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HbA1c and pain intensity in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patient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divided by the risk of complications.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46 men and women suffering from 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의 당화혈색소(이하 HbA1c)와 유병기간이 신경기능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환자가 느끼는 통증 정도와 HbA1c 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찾을 수 없었다. 이에 저자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환자에 있어서 HbA1c가 신경병증의 진행과 신경병증성 통증 정도의 예후 판별 및 질환의 예방적인 측면에 있어서 유의한 지표가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환자의 통증 정도와 HbA1c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으로 인하여 손상이 진행된 말초 신경에 대한 치료법은?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으로 인하여 손상이 진행된 말초 신경에 대한 특별한 치료법은 현재 존재하지 않으며 이미 손상이 진행된 신경을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러므로 조기 진단 및 엄격한 혈당관리를 통해 신경 손상의 악화를 방지하고 신경 손상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4).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의 신경병증성 통증의 증상은?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한 만성 합병증 중에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로, 이는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비외상성 하지 절단의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 환자의 신경병증성 통증의 증상은‘아프다’,‘ 감각이 이상하다’, ‘화끈거린다’, ‘시리다’, ‘전기 자극을 받는 것 같다’, ‘칼로 베거나 찌르는 듯 하다’, ‘저리다’등 다양한 임상 증상으로 나타나며, 이는 특히 밤에 더 심하여 수면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2).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의 국내 유병률은 여러 연구에서 당뇨병 환자의 30~50 %로 보고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가 되어감과 함께 점차 증가하고있다3).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의 특징은?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한 만성 합병증 중에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로, 이는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비외상성 하지 절단의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 환자의 신경병증성 통증의 증상은‘아프다’,‘ 감각이 이상하다’, ‘화끈거린다’, ‘시리다’, ‘전기 자극을 받는 것 같다’, ‘칼로 베거나 찌르는 듯 하다’, ‘저리다’등 다양한 임상 증상으로 나타나며, 이는 특히 밤에 더 심하여 수면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society for the research of Neuropathy in Korean Diabetes Association. Clinical Practice of Diabetic Neuropathy. 2nd ed. Seoul :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7 : 1-48. 

  2. Dyck PJ, Kratz KM, Karnes JL et al.The Prevalence by Staged Severity of Various Types of Diabetic Neuropathy, Retinopathy, and Nephropathyina Population-based Cohort : The Rochester Diabetic Neuropathy Study. Neurology. 1993 ; 43(4) : 817-24. 

  3. Kim SS, Won JC, Kwon HS et al. Prevale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Painful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in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a Nationwide Hospital-based Study of Diabetic Neuropathy in Korea. Diabetes Res Clin Pract. 2014 ; 103(3) : 522-9. 

  4. Boulton AJ, Gries FA, Jervell JA.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Outpatient Management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iabet Med. 1998 ; 15(6) : 508-14. 

  5. Ziegler D, Nowak H, Kempler P, Vargha P, Low PA.Treatment of Symptomatic Diabetic Polyneuropathy with the Antioxidant Alpha-lipoic Acid : A Meta-analysis. Diabet Med. 2004 ; 21(2) : 114-21. 

  6. Keen H, Payan J, Allawi J et al. Treatment of Diabetic Neuropathy with Gamma-Linolenic Acid. The Gamma-Linolenic Acid Multicenter Trial Group. Diabetes Care. 1993 ; 16(1) : 8-15. 

  7. Jeon EJ, Kwon HJ, Shin IH, Jung ED, Kang SB, Shon HS. Efficacy of Saam Acupuncture for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Study. Korean J Acupunct. 2013 ; 30(4) : 289-97. 

  8. Kwon YK, Choi KR, Lee JS et al. Two Cases of Diabetic Peripheral Polyneuropathy Improved by Bogan-tang. J Korean Oriental Med.2002; 23(1) : 170-6. 

  9. Park SK, Kwon EH, Shin HC, Kang SB. One Case of Diabetic Peripheral Polyneuropathy Improved by Binsosan-gamibang. Korean J. Orient. Int. Med. 2005 ; 26(4) : 935-40. 

  10. Yang YS. Effect of Serum HbA1c and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on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issertation]. Gwangju : Chonnam National Univ. 2000. Korean. 

  11.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KPDS 33). Lancet. 1998 ; 352(9131) : 837-53. 

  12. Morley S, Pallin V. Scaling the Affective Domainof Pain : A Study of the Dimensionality of Verbal Descriptors. Pain. 1995 ; 62(1) : 39-49. 

  13. Feldman EL, Stevens MJ, Thomas PK, Brown MB, Canal N, Greene DA. A Practical Two- step Quantitative Clin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Assessment for the Diagnosis and Staging of Diabetic Neuropathy. Diabetes Care. 1994 ; 17(11) : 1281-9. 

  14. Ross MA. Neuropathies Associated with Diabetes. Med Clin North Am. 1993 ; 77(1) : 111-24. 

  15. Halat KM, Dennehy CE. Botanicals and Dietary Supplements in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J Am Board Fam Pract. 2003 ; 16(1) : 47-57. 

  16. Chun SW, Ko KS. Summary of the Update to the Diabetic Neuropathy Management Guidebook. J Korean Diabetes. 2012 ; 13(3) : 115-23. 

  17. Kang MS, Kim CH. Management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Korean J Med. 2015 ; 89(3) : 277-81. 

  18. Doo HK. Internal Medicine of Kidney in Oriental Medicine. Seoul :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991 : 969-76. 

  19. Kim JM, Youn SS, An SH et al. Overview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and Need for Therapeutic Strategy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J Korean Oriental Med. 2009 ; 30(5) : 127-36. 

  20.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Report on the Role of the A1C Assay in the Diagnosis of Diabetes. Diabetes Care. 2009 ; 32(7) : 1327-34. 

  21. Holman RR, Paul SK, Bethel MA, Matthews DR, Neil HA. 10-year Follow-up of Intensive Glucose Control in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08 ; 359(15) : 1577-89. 

  22. Wall PD, Melzack R. Textbook of Pain. Seoul : Jungdam. 2002 : 483-4. 

  23. Lunetta M, Le Moli R, Grasso G, Sangiorgio L. A Simplified Diagnostic Test for Ambulatory Screening of Peripheral Diabetic Neuropathy. Diabetes Res Clin Pract. 1998 ; 39(3) : 165-72. 

  24. Booya F, Bandarian F, Larijani B, Pajouhi M, Nooraei M, Lotfi J. Potential Risk Factors for Diabetic Neuropathy : A Case Control Study. BMC Neurol. 2005 ; 5 : 24. 

  25. Moghtaderi A, Bakhshipour A, Rashidi H. Validation of Michigan Neuropathy Screening Instrument for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Clin Neurol Neurosurg. 2006 ; 108(5) : 477-81. 

  26. Choi HY, Do HJ, Oh SW et al. The Validity of Michigan Neuropathy Screening Instrument as a Screening Test and Risk Factors for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J Korean Acad Fam Med. 2007 ; 28(8) : 610-5. 

  27. Herman WH, Pop-Busui R, Braffett BH et al. Use of the Michigan Neuropathy Screening Instrument as a Measure of Distal Symmetrical Peripheral Neuropathyin Type 1 Diabetes : Results from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Epidemiology of Diabetes Inter ventionsand Complications. Diabet Med. 2012; 29(7) : 937-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