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하이동을 시각화한 PhET 기반 수업을 통한 초등과학영재의 전류개념변화
Conceptual Change via Instruction based on PhET Simulation Visualizing Flow of Electric Charge for Science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4 no.4, 2015년, pp.357 - 371  

이지원 (한국교원대학교) ,  신은진 (한국교원대학교) ,  김중복 (한국교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after learning electric curr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various non-scientific conceptions and difficulties. Because flow of charge is not visible. Also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 not learn theory but phenomena, so they cannot transfer theoretical perspective to new situation.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회로의 구성도 쉽기 때문에, 다양한 회로를 구성해 놓고 전하의 흐름이 어떠한지 관찰할 수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PhET 시뮬레이션 기반 수업을 설계하여 초등영재들이 전하이동을 눈으로 보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 전과 후에 수행된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총 7개의 문항세트 중 6개가 높은 수준의 gain, 1개가 중간 수준의 gain을 보여, PhET 시뮬레이션 기반 수업이 학생들의 전류 개념이해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 수업은 단순히 시각적으로 전하 흐름을 관찰하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잘 구성된 수업을 통해 규칙성을 발견하고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학생이스스로 전하이동을 심적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에 따라 PhET 시뮬레이션 기반 수업을 적용 후 이를 통한 초등과학영재의 전류 개념변화가 어떠한지를 알아볼 것이다.
  •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전하 이동을 시각화한 PhET 시뮬레이션 기반 수업을 설계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전하이동을 시각화한 PhET 기반 초등영재 수업은 학생들이 PhET 시뮬레이션 조작을 통해 전하의 흐름을 직접 눈으로 관찰한 후, 새로운 상황이 제 시되었을 때 자신이 스스로 심적 시뮬레이션(mental simulation)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학생들은 PhET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수업이 진행되면서, 회로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에 따라 전하 흐름의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반복적으로 관찰하게 되었다. 이에 학생들은 전하의 이동속도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초등학생 수준에서 의인화하여 질문하였다. PhET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하의 흐름과그 속도를 관찰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은 회로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좀 더 명확히 알게 되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전하 이동을 시각화한 PhET 시뮬레이션 기반 수업을 설계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전하이동을 시각화한 PhET 기반 초등영재 수업은 학생들이 PhET 시뮬레이션 조작을 통해 전하의 흐름을 직접 눈으로 관찰한 후, 새로운 상황이 제 시되었을 때 자신이 스스로 심적 시뮬레이션(mental simulation)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수업은 단순히 시각적으로 전하 흐름을 관찰하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잘 구성된 수업을 통해 규칙성을 발견하고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학생이스스로 전하이동을 심적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가설 설정

  • S3: 우와, 전하는 천재네요. 엄청 똑똑하다.
  • S4: 네, 그냥 병렬 (회로) 해봤는데 밝기도 똑같았어요.
  • S4: 아, 이거…하나(전지) 거꾸로 붙여봤는데… 켜져요.
  • S6: 아, 이거 시뮬레이션으로 안 봤으면 합선인지도 모를 뻔 했네.
  • S6: 여기(전구) 엄청, 엄청 느리게 흘러요, 여기(전지) 는 엄청 빨리..
  • S7: 아, 여기(전구)도 흐르네. 그럼 켜지겠네.
  • T: 그냥 감으로 찍었어?
  • T: 여기에 무접촉 전류계를 갖다 대어 볼까요? 어때요? (중략)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hET 기반 초등영재 수업의 목표는 무엇인가?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전하 이동을 시각화한 PhET 시뮬레이션 기반 수업을 설계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전하이동을 시각화한 PhET 기반 초등영재 수업은 학생들이 PhET 시뮬레이션 조작을 통해 전하의 흐름을 직접 눈으로 관찰한 후, 새로운 상황이 제 시되었을 때 자신이 스스로 심적 시뮬레이션(mental simulation)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수업은 단순히 시각적으로 전하 흐름을 관찰하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잘 구성된 수업을 통해 규칙성을 발견하고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학생이스스로 전하이동을 심적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돕는다.
PhET 시뮬레이션의 단점은 무엇인가? , 2006). 실제의 물체를 손으로 만지지 못하는 단점은 있지만, 다양한 회로를 손쉽게, 반복적으로 만들어볼 수 있고, 건전지의 내부저항에 의한 전류량 감소로 전구의 밝기가 늘 동일하지 않은 문제 등에 노출될 염려가 없다.
PhET 시뮬레이션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인가? PhET 시뮬레이션의 가장 큰 장점은 보이지 않는 전기회로 내의 전하흐름을 눈으로 직접 반복적으로 관찰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다양한 전기회로를 구성하였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를 머릿속으로 구현해 보는데 비계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학생들은 물리적 개체가 물리적 법칙에 따랐을 때 어떠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이를 통해 어떤 현상이 일어날지 머릿속에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여 그 공간을 변형하기도 하고, 회전시키기도 하면서 요소간 상호작용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예측한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fra, N. C., Osta, I. & Zoubeir, W.(2009).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about electricity and effect of inquiry- based teaching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7(1), 103-132. 

  2. Engelhardt, P. V. & Beichner, R. J. (2004). Students' understanding of direct current resistive electrical circuit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2(1), 98-115. 

  3. Heller, P. M. & Finley, F. N. (1992). Variable uses of alternative conceptions: A case study in current electric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3), 259-275. 

  4. Hong, M., Lee, J., Kim, S. & Kim, J. (2009). Development of tutorial for concept learning about electrostatics in middle school. School Science Journal, 3(1), 13-29. 

  5. Hyun, D. & Shin, A. (2014). Types of misconceptions and their consistenci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thods of batteries in simple electric circui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2), 331-343. 

  6. Kim, J. (2009). Reconsideration of curriculum related to current. School Science Journal, 3(2), 85-95. 

  7. Kim, J. & Kwon, S. (2000).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s about basic circuits and electric curr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2), 1-12. 

  8. Kim, Y. & Kim, C. (1996).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gne on elecric current by drill and practice type CAI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6(4), 417-428. 

  9. Lee, D. & Kim, Y. (2014). An inquiry on the inclusive analytic procedures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based on the pragmatic eclecticism.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2(1), 159-184. 

  10. Lee, H. & Nam, M. (2001). The effects of learning cycle model on the change of electricity conceptions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2), 217-228. 

  11. Lee, J. & Kim, J. (2012). Conceptual changes on electricity of elementary teachers through the tutorial emphasizing the motion of charg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1), 84-98. 

  12. Lee, J., Won, B., Kim, S. & Kim, J. (2009).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untypical situations. Sae Mulli, 58(2), 101-109. 

  13. Lee, J., Yoon, H. & Kim, J. (2014). Developing 3D simulationcontents for understanding of light and shadow.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3), 703-717. 

  14. Lim, A. & Jhun, Y. (2014). An analysis of teachers and students' difficulties in the classes on 'electric circuit' uni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3), 596-606. 

  15. Loe, E. & Lee, K. (1996). Teaching strategy on misconceptions of middle school electricit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 45-63. 

  16. McDermott, L. C. & Shaffer, P. S. (1998). Tutorials in introductory physics. Prentice Hall. 

  17. Park, Y. & Park, Y. (1999). Effect of analogy instruction for correcting misconceptions on electric curren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 9-14. 

  18. Perkins, K., Adams, W., Dubson, M., Finkelstein, N., Reid, S., Wieman, C. & LeMaster, R. (2006). PhET: Interactive simul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physics.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Teachers, 44(1), 18-23. 

  19. Wieman, C. E., Adams, W. K. & Perkins, K. K. (2008). PhET: Simulations that enhance learning.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322(5902), 682-683. 

  20. Yoo, P., Kang I., Kim, P., Nam, M., Park, S., So, H., Yun, H., Lee, Y., Lee, H., Chun, P. & Chung, S. (2000). Conceptual change of an electric current by the model of metaphor.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 251-2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