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부 시설기준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 조사·분석연구 - 미국, 영국, 호주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sign Guideline for Intensive Care Unit - Focused on Cases of The US, The UK and Australia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1 no.4, 2015년, pp.17 - 25  

윤우용 (Institute for Healthcare Environment) ,  채철균 (Department of Architecture, Kwangwoon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t the moment, There is a facility standard for intensive care units on the Korea medical services Act. However, the contents of regulation are so limited and difficult to app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raw up the guideline to complement the regulation for efficient operation of i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향후 중환자부의 설계기준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우리나라의 의료법상 명시된 관련 항목 등을 토대로 미국, 영국, 호주의 중환자부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운영방식, 시설기준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는 중환자부 내 치료효율성 저하와 더불어 시설별 질적 차이의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향후에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수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부 관련 국내설치기준을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하고 미국, 영국, 호주의 중환자부 가이드라인을 운영방식 및 환경구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향후 중환자부 가이드라인 수립 시에 요구되는 기초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부란? 중환자부는 일반병동에서 치료가 어려운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집중적인 모니터링과 치료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부서 특성상, 응급상황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고위험군의 환자를 치료하므로 환자상태변화의 조기발견과 그에 따른 신속한 의료적 대응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와 선진국의 중환자실 입원환자 사망률은? 부서 특성상, 응급상황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고위험군의 환자를 치료하므로 환자상태변화의 조기발견과 그에 따른 신속한 의료적 대응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환자실 입원환자 사망률은 11.9%로 선진국의 9.8%에 비해 높고 중환자실간 사망률 격차는 3.2배(Kang, Chul-Hwan et al.
중환자부의 특성상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중환자부는 일반병동에서 치료가 어려운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집중적인 모니터링과 치료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부서 특성상, 응급상황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고위험군의 환자를 치료하므로 환자상태변화의 조기발견과 그에 따른 신속한 의료적 대응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환자실 입원환자 사망률은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광문 외, 1999, 병원건축, 세진사 

  2. 양내원, 2004, 병원건축 그 아름다운 당연성, 플러스문화사 

  3. 유선주 외, 2013, "인력기준법 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4. 의료법 시행규칙 제34조 

  5. 이용균 외, 2014, "병원의 중환자실 입원료 적정수가 산정연구", 한국병원경영연구원 

  6. AusHFG, 2014, Australasian Health Facility Guidelines, Part B, 360-INTENSIVE CARE-GENERAL 

  7. A. Valentin et al., 2011, "Recommendations on basic requirements for intensive care Unit: structur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Intensive Care Med 

  8. Cho SH et al., 2003, "The effects of nurse staffing on adverse events, morbidity, mortality, and medical costs", Nurs Res 

  9. College of Intensive Care Medicine, 2011, "MINIMUM STANDARDS FOR INTENSIVE CARE UNIT", College of Intensive Care Medicine 

  10. Dan R. Thompson et al., 2012, "Guidelines for intensive care unit design", Crit Care Med 

  11. Department of Health, 2013, Health Building Note 04-02, "Critical care Unit", Department of Health UK 

  12. Department of Health UK, 1996, "Guidelines on admission to and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and High dependency Unit", Department of Health UK 

  13. Department of Health UK, 2015, Comprehensive Critical Care, Department of Health UK 

  14. FGI, 2014,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ospitals and Outpatient Facilities, FGI 

  15. Graven SN et al., 1997, "Clinical research data illumin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 patient medical outcomes", J Healthc Des 

  16. Kane RL et al., 2007, "The association of registered nurse staffing levels and patient outcom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 Care 

  17. Kang, Chul-Hwan et al., 2009, "The variation in risk adjusted mortality of intensive care units", Korean J Anesthesio Dec; 57(6) 

  18. Kim, Sang-Bok et all., 2004, "A Study on Nosocomial Infection in Intensive Care Unit",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 Kim.Sang-Bok et all., 2004,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Prevention of Nosocomial Infection in Intensive Care Unit",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0.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06, NFPA 101: Life Safety Code 

  21. Richard J. Brilli et al., 2001, "Critical care delivery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 Care Med 

  22. The Intensive Care Society, 1997, "STANDARDS FOR INTENSIVE CARE UNIT", The Intensive Care Socie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