. 

  12. Rychen, D. S, & Salganik, L. H.(2003).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and Huber. 

  13. Yong-chan Byun, "Welfare business for the disabled",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ac.kr/, 2014. 8. 11.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or the disabled 2011".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27, 2011. 

  15. Cheon-geun Yoon, "Construction Plan", Kimoon-Dang, pp.274-276, 2005. 

  16. Seok-jo yoon,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p.47, Gongdongchae,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