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치 젓갈로부터 분리된 젖산세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 및 안전성 평가
Probiotic properties and safety assessment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alt-fermented anchovy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4, 2016년, pp.306 - 316  

임은서 (동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영목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은우 (동의대학교 생명응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멸치 젓갈로부터 분리한 젖산세균을 대상으로 프로바이오틱 균주로서의 기능적 특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과 당 발효능 및 염기순서 분석을 통해 Enterococcus faecium AJ06, Leuconostoc mesenteroides AJ13, Pediococcus halophilus AJ22, Lactobacillus sakei AJ29 및 Pediococcus pentosaceus AJ35로 동정되었다. AJ06, AJ22 및 AJ29 균주들은 펩신이 첨가된 인공 위액 및 쓸개즙액에서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taurocholic acid 혹은 taurodeoxycholic acid가 첨가된 MRS 한천 평판 배지 상에서 쓸개즙분해효소를 생산하였다. 특히, Caco-2 세포에 대한 높은 부착능과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 AJ22와 AJ29 균주는 항균물질 생산으로 인해 식중독균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들 균주는 혈액 한천 평판배지 상에서 알파 및 베타용혈독을 나타내지 않았고, 아미노산 전구체가 함유된 MRS 액상배지 내에서 생체 아민을 생산하지 않았으며,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균주에 대한 돌연변이도 유발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alt-fermented anchovy, a putative probiotic candidate. The following isolates were identified by biochemical profiles, carbohydrate fermentation patterns, and 16S rRNA seq...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젖산세균은 체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많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섭취하여도 독성 유발 가능성이 낮은 안전한 유익균으로 판단되어 이들이 생산한 대사산물은 미국 FDA에서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 물질로 인정되고 있다(1). 젖산세균은 우유제품이나 침채류 등의 발효식품 스타터로서 발효과정 동안 당을 분해하여 유기산과 박테리오신 등의 항균물질을 생산함으로써 식품의 풍미를 향상시키고 부패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저장성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장내 pH의 산성화를 통한 유해 세균의 증식을 저해시켜 장내 균총을 정상화 시킨다. 게다가 젖산세균은 젖당 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젖당불내증을 완화시키고, 장 점막 면역시스템의 기능을 강화시켜 궤양성 대장염이나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예방하는 등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장 기능 개선 효능이 탁월한 락토바실리(lactobacilli)와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등의 젖산세균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알려져 있다(2).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선발의 전제 조건은 무엇인가? 다만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선발되기 위해선 생리활성 검색에 앞서 몇 가지 전제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우선 체내에 유입된 미생물들은 식도와 위장을 통과하는 동안 강산인 위액 하에서 생존해야하고, 쓸개즙분해효소를 생산하여 쓸개즙산을 분해함으로써 소장 내에서도 저항해야 하며, 대장 상피세포에 대해 높은 부착능을 발휘하고, 유해세균을 제어할 수 있는 항균물질 생산능을 갖춰야 한다(5). 이와 같이 체내 환경 하에서 생존하여 생리활성을 발휘해야 하는 필수적인 기본 요건 충족과 함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는 돌연변이 유발이나 용혈능이 없어야 하며, 바이오제닉 아민 등과 같은 유해물질 생성에 따른 독성 발생 가능성이 낮아야 하는 등 반드시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6).
젖산세균은 식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많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섭취하여도 독성 유발 가능성이 낮은 안전한 유익균으로 판단되어 이들이 생산한 대사산물은 미국 FDA에서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 물질로 인정되고 있다(1). 젖산세균은 우유제품이나 침채류 등의 발효식품 스타터로서 발효과정 동안 당을 분해하여 유기산과 박테리오신 등의 항균물질을 생산함으로써 식품의 풍미를 향상시키고 부패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저장성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장내 pH의 산성화를 통한 유해 세균의 증식을 저해시켜 장내 균총을 정상화 시킨다. 게다가 젖산세균은 젖당 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젖당불내증을 완화시키고, 장 점막 면역시스템의 기능을 강화시켜 궤양성 대장염이나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예방하는 등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장 기능 개선 효능이 탁월한 락토바실리(lactobacilli)와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등의 젖산세균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Wessels S, Axelsson L, Hansen EB, de Vuyst L, Laulund S, Lahteenmake L, Lindgren S, Mollet B, Salminen S, von Wright A. The lactic acid bacteria, the food chain, and their regulation. Trends Food Sci. Tech. 15: 498-505 (2004) 

  2. Mercenier A, Pavan S, Pot B. Probiotics as biotherapeutic agents: Present knowledge and future prospects. Curr. Pharm. Design 8: 99-110 (2002) 

  3. Joint FAO/WHO Working group on drafting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 Report of a Joint FAO/WHO Working group on drafting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 London, Ontario, Canada (2002) 

  4. Saarela M, Mogensen G, Fonden R, Matto J, Mattila-Sandholm T. Probiotic bacteria: safety, functional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J. Biotechnol. 84: 197-215 (2000) 

  5. Gueimonde M, Salminen S. New methods for selecting and evaluating probiotics. Digest. Liver Dis. 38: S242-S247 (2006) 

  6. Salminen S, Von-Wright A, Morelli L, Marteau P, Brassart D, De Vos WM, Fonden R, Saxelin M, Collins K, Mogensen G, Birkeland SE, Mattila-Sandholm T. Demonstration of safety of probiotics-a review. Int. J. Food Microbiol. 44: 93-106 (1998) 

  7. Taranto MP, de Ruiz Holgado AP, de Valdez GF. Bile salt hydrolase activity in Enterococcus faecium strains. Microbiol. Aliment. Nutr. 13: 375-379 (1995) 

  8. Tuomola EM, Ouwehand AC. Adhesion of some probiotic and diary Lactobacillus strains to Caco-2 cell cultures. Int. J. Food Microbiol. 41: 45-51 (1998) 

  9. Crow V, Gopal P, Wicken A. Cell surface differences of lactococcal strains. Int. Dairy J. 5: 45-68 (1995) 

  10. Kos B, Suskovic J, Vukovic S, Simpraga M, Frece J, Matosic S. Adhesion and aggregation ability of probiotic strain Lactobacillus acidophilus M92. J. Appl. Microbiol. 94: 981-987 (2003) 

  11. Hole H, Nilssen O, Nes IF. Lactococcin A, a new bacteriocin from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otein and its gene. J. Bacteriol. 173: 3879-3887 (1991) 

  12. Bauer AW, Kirby WM, Sherris JC.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by a standard single disc method. Am. J. Clin. Pathol. 45: 493-496 (1966) 

  13. Argyri AA, Zoumpopoulou G, Karatzas KG, Tsakalidou E, Nychas GE, Panagou EZ, Tassou CC. Selection of potential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from fermented olives by in vitro tests. Food Microbiol. 33282-291 (2013) 

  14. Bover-Cid S, Holzapfel WH. Improved screening procedure for biogenic amine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Int. J. Food Microbiol.53: 33-41 (1999) 

  15. Maron DM, Ames BN. Revised method for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 173-215 (1983) 

  16. Hirose Y, Murosaki S, Yamamoto Y, Muroyama K, Miwa Y, Fujishima A, Lynch B. Safety studies of LP20 powder produced from heat-killed Lactobacillus plantarum L-137. Regul. Toxicol. Pharm. 54: 214-220 (2009) 

  17. Francoise L. Occurrence and role of lactic acid bacteria in seafood products. Food Microbiol. 27: 698-709 (2010) 

  18. Mauguin S, Novel G.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eafood. J. Appl. Bacteriol. Environ. Microbiol. 76: 616-625 (1994) 

  19. Mah JH, Chang YH, Hwang HJ. Panenibacillus tyraminigenes sp. nov. isolated from myeolchi-jeotgal, a traditional Korean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Int. J. Food Microbiol. 127: 209-214 (2008) 

  20. Guan L, Cho KH, Lee JH. Analysis of the cultivable bacterial community in jeotgal, a Korean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and identification of its dominant bacteria. Food Microbiol. 28: 101-113 (2011) 

  21. Cho GS, Do CH, Bae CY, Cho GS, Whang CW, Sin HK. Candidate of probiotic bacteria isolated from several jeotgals: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s. J. Food Sci. Nutr. 11: 140-145 (2006) 

  22. Lee KW, Park JY, Sa HD, Jeong JH, Jin DE, Heo HJ, Kim JH. Probiotic properties of Pediococcus strains isolated from Jeotgals, salted and fermented Korean sea-food. Ananerobe 28: 199-206 (2014) 

  23. Lee NK, Noh JE, Choi GH, Park EJ, Chang HI, Yun CW, Kim SW, Kang CW, Yoon YC, Paik HD.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coccus lactis NK34 isolated form jeotgal. Food Sci. Biotechnol. 16: 843-847 (2007) 

  24. Allameh SK, Daud H, Yusoff FM, Saad CR, Ideris A.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s a new probiotic from intestine of snakehead fish (Channa striatus). Afr. J. Biotechnol. 11: 3810-3816 (2012) 

  25. Cho GS, Do HK.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a traditional Jeotgal product in Korea. Ocean Sci. J. 41: 113-119 (2006) 

  26. Sanchez B, Reyes-Gavilan CG, Margolles A. The $F_1F_0$ -ATPas of Bifidobacterium animalis is involves in bile tolerance. Environ. Microbiol. 8: 1825-1833 (2006) 

  27. Ljungh A, Wadstrom T. Lactoc acid bacteria as probiotics. Curr. Issues Intestinal Microbiol. 7: 73-90 (2006) 

  28. Begley M, Hill C, Gahan CGM. Bile salt hydrolase activity in probiotics. Appl. Environ. Microbiol. 72: 1729-1738 (2006) 

  29. Liong MT, Shah NP. Bile salt deconjugation ability, bile salt hydrolase activity and cholesterol co-precipitation ability of lactobacilli strains. Int. Dairy J. 15: 391-398 (2005) 

  30. Chen H, Hoover DG. Bacteriocins and their food applications. Compr. Rev. Food Sci. Food Saf. 2: 82-100 (2003) 

  31. Stevens KA, Sheldon BW, Klapes NA, Klaenhammer TR. Nisin treatment for inactivation of Salmonella species and other gramnegative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57: 3613-3615 (1991) 

  32. Munoz-Atienza E, Gomez-Sala B, Araujo C, Campanero C, De Campo R, Hernandez PE, Herranz C, Cintas LM. Antimicrobial activity,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virulence factors of lactic acid bacteria of aquatic origin intended for use as probiotics in aquaculture. BMC Microbiol. 13: 1-22 (2013) 

  33. Nanasombat S, Phunpruch S, Jaichalad T.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raw seafoods and Thai fermented seafood products for their potential use as starter cultures.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34: 255-262 (2012) 

  34. Buntin N, Chanthachum S, Hongpattarakere T. Screening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gastrointestinal tracts of marine fish for their potential use as probiotics.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30: 141-148 (2008) 

  35. Valenzuela AS, Benomar N, Abriouel H, Canamero MM, Galvez A.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nterococcus faecium from seafoods: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production of bacteriocin-like substances. Food Microbiol. 27: 955-961 (2010) 

  36. Bernardeau M, Vernouxx JP, Henri-Dubernet S, Gueguen M. Safety assessment of dairy microorganism: The Lactobacillus genus. Int. J. Food Microbiol. 126: 278-285 (2008) 

  37. Ogier JC, Serror P. Safety assessment of diary microorganisms: The Enterococcus genus. Int. J. Food Microbiol. 126: 291-301 (2008) 

  38. Rim EJ, Monia EB, Pilar CM, Karola B, Inmaculada CFN, Jorge BV, Balkiss BZ. In vitro probiotic profiling of novel Enterococcus faeci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from Tunisian freshwater fishes. Can. J. Microbiol. 62: 60-71 (2015) 

  39. Omar NB, Castro A, Lucas R, Abriouel H, Yousif NMK, Franz CMAP, Holzapfel WH, Perez-Pulido R, Martinez-Canamero M, Galvez A. Functional and safety aspects of enterococci isolated from different Spanish foods. System. Appl. Micriobiol. 27: 118-130 (2004) 

  40. Ryu EH, Chang HC. In vitro study of potentiall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Ann. Microbiol. 63: 1387-1395 (2013) 

  41. Vesterlund S, Vankerckhoven V, Saxelin M, Goossens H, Salminen S, Ouwehand AC. Safety assessment of Lactobacillus strains: Presence of putative risk factors in faecal, blood and probiotics isolates. Int. J. Food Microbiol. 116: 325-331 (2007) 

  42. Osmanagaoglu O, Kiran F, Ataoglu H. Evaluation of in vitro probiotic potential of Pediococcus pentosaceus OZF isolated from human breast milk. Probio. Antimicro. Prot. 2: 162-174 (2010) 

  43. Pereira CI, Barreto CMT, San Romao MV. Evidence for proteolytic activity and biogenic amines production in Lactobacillus curvatus and Lactobacillus homohiochii. Int. J. Food Microbiol. 68: 211-216 (2001) 

  44. O'Brien J, Crittenden R, Ouwhand AC, Salminen S. Safety evaluation of probiotics. Trends Food Sci. Technol. 10: 418-424 (1999) 

  45. Matamoros S, Pilet MF, Gigout F, Prevost H, Leroi F. Selection and evaluation of seafood-borne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as inhibitors of pathogenic and spoilage bacteria. Food Microbiol. 26: 638-644 (2009) 

  46. Yakabe T, Moore EL, Yokota S, Sui H, Nobuta Y, Fukao M, Palmer H, Yajima N. Safety assessment of Lactobacillus brevis KB290 as a probiotic strain. Food Chem. Toxicol. 47: 2450-2453 (2009) 

  47. Szabe NJ, Dolan LC, Burdock GA, Shibano T, Sato SI, Suzuki H, Uesugi T, Yamahira S, Toba M, Ueno H. Safety evaluation of Lactobacillus pentosus strain b240. Food Chem. Toxicol. 49: 251-25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