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량물 취급 보행 시 하지의 역학적 정렬에 따른 생체역학적 변화 분석
Analysis of Biomechanical Changes According to Mechanical Alignment of the Lower Limbs when Gait with a Material Handling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25 no.2, 2015년, pp.183 - 190  

이경일 (조선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과) ,  이철갑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과) ,  송한수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과) ,  홍완기 (조선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Walking with a Material handling is an activity frequently undertaken by agricultural workers in Korea, due to the nature of their work.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biomechanic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mechanical alignment of the lower limbs when walking with a h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작업 현장의 작업 특성상 많이 취하고 있는 중량물 취급 보행 시 하지 정렬에 따라 하지에 미치는 생체역학적 변인 차이를 밝히고자 하며, 역학적으로 슬관절의 근골격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작업환경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량물 취급 보행 시 하지의 역학적 정렬에 따른 생체역학적 변인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반해 농작업 종사자들은 20 kg 이상의 중량물 즉, 한국 성인남성 평균 체중의 약 34%에 해당하는 높은 중량물을 취급하며, 이러한 중량물 취급 보행은 허리는 물론 슬관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작업 현장에 빈번히 발생하는 짐을 앞으로 들고 보행 시 체중의 10%, 20%, 30%의 부하 증가가 슬관절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작업 종사자의 재해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농작업 종사자의 재해율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부적절하고 부자연스러운 작업자세가 빈번하게 취해지고, 다양한 무게의 중량물을 취급함에 따라 생체역학적 위험요인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한 농업진흥청(2012)의 보고에 의하면 농업인의 가장 큰 작업관련성 질환은 근골격계 질환(Musculoskeletal disorders, MSD)이며, Osborne et al.
농작업 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으로 어떤 증상이 제일 많았는가? 6%가 근골격계질환을 경험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중 허리와 함께 무릎 통증이 50.9%로 가장 많았으며, 이러한 수치는 사무직, 기능기술직의약 6~7배, 이동이 많은 판매서비스직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위의 내용들을 종합해 볼 때 농작업 종사자들의 MSD의 위험요인 평가는 MSD 예방에 있어서 중요한 과정이며, 작업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농업인의 가장 큰 작업관련성 질환은? 우리나라 농작업 종사자의 재해율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부적절하고 부자연스러운 작업자세가 빈번하게 취해지고, 다양한 무게의 중량물을 취급함에 따라 생체역학적 위험요인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한 농업진흥청(2012)의 보고에 의하면 농업인의 가장 큰 작업관련성 질환은 근골격계 질환(Musculoskeletal disorders, MSD)이며, Osborne et al.,(2012)은 농작업 종사자들의 직업성 질환에 대한 24개의 연구를 바탕으로 메타 분석을 실시한 결과 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bdel-Aziz, Y, L., & Karara, H, M. (1971).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Form Comparator Coodinates in Object-Space Coodinates in Close-Range Photogrammetry. Urbana, IL. 

  2. Abe, D., Muraki, S., & Yasukouchi, A. (2008). Ergonomic effects of load carriage on the upper and lower back on metabolic energy cost of walking. Applied Ergonomics, 39(3), 392-398. 

  3. Bin S. I., Yu, J. Y., Choe, J. W., & Ju, D. M. (2003). Assessment of Gait Analysis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 Korea Knee Society Symposium, Seoul. 

  4. Fagenbaum, R., & Darling, W. G. (2003). Jump landing strategies in male and female college athletes and the implications of such strategies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1(2), 233-240. 

  5. Ford, K, R., Myer, G, D., & Hewett, T. E. (2003). Valus knee motion during landing in high school female and male basketball platers. Medicine Science and Sports in Exercise, 35(10), 1745-1750. 

  6. Hah, C. K. (2009). Biomechanical alterations in gait of stair decent with different treads during pregnancy.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19(2), 205-215. 

  7. Hall, M., Boyer, E. R., Gillette, J. C., & Mirka, G. A. (2013). Medial knee joint loading during stair ambulation and walking while carrying loads. Gait & Posture, 37(3), 460-462. 

  8. Hong, W, K., & Kim, M. (2015). Analysis on diffrences in dynamic stability of lower extremity caused by unbalance of hamstring quadriceps ratio during drop-land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5(1), 49-56. 

  9. Kim, C. K., & Lee, B. H. (2013). Gait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arrying type and weight of ba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 199-205. 

  10. Kim, T. H., & Youm, C. H. (2013). Effects of knee joint muscle fatigue and overweight on the angular displacement and moment of the lower limb joints during land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3(1), 063-076. 

  11. Lee, C. G. (2012). Work-related musculokeletal disorders in Korean farmers. Journal Korean Medcine Association, 55(11), 1054-1062. 

  12. Lee, K, I., Lee, C, G., & Hong, W, K. (2011). Biomechanical Analysis on Locomotion with Lower Extremity Suppoter.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1(2), 215-222. 

  13. Lee, S. J., Lee, H. J., Kim, J. I., & Oh, K. J. (2011). Measurement of the weight-bearing standing coronal and sagittal axial alignment of lower extremity in young Korean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43(6), 191-199. 

  14. McBride, G. G., Constine, R. M., Hofmann, A. A., & Carson, R. W. (1984). Arthroscopic partial medial Meniscectomy in the older patient. Journal Bone Joint Surgery American, 66, 547-551. 

  15. Negrini, S., & Negrini, A. (2007). Postural effects of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loads on the spines of schoolchildren. Scoliosis, 2(8), 1-7. 

  16. Nunomea, H., IkegamIa, Y., Kozakaid, R., Apriantonob, A., & Sano, S. (2006). Segmental dynamics of soccer instep kicking with the preferred and non-preferred leg. Journal of Sports Sciences, 24(5), 529-541. 

  17. Osborne, A., Blake, C., Fullen, B. M., Meredith, D., Phelan, J., McNamara, J., & Cunningham, C. (2012).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farmers: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55, 143-158. 

  18. Park, S. J., Jeong, H. J., Shin, H. K., Kim, E., Choi, J. Y., & Lee, J. Y. (2009). Analysis of the mechanical axis of the lower limb in patients with isolated meniscal tear. Korea Knee Society, 21(4), 286-291. 

  19. Plagenhoef, S., Gaynor, E., & Abdelnour, T. (1983). Anatomical data for analysis human motion.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s, 54(2), 169-178. 

  2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12). http://www.rda.go.kr. 

  21. Singh, T., & Koh, M. (2008). Effects of backpacks load position on spatiotemporal parameters and trunk forward lean. Gait & Posture, 129(1), 49-53. 

  22. Specogna, A. V., Birmingham, T. B., & DaSilva, J. J. (2004). Reliability of lower limb frontal plane alignment measurements using plain radiographs and digitized images. Journal of Knee Surgery, 17(4), 203-210. 

  23. Woo, D. C. (2001). An Analysis of Gait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Loads on Carrying task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24. Yuk, G. C., Park, R. J., Lee, H. Y., Lee, M. H., Lee, J,. H., Kuk, J. S., & Jang, J. S. (2010). The effects of baby carrier and sling in muscle activation of trunk, low extremity and foot press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0(1), 223-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