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정작용은 행동조절이 어렵고 광범위한 치료가 필요하거나 의학적 문제가 있는 어린이의 치과 치료에 유용한 행동조절 방식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진정제와 진정치료의 경향을 분석하여 진정법의 사용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 2016년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의 전자의무기록(EMR)을 바탕으로 환자 및 진정법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정법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의 수가 일반적으로 증가했다. 남자가 여자보다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 치료를 더 많이 받았으나 2015년부터는 유사한 비율로 적용되고 있다. 전신질환(ASA II) 환자의 치료 비율은 2013년에 감소했지만, 이후에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4 - 5세 및 6 - 10세의 진정 치료 비율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0 - 2세 및 11세 이상은 감소했다. 3세는 비교적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진정법은 아산화질소 흡입진정법이었으며, chloral hydrate의 사용이 감소하는 동안 benzodiazepine계열의 사용이 증가했다. 최근에는 행동관리 기법으로 진정법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한 사용을 위하여 다차원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으며, 진정제 사용의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추가 연구 역시 동반 수행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dation is a usefu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 for dental patients who may be uncontrollable or have medical problem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atterns of sedative treatments in pediatric dentistry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used sedative ag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진정법에 대한 횡단적연구의 한계를 넘어 6년간에 걸친 진정법 사용실태와 변화의 방향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나아가 국내의 진정법을 이용한 치료의 변화 양상을 이해함으로써 진단과 치료계획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진정법에 대한 횡단적연구의 한계를 넘어 6년간에 걸친 진정법 사용실태와 변화의 방향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나아가 국내의 진정법을 이용한 치료의 변화 양상을 이해함으로써 진단과 치료계획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정작용이란? 진정작용은 행동조절이 어렵고 광범위한 치료가 필요하거나 의학적 문제가 있는 어린이의 치과 치료에 유용한 행동조절 방식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진정제와 진정치료의 경향을 분석하여 진정법의 사용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있다.
치과치료 시 약리학적 행동 조절법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러나 소수의 환자에서는 통상 적인 행동조절 방법이 오히려 치과 진료를 지연시키거나 불가능 하게 한다. 따라서 나이가 어리거나 의학적 장애로 인하여 자발적 협조를 얻기 어려울 경우 또는 심한 불안감으로 치료를 거부 하는 경우에 진정법과 같은 약리학적 행동 조절법이 고려된다[2-6]. 진정법은 치과 내원 시 소아환자가 느끼는 통증, 공포, 불안 그리고 정서적 충격을 경감시킴으로써 양질의 치과진료를 가능하게 하고, 향후 치과치료에 대한 긍정적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4].
진정법의 사용빈도가 크게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2000년대 이 후, 소아환자들의 치과 치료 시, 진정법의 사용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아이의 불안을 조절하여 더 편안 하고 효율적인 진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술자와 환자 보호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 소아 치과의사들을 상대로 1999년과 2005년에 실시한 임상에서의 진정법 활용 여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진정법을 활용한다고 응답한 소아치과의사의 비율이 1999년 29%에서 2005년 약 66%로 크게 증가 하였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SM, Kim JS, Kim YK : The effectiveness of two sedative regimen used for child patient who failed to oral choral hydrate. J Korean Acad Pediatr Dent, 27:505-516, 2000. 

  2. Houpt M : Project USAP 2000 - Use of sedative agents by pediatric dentists : A 15-year follow-up survey. Pediatr Dent, 24:289-294, 2002. 

  3. Wilson S, Houpt M : Project USAP 2010: Use of sedative agents in pediatric dentistry : A 25-year follow-up survey. Pediatr Dent, 38:127-133, 2016. 

  4.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Textbook of Pediatric Dentistry, 5th ed. Dental Wisdom; 226-227, 2014. 

  5. An SY, Lee JW, Kim JB, et al. : A review of the systemic analysis method on dental sedation for children. J Korean Acad Pediatr Dent, 42:331-339, 2015. 

  6. Choi YS, Shim YS : Sedation practices in dental office : A survey of members of the korean adademy of pediatric dentistry. J Korean Acad Pediatr Dent, 26:579-587, 1999. 

  7. An SY, Choi BJ, Kwak JY, et al. :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in the korean pediatric dental office. J Korean Acad Pediatr Dent, 32:444-453, 2005. 

  8. Yang YM, Shin TJ, Jeong TS, et al. :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by pediatric dentis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257-265, 2014. 

  9. Creedon RL : Guidelines for the elective use of conscious sedation, deep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in pediatric patients. Anesth Analg, 33:189, 1985. 

  1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 Population trend survey - Statistical information report 2016. Available from URL: http://kosis.kr/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menuId10&NUM1037 (Accessed on August 10, 2017). 

  11. Klingberg G, Broberg AG : Dental fear/anxiety and dental behaviour management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review of prevalence and concomitant psychological factors. Int J Paediatr Dent, 17:391-406, 2007. 

  12. Leelataweedwud P, Vann WF : Adverse events and outcomes of conscious sedation for pediatric patients : Study of an oral sedation regimen. J Am Dent Assoc, 132:1531-1539, 2001. 

  13. Park CJ, Jung JM, Yum KW, et al. : Analysis on the outpatiet anesthesia at dental clinic for disabl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J Korean Acad Pediatr Dent, 31:19-25, 2004. 

  14. Dougherty N : The dental patient with special needs : A review of indications for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Spec Care Dent, 29:17-20, 2009. 

  15. Soldani F, Manton S, Foley J, et al. : A comparison of inhalation sedation agents in the management of children receiving dental treatment :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pilot trial. Int J Paediatr Dent, 20:65-75, 2010. 

  16. Levering NJ, Welie J : Current status of nitrous oxide as a behavior management practice routine in pediatric dentistry. J Dent Child, 78:24-30, 2011. 

  17. Foley J : A prospective study of the use of nitrous oxide inhalation sedation for dental treatment in anxious children. Eur J Paediatr Dent, 6:121-128, 2005. 

  18. Cote CJ, Notterman DA, McCloskey C, et al. : Adverse sedation events in pediatrics : A critical incident analysis of contributing factors. Pediatrics, 105:805-814, 2000. 

  19. Wilson S : A survey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membership : Nitrous oxide and sedation. Pediatr Dent, 18:287-293, 1996. 

  20. Hosey M : Managing anxious children : The use of conscious sedation in pediatric dentistry. Int J Paediatr Dent, 12:359-372, 2002. 

  21. Weinstein P, Domoto PK, Holleman E : The use of nitrous oxide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 Results of a controlled study. J Am Dent Assoc, 112:325-331, 1986. 

  22. Kantovitz KR, Puppin-Rontani RM, Gaviao MB : Sedative effect of oral diazepam and chloral hydrate in the dental treatment of children.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25:69-75, 2007. 

  23. Houpt M, Sheskin R, Koenigsberg S, et al. : Assessing chloral hydrate dosage for young children. ASDC J Dent Child, 52:364-369, 1985. 

  24. Dallman JA, Ignelzi M, Briskie D : Comparing the safety, efficacy and recovery of intranasal midazolam vs. oral chloral hydrate and promethazine. Pediatr Dent, 23:424-437, 2001. 

  25. Malamed SF : Sedation : A Guide to Patient Management, 5th ed. Mosby, 95-118, 141-150, 495-51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