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ortfolio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역세권 지하철 연계수단간 유형분류 연구 - 서울시 25개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ransportation Connections in Seoul Subway Adjacent Area Using Portfolio Analysis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6, 2015년, pp.1329 - 1338  

김태호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  박준태 (도시교통연구소) ,  손상호 ((주)원우기술개발) ,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하철 분담률의 지역적 차이에 대한 원인분석을 통하여 올바른 정책적 수단을 찾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가장 영향력 있는 두 개의 변수를 찾아내어 Portfolio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하철 분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역세권 요인과 마을버스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줄어들고 있는 지하철 분담률을 개선하기 위해서 역세권지역의 확장, 역사수 증설, 마을버스 노선수의 증대가 요구됨을 의미한다. 둘째, Portfolio 분석결과 지하철 연계 강화를 위한 개선유형은 역세권 중심 개선과 마을버스 중심 개선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역세권 중심 개선지역은 강북구, 서대문구, 금천구, 관악구로 나타났고, 송파구와 중구는 마을버스 중심 개선지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지하철 분담률 향상을 위해서는 두 가지 측면의 주요 요인을 유형별(지역)로 적절히 고려하는 대중교통 관련 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aims to develop model for the right policy Tools available from the cause analysis regarding the regional differences of subway modal split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allows two major factors of the most influential subway modal split to be proved and Portfolio Analysis is cond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속(일반)철도역의 연계교통에 대한 기존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일반 지역 간 철도역세권을 대상으로 버스 중심의 연계교통체계를 구축하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 연구이다.
  • 그 결과, 교통수단간 원활한 연계를 위한 운영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며, 서울시 지역별로 공급되어 있는 연계 교통수단의 수준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한 대중교통정책 수립은 시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하철분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을 바탕으로 행정구역별 특성을 유형화하여 향후 지하철분담률 제고를 위한 연계교통수단의 다양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 역시 이용수요와 공급수준에 초점을 맞춘 연구로서, 토지이용유형(주거, 비주거지역)을 구분하여 역세권 대중교통 이용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토지이용 특성(주거, 비주거)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주거지역의 경우 버스요인(정류장수, 단거리 노선 수), 비주거지역의 경우 도시철도요인(노선수, 배차간격, 운영시간, 역간거리)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ortfolio분석은 무엇을 위해 개발되었는가? 본 연구에서 사용될 Portfolio분석은 경영 및 금융 분야에서 위험분산 투자를 위해 개발된 분석방법이다. 경제시장(Economic Market)에서 공급자는 다양하고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투여하기 위해 현황을 분석하고 집중해야 될 부분에 자원을 투여해야 한다.
서울시의 행정구역별 차별화 전략 수립을 위해 역세권요인과 마을버스요인을 기준으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면 어떤 유형이 있는가? (1) 역세권개선지역(유형 1)으로는 강북구, 서대문구, 금천구, 관악구, 서초구, 성북구, 도봉구, 동작구, 구로구가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1은 역세권지역의 개발과 지하철역사의 수가 교통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역세권에 대한 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2) 마을버스개선지역(유형 2)으로는 송파구, 중구, 마포구, 성동구, 강남구가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2는 역세권지역이 넓고, 충분한 개발밀도를 유지하고 있으나, 마을버스의 노선 수 및 통행시간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마을버스의 운영여건 개선이 필요한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3) 마을버스중심/역세권 개선지역(유형 3)으로는 종로구, 은평구, 강서구, 동대문구, 노원구, 용산구, 강동구, 영등포구, 광진구, 중랑구가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3은 마을버스의 운영여건(노선 수, 통행시간)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은 수준이나, 역세권지역의 개발이 부족하여 역세권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4) 역세권중심/마을버스 개선지역(유형 4)으로는 양천구가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4는 역세권 및 마을버스운영여건 측면에서 모두 개선이 필요한 지역으로 25개 행정구역 중 가장 많은 개선이 요구되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Portfolio분석이란 무엇인가? 경제시장(Economic Market)에서 공급자는 다양하고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투여하기 위해 현황을 분석하고 집중해야 될 부분에 자원을 투여해야 한다. Portfolio분석은 두 개의 변수를 이용하여 도표를 만들어 각 사분면 별로 범주화시키는 분석방법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avid, A. Aarker. (2004). Brand portfolio strategy : creating relevance, differentiati, Business books. 

  2. Jeong, H. Y. and Kim, S. W. (2002). The Analysis of Long Distance- and Cross-Commuting Patter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Development Institute. 

  3. Kim, E. H. (2006). Analysis on factors of public transport demand change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public transport system in Seoul, MS Thesis, University of Seoul. 

  4. Kim, T. H., et al. (2008). "An analysis of determining service criteria for seoul bus passengers using modified-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IPA)." The Journal of The Seoul Institute, Vol. 9, No. 1, pp. 15-29. 

  5. Kim, T. H., et al. (2008). "Evaluation of urban roadway service quality using modified-IPA techniqu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10, No. 2, pp. 91-100. 

  6. Lee, G. Y. and Kim, T. H. (2010). "Factor analysis on psychological cause of speed reduction in expressway tunnel section utiliz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0, No. 2, pp. 127-134. 

  7.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3). Cervical high-speed rail transportation system linking the basic plan (2003-2020) Research Reports (in Korean). 

  8. Oh, Y. T. (2008). A Study on Reform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Transit in the Seoul Rail Station Areas for TOD,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9. Oh, Y. T., et al. (2009). "An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oward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considering land use type seoul subway station Area in Seou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9, No. 4, pp. 467-472. 

  10. Park, D. J., et al. (2007). The Study on Classification of Subway Catchment Area Corresponding with TOD Concept in Seoul, Korea Planners Association. 

  11. Park, J. S., et al. (2007). "The analysis of service characteristics for subway passengers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10, No. 4, pp. 420-430. 

  12. Seo, G. S., et al. (1997). A study on Establishing an Efficient Feeder Transport Network for the Seoul-Pusan High Speed Rail,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13. Seong, H. G., et al.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land use on travel pattern in the rail station areas of a dense city: A Case of Seoul."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1, No. 4, pp. 59-75. 

  14. Seong, H. G., et al. (2007). A Study on Seoul Station area and the use of the public transport supply and demand characteristics of association,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15. Seong, H. G. and Kim, T. H. (2005). "A study on categorizing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by rail use pattern." The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Vol. 23, No. 8, pp. 19-29. 

  16.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7). A Study on Connection-oriented transport station Promotion Strategies, Research Reports (in Korean). 

  17.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7). A Study on efficient operation of Seoul-Busan high-speed rail system linking transportation plan. Research Reports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