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지류·지천의 유량·수질 특성 및 하천관리를 위한 등급화 방안 연구
Flow Rate·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ibutaries and a Grouping Method for Tributary Management in Nakdong River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7 no.4, 2015년, pp.380 - 390  

나승민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임태효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이재운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권헌각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천세억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 속한 지류 지천의 효율적인 유역선정 및 수질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38개 지류 지천을 대상으로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013~2014년 동안 실시한 수질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수질현황 결과와 각 항목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상관계수가 높고 총량 목표수질지표 항목인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_5$), 총인(TP) 지표를 이용하여 $BOD_5$농도/유량(Q), TP농도/유량 교차기준으로 지류 지천 등급화 방안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BOD_5$, $COD_{Mn}$, TP, TOC 등의 유기오염물질농도는 낙동왜관 및 낙동고령 중권역에 위치한 구미천, 경호천, 진전천, 기세곡천, 용하천, 용호천 등에서 하천환경기준 III 및 IV 등급 (5~8 mg/L 이하) 수준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한 수질항목 (12가지)간 상관관계 조사 결과 역시, $BOD_5$, $COD_{Mn}$, TP, TOC 등의 상관관계지수가 다른 수질항목들에 비하여 0.8 (p<0.01) 이상으로 높았다. 유량과 수질 ($BOD_5$, TP)항목을 활용하여 하천등급화를 실시한 결과, 유량 ($0.1m^3/s$ 이상)과 유기물 농도가 높은 ($BOD_5$ > 3.0 mg/L, TP > 0.1 mg/L) I 그룹의 하천(영산천, 구미천, 기세곡천, 용하천, 용호천, 미전천)이 우선수질개선 및 중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major 38 tributaries in Nakdong River were monitored for flow rate and water qua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and to find improvement plan. The flow rate and water quality for each target tributary were evaluated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in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우선수질개선 하천 선정, 각 하천의 오염부하량·배출부하밀도 확인 및 각 하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낙동강 지류·지천 유역현황 파악 및 관리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특히, 본 연구에서 조사한 38개 지점의 지류·지천에서 측정한 BOD5와 TP 수질 항목은 3.2 수질지표인자간 상관관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0.8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 및 적합성을 보임으로써 하천 등급화시 동시에 비교·평가하여 각 지천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하천유역을 효율적으로 선정함으로써 적합한 목표수질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지류·하천의 수질·유량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한 하천그룹화 방법이 시행되어져야 한다. 하천 그룹화 수행 시 일부 연구에서 사용된 수질항목은 BOD5 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오염총량관리계획 시 목표수질 대상오염물질로 고려되는 BOD5와 TP 수질항목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기존 총량관리계획의 활용성 및 추후 유역 선정 시 기초자료로 비교 가능하도록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조사한 38개 지점의 지류·지천에서 측정한 BOD5와 TP 수질 항목은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부의 경우 유역관리 수단은 무엇인가? 환경부의 경우 유역관리 수단으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를 시행하면서 4대강 본류를 중심으로 수질과 유량을 동시에 측정하는 수질/유량 측정망을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본류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부의 경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류 총량제를 “3단계 수질오염총량제” 기본계획을 통해 계획·실시하고 있다.
일부의 경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류 총량제관리방법은? 환경부의 경우 유역관리 수단으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를 시행하면서 4대강 본류를 중심으로 수질과 유량을 동시에 측정하는 수질/유량 측정망을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본류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부의 경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류 총량제를 “3단계 수질오염총량제” 기본계획을 통해 계획·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하천유역의 정확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유역선정기준 혹은,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통한 절차나 방법 등을 이용한 보완이 필요하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 및 수질개선을 위한 삭감계획(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한계가 있기에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은? 특히, 유량과 수질을 동시에 종합적으로 고려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고,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지류하천 모니터링의 경우, 유량측정 없이 대부분 수질 결과만을 제시하고 있어 수질오염총량관리제 및 수질개선을 위한 삭감계획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천의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을 통해 구축된 결과를 바탕으로 유역현황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유역관리 대상지역이 광범위할수록 세부 소유역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게 됨으로써 오히려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어려워 질 수 있다. 따라서 수질개선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해서는 지류·하천의 수질·유량 모니터링에 근거한 하천그룹화 방법으로 수질개선하천 유역을 선정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표준화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e, MS, (2009). Improvement of total-maximum-daily-load policy in Lorea (Equlity of water quality standard and management of development), 09-07, Chungbuk Research Institute, [Korean Literature] 

  2. Cho, BW, Choi, JH, Yi, SJ, Kim, YI, (2012). Selection priority of tributary catchment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using stream grouping method,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1), pp. 18-25. [Korean Literature] 

  3. Choi, DH, Jung, JW, Yoon, KS, Lee, KS, Choi, WJ, Lim, SS, Park, HN, Yim, BJ, Hwang, TH, (2012). Estimation of TOC concentration using BOD, COD in runoff from paddy fields,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6), pp. 813-818. [Korean Literature] 

  4. Jung, SJ, Kim, KS, Seo, DJ, Kim, JH, Lim, BJ, (2013).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itics and Grade Classification of Yeongsan River Tributaries,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4), pp. 504-513. [Korean Literature] 

  5. Kim, HS, Hong, JJ, Seong, JU, Choi, KS, Park, JC, (2013). Comparison of organic matter distribution in major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5), pp. 618-624. [Korean Literature] 

  6. Kim, SJ, (2012). Temporal and spatial evaluation of water pollution loads of the tributaries in Gohyeon stream watershed, J of Wetlands Research, 14(4), pp. 607-628. [Korean Literature] 

  7. Kim, YL, Jeong, WH, Kim HS, Yi, SJ, (2012). Use of Tributary Water Quality and Flowrate Monitoring Data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MDL,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4(2), pp. 119-125. [Korean Literature] 

  8. Kim, YL, Yi, SJ, (2011). Improvement of Procedures for Reasonable Implementation of TMDL,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3(8), pp. 617-622. [Korean Literature] 

  9. Lee, SH, Hwang, JJ, (2012). Application of grouping method to select priority restoration streams in Geumgang watershed based on analysis of pollution factors, J.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wwater, 27(5), pp. 661-669. [Korean Literature] 

  10. Lim, BS, Cho, BW, Kim YI, Kim, DY, (2010). Application of priority order selection techniqu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stream watershed by relationship of flow and water quality,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2(8), pp. 802-808. [Korean Literature]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4). Technical Guidelines for TMDLs, 11-1480523-001918-0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2.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2013) [Korean Literature] 

  13. Park, SH, Moon, EH, Choi, JH, Cho, BW, Kim, HS, Jeong, WH, Yi, SJ, Kim, YI, (2011). Analysis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lowrate and water quality in tributary at Chungcheongnam-do,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3(10), pp. 739-747. [Korean Literature] 

  14. Park, JW, Moon, MJ, Kim, KS, (2014).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with land use in Yeongsan river basin, J.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1), pp. 19-2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