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치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의 강도평가를 통한 짠맛증진효과
Salty Taste Enhancing Effect of Enzymatically Hydrolyzed Anchovy Protei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6, 2015년, pp.751 - 756  

윤소정 (전주대학교 식품산업연구소) ,  차경희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  신정규 (전주대학교 식품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금의 과량 섭취가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식품인 간장, 액젓 등이 짠맛을 증진한다는 보고가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간장과 액젓의 주요 재료로 사용되는 멸치를 효소 가수분해한 eHAP의 짠맛 증진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일한 소금농도의 용액에 eHAP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짠맛 증진효과도 증가하여, 50 mmol/L의 용액에 2%의 eHAP를 첨가하였을 경우 $67.79{\pm}6.35%$의 짠맛 강도를 인지하였으며, 용액의 소금농도가 높을수록 eHAP의 첨가에 따른 짠맛 증진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짠맛 증진 효과는 멸치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다량 함유하고 있는 $\small{L}$-lysine과 $\small{L}$-arginine과 감칠맛을 나타내는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에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0.1%에서 2%까지 eHAP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경우 최소 0.37%에서 최대 35.58%의 짠맛 증진 효과를 나타내어 멸치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이 염미 증진제로서 향후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dium chloride is known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and safety of foods. However,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reducing the sodium content in foodstuffs, owing to health-related concerns related to its overconsumption. Therefore, the possible use of enzymatically hydrolyzed anchovy prote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정미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멸치를 가수분해한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eHAP, enzymatically hydrolyzed anchovy protein)의 상대적인 짠맛 수준을 평가하여 짠맛 증진물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최근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식품인 간장, 액젓 등이 짠맛을 증진한다는 보고가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 간장과 액젓의 주요 재료로 사용되는 멸치를 효소 가수분해한 eHAP의 짠맛 증진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일한 소금농도의 용액에 eHAP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짠맛 증진효과도 증가하여, 50 mmol/L의 용액에 2%의 eHAP를 첨가하였을 경우 6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금이란? 소금(NaCl, sodium chloride)는 인체 내에서 생리작용을 위한 필수 무기성분이며, 음식의 맛을 내는 기본 조미 소재이고, 식품의 향미나 조직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서 인체나 음식에 필수불가결한 물질이다(1,2). 그러나 소금을 과다 섭취할 경우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병, 관상동맥 질환 등 각종 성인병 및 만성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3).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소듐의 권장 목표섭취량은? 2 mg/day으로 증가하였다가 2013년에 4012.0 mg/day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권장 목표섭취량인 2000 mg/day의 2배가 넘는 소듐을 섭취하고 있다(4,5). 이러한 소듐의 과다섭취는 국물류와 발효식품을 즐기는 음식문화(6,7), 소득 증대와 맞벌이 부부 증가에 따른 외식의 비중 증가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8).
국내 소듐 과다 섭취의 원인은 무엇인가? 0 mg/day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권장 목표섭취량인 2000 mg/day의 2배가 넘는 소듐을 섭취하고 있다(4,5). 이러한 소듐의 과다섭취는 국물류와 발효식품을 즐기는 음식문화(6,7), 소득 증대와 맞벌이 부부 증가에 따른 외식의 비중 증가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8).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소듐 과다 섭취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효모추출물, 염화포타슘, 젖산칼륨 등의 짠맛 대체제(9,10), 아미노산, 간장 등의 짠맛증진물질(11,12), 어간장 등의 향미증진제(13,14)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JE. Development of spice mixture and plant extract powder for substitution of salt. MS thesis, Woosong University, Daejeon, Korea (2009) 

  2. Grollman A. The role of salt in health and disease. Am. J. Cardiol. 4: 593-601 (1961) 

  3. KCDC. National health statistics-4th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jong, Korea (2010) 

  4. KCDC. National health staticstics reports-The 7th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jong, Korea (2014) 

  5. McNeely JD, Windham BG, Anderson DE. Dietary sodium effects on heart rate variability in salt sensitivity of blood pressure. Psychophysiology 45: 405-411 (2008) 

  6. Song YJ, Paik HY, Joung HJ. A comparison of cluster and factor analysis to derive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4: 722-733 (2009) 

  7. Caan BJ, Slattery ML, Potter J, Quesenberry jr CP, Coates AO, Schaffer DM. Comparison of the block and the willett self-administrat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with an interviewer-administrated dietary history. Am. J. Epidemiol. 148: 1137-1147 (1998) 

  8. Lim HJ. Sodium and Nutrition Problem: Background Information on Dietary Reference Intakes and Intake Status for Sodium and Potassium of Korean. pp. 179-183 In: 2011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April 27, Kintex, Ilsa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Seoul, Korea (2011) 

  9. Braschi A, Gill L, Naismith DJ. Partial substitution of sodium with potassium in white bread: Feasibility and bioavailability. Int. J. Food Sci. Nutr. 60: 507-521 (2009) 

  10. Shin MG, Lee GH. Sensory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the spice combinations as salty taste substitu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28-434 (2010) 

  11. Tamura M, Seki T, Kawasaki Y, Tada M, Kikuchi E, Okai H. An enhancing effect on the saltiness of sodium chloride of added amino acids and their esters. Agr. Biol. Chem. 53: 1625-1633 (1989) 

  12. Segawa D, Nakamura K, Kuramitsu R, Muramartsu S, Sano Y, Uzuka Y, Tamura M, Okai H. Preparation of low sodium chloride containing soy sauce using amino acid based saltiness enhancers. Biosic. Biotech. Bioch. 59: 35-39 (1995) 

  13. Lee EH, Kim SK, Jeon JK, Cha YJ, Chung SH. The taste compounds in boiled-dried anchovy. Korean J. Fish. Aquat. Soc. 14: 194-200 (1981) 

  14. Schindler A, Dunkel A, Sthler F, Backes M, Ley J, Meyerhof W, Hofmann T. Discovery of salt taste enhancing arginyl dipeptides in protein digests and fermented fish sauces by means of a sensomics approach. J. Agr. Food Chem. 59: 12578-1258 (2011) 

  15. Halpern BP. Glutamate and the flavour of foods. J. Nutr. 130: 910S-914S (2000) 

  16. Barylko-Pikielna N, Kostyra E. Sensory interaction of umami substances with model food matrices and its hedonic effect. Food Qual. Prefer. 18: 751-758 (2007) 

  17. Lioe HN, Wada K, Aoki T, Yasuda M.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ow molecular weight fractions obtained from three types of Japanese soy sauce (shoyu)-Koikuchi, tamari and shiro shoyu. Food Chem. 100: 1669-1677 (2007) 

  18. Park HS, Cho HY, Shin JK. Sodium reduction in salad dressing using fermented soy sauce. Food Eng. Prog. 19: 167-171 (2015) 

  19. Park HS, Cho HY, Shin JK. A study of sodium reduction effect in foods using fermented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468-473 (2015) 

  20. Shimono M, Sugitama K. Salty taste enhancing agent and food or drink containing the same. Japan Patent 2008-074862 (2009) 

  21. Yun HS, Park HS, Lee MY, Shin JK, Cho HY. A feasibility study on producing salt taste enhancer in the commercial fermented fish and soy sauces. Food Eng. Prog. 19: 139-147 (2015) 

  22. Lee SS, Kim SM, Shin IS. Studies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JM-3 isolated from anchov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84-689 (2003) 

  23. Lim SB, Jwa MK, Mok CK, Woo GJ.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73-379 (2000) 

  24. Lim SB, Yang MS, Kim SH, Mok CK, Woo GJ. Changes in quality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11-116 (2000) 

  25. Kim MJ, Nahmgung B, Kim BN, Lee SJ, Kim CJ, Cho YJ, Kim CT.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nchovy hydrolysates produced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enzymatic hydrolysis treatment. Food Eng. Prog. 13: 85-89 (2009) 

  26. McGough, MM, Sato T, Rankin SA, Sindelar JJ. Reducing sodium levels in frankfurters using a natural flavor enhancer. Meat Sci. 91: 185-194 (2012) 

  27. Kristinsson HG, Rasco BA. Fish protein hydrolysates: Production, bi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Crit. Rev. Food Sci. 40: 43-81 (2000) 

  28. Kim JW. A study on visualization of taste and colors of tableware. J. Korean Soc. Color Study 26: 107-119 (2012) 

  29. Yoo SS. Reaction flavor technique for generation of food flavor. Food Ind. Nutr. 6: 27-32 (2001) 

  30. Yokotsuka T. Soy Sauce Biochemistry. Vol. 30. Academic Press Inc., Orlando, FL, USA. pp. 195-329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