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맞벌이가구의 가사노동에 대한 공평인지와 불공평인지 집단별 가사노동분담률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Household Work Sharing and Perceptions of Equitable and Unequitable Household Work Sharing in Dual-earner Households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6 no.4, 2015년, pp.717 - 729  

정주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조소연 (동국대학교(경주) 사범교육대학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ains the differences in household work sharing and perceptions of equitable and unequitable household work sharing in dual-earner households by gender. The study also examines the effects of household work sharing and perceptions of equitable and unequitable household work sharing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가구의 남성과 여성이 인지하는 주관적 가사노동 공평성을 기준으로 가사노동 공평, 불공평인지 집단별로 분류하고 남녀별 가사노동분담률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 공평, 불공평인지 집단별로 가사노동분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맞벌이 가구의 가사노동분담 불균형에 대한 남녀의 주관적 측면을 이해할 수 있으며, 가사노동에 대한 남녀의 시각차를 조정해나가며 일-가정의 균형을 만들어 나가는 실천적 과제에 실질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가족구성원 돌보기 영역은 자녀, 배우자, 부모 및 조부모 등의 돌보기 등 가족구성원을 보살피기 위한 가정관리의 영역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사노동시간을 Cha(1998)의 가사노동영역을 근거로 분류하여 1 주일간의 가사노동시간을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가사노동분담률을 측정하기 위해 본인의 가사노동시간 을 본인과 배우자의 가사노동시간으로 나누어 측정하고자 한다(Lee & Kim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가구의 가사노동분담 불균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주관적으로 인지 하는 가사노동 공평성을 중점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맞벌이 가구에서 주관적 가사노동 공평, 불공평(본인이 많이, 배우자가 많이) 인지 집단별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분담률의 차이와 가사노동 공평, 불공평 인지 집단별로 가사노동분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가구의 남성과 여성이 인지하는 주관적 가사노동 공평성을 기준으로 가사노동 공평, 불공평인지 집단별로 분류하고 남녀별 가사노동분담률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 공평, 불공평인지 집단별로 가사노동분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사노동공평성 인지란? 가정 내 역할분담에 따른 공평성은 가사노동․자녀양육·생 활수준 기여라는 영역으로 나눠지는데(Longmore 1997), 여기서 가사노동과 자녀양육은 같은 영역으로 간주하여 가사노동공평성 인지로 다루어지고 있다. 즉 가사노동공평성 인지란 가사 및 육아활동 등 전반 적인 가사노동의 분담을 남성과 여성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하는 주관적 인지인 것이다(Moon et al. 1997; Ki & Lee 2003).
맞벌이 가구에서 부부가 함께 일과 가정을 균형 있게 이끌어가기 위해 남성의 가사노동참여가 필요한 이유는? 0%는 경력단절 없이 경제활동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맞벌 이에 대한 선호가 증가해오며 가사노동분담은 맞벌이 가구 내 중요한 과제로 나타나고 있다. 핵가족화가 진행되며 부부가 직접 가사노동을 수행하게 되었으며, 유급가사조력자의 활용이 임금률 상승으로 과거보다 어려워지고 있어 가사노동분담은 부부의 역할문제로 더욱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Yoo et al. 2011).
가정 내 역할분담에 따른 공평성은 어떤 영역으로 나뉘는가? 이러한 공평성 정도는 주관적으로 인지되는 것으로 가정 내 역할분담 그 자체보다는 상황에 대해 남성과 여성이 어떻게 인지하느냐는 것으로 파악된다(Thompson 1991). 가정 내 역할분담에 따른 공평성은 가사노동․자녀양육·생 활수준 기여라는 영역으로 나눠지는데(Longmore 1997), 여기서 가사노동과 자녀양육은 같은 영역으로 간주하여 가사노동공평성 인지로 다루어지고 있다. 즉 가사노동공평성 인지란 가사 및 육아활동 등 전반 적인 가사노동의 분담을 남성과 여성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하는 주관적 인지인 것이다(Mo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nchez L, Kane EW(1996) Women's and men's constructions of perceptions of housework fairness. J Family Issues 17(3), 358-387 

  2. Barnett RC, Brauch G(1987) Determinant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J Marriage Family 49, 29-40 

  3. Baxter J(2000) Gender equality and participation in housework: a cross-national perpective. J Comparative Family Stud 28, 220-247 

  4. Cai L, Lee KY(2004) A study of dual-earner couple's household work time and life satisfaction. J Korean Home Manage Assoc 22(5), 1229-1331 

  5. Cha SR(1998) Interactive effects of wives' and husbands' gender idelogies on the couples' household work time and perceptions of the fairness of household work. Family Environment Res 36(9), 139-152 

  6. Chae OH, Jeong EM(2003) The new generation housewives' performance of housework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Korean J Human Ecol 12(2), 201-213 

  7. Cho MR, Yoon SK(2014) Changing differences by educational attainment in fathers' family work: domestic labour and child care. Korean Academy Family Soc Work 44, 5-30 

  8. Choi SS(1995) Study of the husbands' participation in the household work.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9. Coltrane S(2000) Research on household labor: modeling and measuring the social embeddedness of routine family work. J Marriage Family 62, 1208-1233 

  10. Doo KJ, Yoo HS(2000) Marital satisfaction of expanding dual-earner couples and it's influential variables. J Family Economic Issues 4(1), 47-57 

  11. Greenstein TN(1996) Husbands' participationnin domestic labor; interactive effects of wives' and husbands' gender ideologies. J Marriage Family 58, 585-595 

  12. Heo SY(2008) Research on time use for housework of women and men in double income households. Korean Assoc Women's Stud 2(3), 199-210 

  13. Herald Economic News(2015) Only 20%,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dual-career couples "Wife led 56%". Available from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520000095&md20150520081511_BL [cited 2015 September 20] 

  14. Hersch J, Stratton LS(1997) Housework, fixed effects, and wage of married workers. J Human Resources 32, 285-307 

  15. Hong YJ(1997) Effects of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labor of married couples and the sense of flarness on marital satisfaction. Doctoral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6. Im JB, Cho MW(1996) The husband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bout wives' home management behavior. J Korean Home Manage Assoc 14(4), 47-61 

  17. Joo IH(2012) Research of the determinants for housework of in double income households in Korean. 2012 Sociological Conference for th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6, 1099-1113 

  18. Joung SH(2005) Comparative analysis of household work contributions and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between Korea and Canada. J Korean Home Manage Assoc 23(3), 53-62 

  19. Kang KY(2000) Perception of equity: decision-making styl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in dual-career couple. Doctoral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 Ki EK, Lee KY(2003) Wives and husbands' perceptions of the fairness in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J Korean Home Manage Assoc 21(5), 61-75 

  21. Komo Y (1994) Division of household work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J Family Issues 15(3), 348-378 

  22. Lee HA, Lee KY(1994) Husband's time spent structure and husband and wife's perceptions of the family life problem. J Korean Home Manage Assoc 12(1), 145-160 

  23. Lee SM, Kim HK(2008) Exploring the working wives & husbands: perceptions of equity on the unequl gender division of domestic work. Family Cult 20(1), 1-25 

  24. Lee YM(1991) Study on the consciousness and practice for housework of Korean husband in the U.S.A. Stud Living Cult 6, 129-139 

  25. Lennon MC, Rosenfield S(1994) Relative airness and the division of housework: the importance of options. Am J Soc 100(2), 506-531 

  26. Longmore MA, Demaris A(1997) Perceived inequity and depress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Soc Psychol Quarterly 60(2), 172-184 

  27.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2015) Best family friendly business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 ffm.mogef.go.kr/business/reviewDescription.do [cited 2015 September 20] 

  28. Moon SJ(1996) The study of private and public nature in household work. Family Environment Res 34(3), 199-210 

  29. Moon SJ, Huh KO, Hong YJ(1997) The 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couples and the sense of fairness on marital satisfaction. Family Environment Res 35(2), 345-358 

  30. Noonan MC, Estes SB, Glass JL(2007) Do workplace flexibility policies influence time spent in domestic labor?. J Family Issues 28(2), 263-288 

  31. Ryu SS(1997) Housewives' perceptions of the equity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Korea.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32. Son MG(2005) Women's dual burd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aid work time: focusing on dual earner. Population Assoc Korea 28(1), 277- 311 

  33. Statistics Korea(2015) 2014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Seoul; Statistics Korea 

  34. Statistics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5) The lives of women looking to Statistics. Seoul; Statistics Korea 

  35. Thompson L(1991) Family work: women's sense of fairness. J Family Issues 12, 181-196 

  36. VanYperen NW, Buunk BP(1990) A longitudinal study of equity and satisfact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European J Soc Psychol 20, 287-309 

  37. Yoo GS(2010) 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wives' work-family spillover and marital satisfaction in dual-earner families. J Asian Women 49(1), 41-70 

  38. Yoo GS, Kang SH, Oh AR, Lee JH(2011) 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s and wives in dual-earner famili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 Assoc 15(1), 117-136 

  39. Yoo HS, Doo KJ(1999) Participation of household labor of employed wives and husbands and it's influential variabl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 Assoc 3(1), 123-134 

  40. You SY, Choi YJ(2002) An analysis of time use of adults and influencing factors on it: paid work, house work, child caring, leisur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3(3), 53-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