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에서 혈액 배양 오염과 관련된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Blood Culture Contamination in Neonates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2 no.3, 2015년, pp.147 - 153  

정민영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손옥성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홍유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오지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혈액 배양 오염률을 조사하고, 오염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830건의 혈액 배양 검사 결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혈액 배양 오염률과 채혈부위별 오염률을 조사하였고, 말초혈액 배양 시 오염 유무에 따른 임상적인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중 오염률은 3.6%였다. 채혈 부위별 오염률은 말초정맥 15.6%, 말초동맥 2.6%, 배꼽동맥 도관 0%였다. 실명제가 시행되지 않았던 기간의 오염률은 2.7% (4/149), 시행 기간에는 4.4% (25/573)로 오염률의 차이가 없었다(P=0.484). 시술자별 오염률은 0-11.1%로 시술자간 차이가 있었다(P=0.038). 채혈 시 몸무게가 1,000 g 미만인 경우 오염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결론: 몸무게가 적은 미숙아에서 혈액 배양 오염률이 더 높을 수 있으므로 채혈 방법에 주의가 필요하며, 오염률이 높은 시술자를 관리해야 한다. 신생아에서 혈액 배양 오염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자들을 파악하고 실제 임상에서 적용하기 위한 전향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rates of blood culture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nd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contamination. Methods: Eight hundred thirty cases of blood culture performed from March 2013 to February 2014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균혈증은 혈액에서 균이 동정되면서 발열, 말초혈액 백혈구 증가 혹은 감소, 띠중성구 증가, C-반응성 단백의 증가, 무호흡 혹은 저혈압과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이므로 균이 동정된 환자에서 그 세균이 오염균인지 균혈증의 원인 병원체인지 여부는 의무기록에 있는 임상적인 상황과 항균제 사용유무를 확인하여 판단하였다. 혈액에서 균이 동정되었으나 균혈증을 의심할 만한 임상증상이 없고, 항균제 사용이 필요하지 않았던 경우 오염으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저자들은 단일 기관 신생아 중환자실의 혈액 배양 오염률을 확인하였고, 혈액 배양 오염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오염률이 높은 시술자들에 대한 관리와 체중이 적은 미숙아에서 채혈 방법의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혈액 배양 오염률을 조사하고, 오염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액 배양 오염률을 줄이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혈액 배양 오염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에는 혈액 배양 지침을 교육하고 순응도를 높이는 것4), 채혈 시 도관을 이용하기 보다는 말초정맥을 천자하는 것5,6), 채혈 시 멸균 장갑을 사용하고7) 혈액 배양병 뚜껑을 소독하는 것8), 채혈 후 다른 튜브에 혈액을 담기 전에 먼저 혈액 배양병에 접종하는 것, 채혈을 전담하는 인력을 따로 구성하는 것9,10), 오염률을 모니터링하는 것11,12), 그리고 오염 결과를 확인한 경우 시술자에게 개인적으로 피드백하거나 재교육을 하는 것이 있다13,14).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소아 대상의 연구는 그 수가 적다.
혈액 배양 오염으로 인해 어떤 비용이 발생하는가? 혈액 배양은 균혈증 혹은 진균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진단을 위해 시행하는 여러가지 검사들 중 가장 중요하며, 이 환자들에게 적절하고 효과적인 처치를 하기 위하여 정확한 혈액 배양검사 결과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혈액 배양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 환자에게 불필요한 치료를 할수도 있고 추적 검사를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며, 입원기간이 증가한다. 또한 소아에서는 채혈 자체가 환자에게 고통을 주고 시술자에게도 수고가 따르므로, 혈액 배양 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중요하다.
나이가 어린 소아가 오염률이 높게 나타나는 원인으로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가? 소아를 대상으로 한 국내 단일 기관의 혈액 배양 오염률 조사에서 연령을 1세 미만, 1-6세, 6세 초과한 연령으로 구분하여 비교했을 때 나이가 어린 소아일수록 오염률이 높았다고 보고하였다20). 본 연구의 경우 신생아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입원 기간이 긴 경우가 많아서 나이를 기준으로 오염률을 비교하지는 않았으나, 신생아의 경우 체중이 적을수록 채혈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채혈 당시 체중이 1,000 g 미만인 환자는 정맥혈 채혈을 한 경우가 많아서 체중이 적은 환자들의 오염률이 높게 나타났을 수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결과를 해석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ron EJ, Weinstein MP, Dunne WM Jr, Yagupsky P, Welch DF, Wilson DM. Cumitech 1C: Blood Cultures IV. Washington DC: ASM Press 2005. 

  2.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blood culture. Approved guideline. Document M47-A. Wayne, PA: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07. 

  3. Snyder SR, Favoretto AM, Baetz RA, Derzon JH, Madison BM, Mass D, et al. Effectiveness of practices to reduce blood culture contamination: a Laboratory Medicine Best Practic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 Biochem 2012;45: 999-1011. 

  4. Lin CM, Lee WS, Lin FY, Yu FL, Ou TY, Teng SO. Reducing blood culture contamination rates by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one-on-one feedback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 Exp Clin Med 2012;4:154-6. 

  5. Self WH, Speroff T, McNaughton CD, Wright PW, Miller G, Johnson JG, et al. Blood culture collection through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s increases the risk of specimen contamination among adult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12;33:524-6. 

  6. Stohl S, Benenson S, Sviri S, Avidan A, Block C, Sprung CL, et al. Blood cultures at central line inser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comparison with peripheral venipuncture. J Clin Microbiol 2011;49:2398-403. 

  7. Kim NH, Kim M, Lee S, Yun NR, Kim KH, Park SW, et al. Effect of routine sterile gloving on contamination rates in blood culture: a cluster randomized trial. Ann Intern Med 2011;154:145-51. 

  8. Schifman RB, Strand CL, Meier FA, Howanitz PJ. Blood culture contamination: a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Q-Probes study involving 640 institutions and 497134 specimens from adult patients. Arch Pathol Lab Med 1998;122: 216-21. 

  9. Gander RM, Byrd L, DeCrescenzo M, Hirany S, Bowen M, Baughman J. Impact of blood cultures drawn by phlebotomy on contamination rates and health care costs in a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J Clin Microbiol 2009;47:1021-4. 

  10. Weightman NC, Kerr KG. Blood culture contamination: having your cake and eating it. J Hosp Infect 2012;80:101-2. 

  11. Hopkins K, Huynh S, McNary C, Walker A, Nixon R, Craighead JE. Reducing blood culture contamination rates: a systematic approach to improving quality of care. Am J Infect Control 2013;41:1272-4. 

  12. Harding AD, Bollinger S. Reducing blood culture contamination rat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 Emerg Nurs 2013;39:e1-e6. 

  13. Dawson S. Blood culture contaminants. J Hosp Infect 2014; 87:1-10. 

  14. Youssef D, Shams W, Bailey B, O'Neil TJ, Al-Abbadi MA. Effective strategy for decreasing blood culture contamination rates: the experience of a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re. J Hosp Infect 2012;81:288-91. 

  15. Hall KK, Lyman JA. Updated review of blood culture contamination. Clin Microbiol Rev 2006;19:788-802. 

  16.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taphylococcal Infections. In: Pickering LK, Baker CJ, Kimberlin DW, Long SS, eds. Red $Book^{(R)}$ : 2012 Report of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12; 653-68. 

  17. Kerur B, Salvador A, Arbeter A, Schutzman DL. Neonatal blood cultures: survey of neonatologists' practices. World J Pediatr 2012;8:260-2. 

  18. Weinstein MP. Current blood culture methods and systems: clinical concepts, technology,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Clin Infect Dis 1996;23:40-6. 

  19. Pavlovsky M, Press J, Peled N, Yagupsky P. Blood culture contamination in pediatric patients: young children and young doctors. Pediatr Infect Dis J 2006;25:611-4. 

  20. Min H, Park CS, Kim DS, Kim KH. Blood culture contamination in hospitalized pediatric patients: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Korean J Pediatr 2014;57:178-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