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아치과에서 협조가 되지 않는 어린이의 치과치료 시 사용하는 진정법은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의료사고예방을 위한 evidence-based 진료가 필요하다. 근거중심의학의 부상에 따라 치의학계에도 근거중심치의학(Evidence-Based Dentistry)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의 진정법에 대한 근거중심의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인 문헌고찰법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국내에 보고된 소아치과진정(요)법을 검토하고, 향후 국내의 근거중심 소아치과 진정법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체계적인 문헌고찰 지침"을 참고하여 국내 5개 데이터베이스 1) Core 검색 데이터베이스- KM base, KISS 2) 학술정보 및 포털 -국회도서관, DBpia, RISS를 검색하였다. "치과진정법" 및 "치과진정요법"으로 검색어를 제안한 총 470편의 논문 중 문헌선택과정의 흐름도를 따라 중복제거 하고 남은 31개의 논문 중 원문이 제공되는 문헌을 모두 취합한 총 20개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번 체계적 문헌고찰은 한국 소아치과 영역에서 지난 25년간 시행된 치과진정법에 관한 일관된 근거(evidence)를 확인하기 위하여 GRADE 과정에 정의된 객관적인 기준에 기초하여 진행된 결과, 전체적인 근거는 보통(moderate)의 질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특히 약물의 추가 투여 부분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very low)의 질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향후 안전한 약물의 사용 부분에 대해 보다 체계적으로 잘 고안된 임상 실험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rst priority of sedation for incorporative children in pediatric dentistry is a safety. Therefore, evidence-based practices in health care are needed for preventing medical accidents. In accordance with the rise of the evidence based medicine, the interest in Evidence-Based Dentistry is inc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소아치과학 분야에서도 대한소아치과학회의 학술대회나 대한소아치과학회지 기사에서 근거중심 소아치과학(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에 관한 발표나 논의가 희소하였으며6), 한국의 치과 진정법에 대한 근거중심의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인 문헌고찰법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국내에 보고된 소아치과 진정(요)법을 검토하고, 향후 국내의 근거중심 소아치과 진정법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한편 근거중심의 치과진정법 진료지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적 공포와 불안이 심할 경우 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치과 의사는 진료 중 어린이의 행동 관리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치과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비협조적인 행동의 원인으로 생각된다3). 심한 치과적 공포와 불안으로 치과적 행동 조절에 문제를 일으키는 환자의 경우, 진정법과 같은 약물적 행동 조절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4).
최근 근거중심의학이 부상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한편 근대 이후 과학이 발달하면서 의학도 과학적 근거에 의해 발달해 왔다. 그러나 임상진료가 지금까지 항상 과학적 근거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의료인이 대학을 졸업하고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면허를 취득한 후에는 실제로 충분한 보수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의학의 발달이 느리게 진행되던 과거에는 과거에 습득한 지식과 계속 쌓여가는 경험에 의지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지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교과서는 최신의 정보원이 될 수 없고 수많은 저널들에 발표되는 기사들을 개인이 모두 읽어보고 비교 평가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기는 매우 힘든 실정이다. 최근에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기술의 발달은 방대한 의학정보의 수집과 체계적 검토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변화와 필요성에 따라 최근에 부상한 새로운 개념이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이다6).
체계적 고찰은 무엇을 제공하는 근거중심의학의 핵심적인 영역인가? 근거중심의학의 실행에 있어 핵심적인 내용인 체계적 고찰(systemic review)은 우리나라에서도 활동이 늘고는 있으나 아직 활성화되기에는 많은 과제가 놓여있다. 체계적 고찰은 명시적인 방법을 통해 과학적인 근거를 통합하고 제시하여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를 제공하는 근거중심의학의 핵심적인 영역의 하나이다. 특정한 주제에 대하여 문헌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엄격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종합된 추정치 등을 제시하는 것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im JB, Yoo SH, Kim JS : The Qualification of Dentist for Sedation : BLS and ACL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2:80-86, 2015. 

  2. Klingberg G, Broberg AS : Dental fear/anxiety and dental behavior management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review of prevalence and concomitant psychological factors. Int J Pediatr Dent, 17:391-406, 2007. 

  3. Oh JE, Kim JS, Yoo SH : The Assessment of Stress of Children under Dental Procedures Using Wrist Watch Type Heart Rate Monitoring Devices - Using New Device for Stress Assessment in Children During Restorative Dental Treatment. J Korean Acad Pediatr Dent, 42:119-125, 2015. 

  4. Chi SI, Kim JS : Effects of Midazolam with Sevoflurane Insufflation Sedation on Concomitant Administration in Pediatric Patients : A Preliminary Study.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283-291, 2014. 

  5. Yang YM, Shin TJ, Yoo SH, et al. :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by Pediatric Dentis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257-265, 2014. 

  6. Lee KH :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 concepts and application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3:269-80, 2006. 

  7. Evidence-Based Medicine Working Group : Evidence-based medicine. A new approach to teaching the practice of medicine. JAMA, 268:2420-2425, 1992. 

  8.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Assessment service. Available from URL: http://kams.or.kr/ (Accessed on October 22, 2015) 

  9.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NECA, Seoul, 2011. Assessment service. Available from URL: http://neca.re.kr/eng/ (Accessed on October 22, 2015) 

  10. Glasziou P, Vandenbroucke J, Chalmers I : Assessing the quality of research. BMJ, 328:39-41, 2004. 

  11. Park HS, Kim YK :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in sedating child patients for dental treatment. J Korean Acad Pediatr Dent, 17:1-14, 1990. 

  12. Kim YK, Park HS, Kim JS : Clinical report on the sedative effect of chloral hydrate administered via rectum. J Korean Acad Pediatr Dent, 17:197-202, 1990. 

  13. Kim YK, Kim JS : Evaluation of the sedative effect of intranasal midazolam : a case report. J Korean Acad Pediatr Dent, 22:393-400, 1995. 

  14. Eum JH, Kim S : Sedation therapy through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midazolam. J Korean Acad Pediatr Dent, 22:481-485, 1995. 

  15. Jung JH, Park KT : Evaluation of success rate and temporary hypoxia in pediatric dental sedation using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J Korean Acad Pediatr Dent, 28:337-344, 2001. 

  16. Lee IC, Kim JS, Kwoon SW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acy of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of different doses in sedating young pediatric dental patie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28:430-440, 2001. 

  17. Choi NK, Jung BC, Yang KH : Effects of sedative drugs for management in children. J Korean Acad Pediatr Dent, 29:304-312, 2002. 

  18. Hong SJ, Lee KH : A study on the conscious sedative effect of chloral hydrate/hydroxyzine with and without $N_{2}O-O_{2}$ . J Korean Acad Pediatr Dent, 29: 489-497, 2002. 

  19. Park HD, Lee CS, Lee SH, et al. : Comparative evaluation of intranasal and oral midazolam. J Korean Acad Pediatr Dent, 31:431-438, 2004. 

  20. Kim YH, Kim JY, Park KT : A comparative study of chloral hydrate/hydroxyzine versus midazolam/ meperidine as oral conscious sedative regimen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2:262-269, 2005. 

  21. Kim EY, Kim JS, Yoo SH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edative effect of different intravenous midazolam dosages for pediatric dental patie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2:416-426, 2005. 

  22. Rho SC, Kim YJ, Jang KT, et al. : A comparison of the sedative effect on chloral hydrate dosage in the sedation of the pediatric dental patie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2:517-524, 2005. 

  23. Park KT, Kim JY, Park SD : The influence of obesity on pediatric conscious sedation. J Korean Acad Pediatr Dent, 33:62-69, 2006. 

  24. Lee YE, Park MK, Kim SY, et al. : Sedation evaluation using bis index assessment with and without the added submucosal midazolam. J Korean Acad Pediatr Dent, 34:91-98, 2007. 

  25. Kim KH, Kim JS, Kim SO : A study on the effects of sedation and related variables for pediatric dental patie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4:234-246, 2007. 

  26. Kim YH, Jung SH, Baek KW : Comparison of behavioral response between intranasal and submucosal midazolam administration.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427-436, 2008. 

  27. Koo JE, Baek KW : Postsedation events in pediatric patients sedated for dental treatment. J Korean Acad Pediatr Dent, 36:209-216, 2009. 

  28. Kim HJ, Baek KW, Mah YJ, et al. : Effects of children's tonsil size on the behavior during pediatric dental sedation. J Korean Acad Pediatr Dent, 37: 338-344, 2010. 

  29. Maeng YJ, Oh SH : An effect of sleeping hours prior to procedure on chloral hydrate sedation for pediatric dental patient. J Korean Acad Pediatr Dent, 38: 355-361, 2011. 

  30. Jang SY, Kim JY, Park KT : Effect of supplementary intranasal midazolam on oral sedation of children. J Korean Acad Pediatr Dent, 39:11-16, 2012. 

  31. Lunt RC, Howard HE : A descriptive study of 201 uncombined alphaprodine HCL conscious sedations in pediatric dental patients(1982-1985). Pediatr Dent, 10:121-126, 1988. 

  32. Houpt MI, Weiss NJ : Comparison of Chloral hydrate with and without promethazine in the sedation of young children. Pediatr Dent, 7:41-46, 1985. 

  33. Hogue D, Ternisky M, Iranpour B : The response to nitrous oxide analgesia in children. ASDC J Dent Child, 38:129-133, 1971. 

  34. Nathan JE : Management of the difficult child: survey of pediatric dentist's use of restraints,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ASDC J Dent Child, 56: 293-301, 1989. 

  35. Choi YS, Shim YS : Sedation practices in dental office. J Korean Acad Pediatr Dent, 26:579-587, 1999. 

  36. An SY, Choi BJ, Kwak JY, et al. :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in the korean pediatric dental office. J Korean Acad Pediatr Dent, 32:444-453, 2005. 

  37. Maxwell LG, Yaster M : The myth of conscious sedation. Arch Pediatr Adolesc Med, 150:665-667, 1996. 

  38. Cote CJ, Karl HW, Notterman DA, et al. : Adverse sedation events in pediatrics : analysis of medications used for sedation. Pediatrics, 106:633-644, 2000. 

  39. Mason KP, Green SM, Piacevoli Q, et al. : Adverse event reporting tool to standardize the reporting and tracking of adverse events during procedural sedation: a consensus document from the world SIVA international sedation task force. Br J Anaesth, 108:13-2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