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들뢰즈의 주름 사유와 바로크를 중심으로 본 바로크의 복식미
The Aesthetic of Baroque Costume Focused on the Gilles Deleuze's 'Le Pli' and Baroque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8, 2015년, pp.64 - 76  

성광숙 (동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lles Deleuze highly evaluated Baroque as the expression body that implements the fold theory, a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the nature of beings. This can be seen as a meaning that Baroque implements the essence of the world, or the power constituting that essence. In addition, the beauty of Ba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바로크의 복식미를 도출하기 위해 [Table 1]에서 제시한 들뢰즈의 주름 사유와 바로크의 특성을 나타내는 개념들을 중심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들뢰즈의 바로크 미학을 중심으로 바로크 건축의 특성을 연구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바로크적 특성 개념들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Han(2009)은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론을 중심으로 바로크 건축 공간의 특성을 중첩성,통일성, 운동성에 의한 비선형으로 유형화 하였고,Han(2012)은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론을 중심으로 바로크 건축의 심연성의 유형을 비선형, 중첩, 통일감,움직임으로 범주화하였다.
  • 이에 본고는 현대 후기 구조주의 대표적인 철학자인 질 들뢰즈의 철학적 사유인 주름 사유와 그의 사유의 발현체로 높이 평가받고 있는 바로크 미학과 바로크 복식에 대한 견해를 바탕으로 바로크 복식을 재조명하여 바로크 복식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재고해 보고자한다. 현대에 와서 바로크는 그 예술 정신이 새롭게 재평가되며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순수한 고전적 전통을 고수하는 사람들이 바로크 건축가들에게 퍼부었던 비난의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비평가들에게는 고대건축의 엄격한 규칙을 무시하는 것이 통탄할만한 취향의 타락으로 보였기에 이 양식을 바로크라고 불렀다"라고 논평하고(pp. 293-294), 사실상 순수한 고전적 전통을 고수하는 사람들이 바로크 건축가들에게 퍼부었던 비난의 대부분은 바로 이러한 곡선과 소용돌이 무늬 때문이었다(Gombrich, 2013, p. 296)고 밝히고 있다.
Gombrich에 따르면 바로크에 대해 어떻게 논평하였는가? Gombrich(2013)는 “바로크라는 말은 17세기 예술 경향에 대해 반감을 가졌던 후대의 비평가들이 그것을 조롱하기 위해 사용한 말로, 터무니없다 라든가,기괴하다는 의미로, 그리스와 로마인들이 채택한 방법 이외의 다른 식으로 고전건축의 형식을 차용하거나 채택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던 사람들이 사용한 단어였다. 이러한 비평가들에게는 고대건축의 엄격한 규칙을 무시하는 것이 통탄할만한 취향의 타락으로 보였기에 이 양식을 바로크라고 불렀다"라고 논평하고(pp. 293-294), 사실상 순수한 고전적 전통을 고수하는 사람들이 바로크 건축가들에게 퍼부었던 비난의 대부분은 바로 이러한 곡선과 소용돌이 무늬 때문이었다(Gombrich, 2013, p.
바로크 복식미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상으로 볼 때 바로크 복식미는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Deleuze(2004) 는 말년의 저서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에서 뵐플린이 언급한 “바로크 예술의 가장 강렬한 효과 중 하나는 파사드의 격앙된 언어와 내부의 차분한 평화 사이의 대조이다. 그러나 내부 장식의 과잉이 결국에는 그 대조를 흐리게 한다” 그리고 장 루세가 말한“바로크를 파사드와 내부의 분리를 통해 정의하지만,그 역시 장식이 내부를 폭발하도록 만들 위험이 있다”는 그들의 견해를 잘못된 것으로 비판하였다. 들뢰즈는 신플라톤주의적인 전통의 계단으로 된 우주,그러나 두 층만으로 되어 있는 세계, 그리고 상이한체제를 따르는 두 측면으로부터 반향되는 주름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세계, 이것이 가장 전형적인 바로크의 공헌이며, 이것은 우주가 세상으로 변형됨을 표현한다고(p. 58) 바로크를 재평가하고 그리스는 주름의 물질적 합성체들이 형상적 요소 또는 표현 형식에 도달하지 못한다면서 그리스의 주름이 만족스럽지 않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Deleuze, 2004). 뿐만 아니라 바로크의 예술 전반, 즉 건축, 회화, 조각, 음악, 그리고 복식에 이르기까지 바로크의 미적특성에 대해 라이프니츠의 주름 사유를 바탕으로 이를 보완 해석하며 바로크 미학을 무한하게 나가는 주름으로 정의하고, 바로크를 르네상스와의 단절, 필연적으로 조화롭고, 새로운 조화의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높이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lack, J. A. & Garland, M. (1997). A history of fashion 1. (G. S. Yun,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Jajak academy. (Original work published 1980) 

  2. Boehn, M. V. (2000). Die Mode. (J. W.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Hangil art.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3. Choi, S. H. & Kim, M. J. (1994). Study on aesthetic category of d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 197-209. 

  4. Deleuze, G. & Gattari, F. (2001).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2. (J. I. Kim,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Saemulkyul.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5. Deleuze, G. (2004). Le pli, leibniz et le baroque. (C. Y.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unhak kwa jisung. (Original work published 1988) 

  6. Gestalt (n.d.). In dictionary of experimental psychology terms online.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1287&cid41990&categoryId41990 

  7. Gestalt laws (n.d.). In Doopia online.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9132&cid40942&categoryId33048 

  8. Go, Y. L. (2008). Western costume culture and history. Seoul, Republic of Korea: Kyomunsa. 

  9. Gombrich, E. H. (2013). History of art. (S.G. Peck & J. H.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Yekyung. (Original work published 1994) 

  10. Han, M. S.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aroque in Architecture of Paolo Portogheshi.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8(6), 52-59. 

  11. Han, M. S. (2012). A Study on Spatial Abyss Expressed in Baroque Architecture and Art - Focus on the Monade Theory of Gottfried Leibniz-.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1(1), 59-67. 

  12. Hauser, A. (1999). Sozialgeschichte der Kunst und Literatur 2. Seoul, Republic of Korea: Changkak kwa beepyung. (Original work published 1980) 

  13. Jang, S. E. (2007). A study on the clothing styles of Renaissance and Baroque focused on H. Wolfflin's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2), 15-29. 

  14. jung cuub [중첩] (n.d.). In Korean dictionary online. Ret rieved from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5346600 

  15. Jung, H. S. (1999). History of western costume culture. Seoul, Republic of Korea: Kyomunsa. 

  16. Kim. H. (1986). Study of geneva school. Seoul, Republic of Korea: Munhak kwa jisung. 

  17. Lee Y. M. & Chon, D. Y. (2008). The Features of the Baroque Architecture viewed through the "Le Pli" of Deleuz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7(6), 7-27. 

  18. Lee, J. W. (2000). Fold and unfold. Seoul, Republic of Korea: Gurum. 

  19. Lim, D. Y. (2009). A Study on the 'Folding in architecture' based on the Gilles Deleuze's Philosophy of 'Simulacre/Ev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0. Lim. Y. B. (2011). Baroque. Seoul, Republic of Korea: Hangil art. 

  21. monad. (n.d.). In science of religion encycl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29193&cid50766&categoryId50794 

  22. Payne, B. (1988). History of costume. (J. N.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Kkachi. (Original work published 1965) 

  23. Sahakian, W. S. (1991). History of philosophy. (S. H. Gun,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unye chulpansa. (Original work published 1979) 

  24. Shin, J. Y. (2008). Ideal beauty represented in d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3), 131-148. 

  25. Wikimedia Commons. (n.d.). Retrieved form https://en.wikipedia.org/wiki/Lord_Bernard_Stewart 

  26. Wikipedia. org. (n.d.).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II_of_England 

  27. Wolfflin H. (2004). Kunstgeschichtliche grundbegriffe. (J. H. Park,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Cygongsa. (Original work published 19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