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당귀의 무기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및 지방산 함량 특성
Characterization of Inorganic Components, Free Sugar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in Angelica gigas Nakai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3 no.6, 2015년, pp.454 - 459  

길현영 (강릉과학산업진흥원) ,  성은수 (강원대학교 한방바이오연구소) ,  심재만 (강릉과학산업진흥원) ,  최선강 (강원대학교 농생명산업학과) ,  허권 (강원대학교 바이오컨버전스공학과) ,  유창연 (강원대학교 바이오컨버전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The major compounds of Angelica species are decursin, decursinol angelate, nodakenin, umbelliferone and ${\beta}$-sitosterol, which act anti-inflammatories, reduce pains, protect the liver and enhance the immune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s, min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당귀는 최근 들어 수요가 증가되면서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으나, 국내 참당귀에 대한 이화학적 성분 특성을 자세히 보고된 것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당귀 추출물을 이용하여 일반성분과 영양학적 성분 분석을 통해 참당귀의 품질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 기능성식품 개발의 기본 데이터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당귀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당귀 (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산을 당귀, 문귀, 건귀, 대근, 상마, 지선원으로 칭하며, 일본산을 왜당귀, 한국산을 참당귀, 토당귀 (土當歸), 승검초, 조선당귀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당귀란 참당귀의 뿌리를 말하며, 약용으로 이용한 역사는 2000년 이상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Ahn et al., 1996b).
당귀가 지니는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당귀의 대표적인 성분은 coumarin계의 decursin, decursinolangelate와 nodakenin, umbelliferon, β-sitosterol 등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뿌리 추출물에는 decursins과 decursinol당귀의 대표적인 성분은 coumarin계의 decursin, decursinolangelate와 nodakenin, umbelliferon, β-sitosterol 등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뿌리 추출물에는 decursins과 decursinolangelate가 약 90%의 매우 높은 농도를 함유하며, 항산화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Ahn et al., 1996a; Kanget al.
당귀는 어디에 속하며 중국산과 일본산은 어떻게 부르는가? 당귀 (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산을 당귀, 문귀, 건귀, 대근, 상마, 지선원으로 칭하며, 일본산을 왜당귀, 한국산을 참당귀, 토당귀 (土當歸), 승검초, 조선당귀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당귀란 참당귀의 뿌리를 말하며, 약용으로 이용한 역사는 2000년 이상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Ah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KS, Sim WS and Kim IH. (1996a). Decursin: A cytotoxic agent and protein kinase C activator from the root of Angelica gigas. Planta Medica. 62:7-9. 

  2. Ahn KS, Sim WS, Kim HM, Han SB and Kim IH. (1996b). Immunostimulating components from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7:254-261. 

  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31. 

  4. Hwang JB and Yang MO. (1997). Comparison of chemical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Technology. 29:1113-1118. 

  5. Jeong HS, Han JG, Ha JH, Kim Y, Oh SH, Kim SS, Jeong MH, Choi GP, Park UY and Lee HY. (2009).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Ephedra sinica, Angelica gigas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102-108. 

  6. Kang YG, Lee JH, Chae HJ, Kim DH, Lee SH and Park SY. (2003). HPLC analysis and extraction methods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n Angelica gigas root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4:201-205. 

  7. Kim HS and Joung SW. (2006). Effective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root and leaves a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ournal of Food Cookery Science. 22:957-965. 

  8. Kim JH, Kim DH, You JH, Kim CH, Kwon MC, Seong NS, Lee SE and Lee HY. (2005). Immunoregulatory activities of various fractions from Ehpedrae sinica STAPF, Rubus coreanus Miq. and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with ultrasonifi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3:161-170. 

  9. Kohen R. (1999). Skin antioxidant: Their role in aging and in oxidative stress new approaches for their evaluation. Biomedicine and Pharmacotherapy. 53:181-192. 

  10.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KFDA). (2005).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Seoul, Korea. p.367-385. 

  11. Lee JJ, Kim AR, Seo YN and Lee MY. (2009).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three species of genus Angelica. Korean Journal Food Preservation. 16:94-100. 

  12. Oh SL, Kim SS, Min BY and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2:76-81. 

  13. Park JH, Lee JY and Keon SJ. (2005).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dang gui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6:141-144. 

  14. Park KW and Ryu KO. (2000). Functional vegetable(in Korea). Herb World Press. Seoul, Korea. p.8-23. 

  15. Shallenberger RS. (1993). Taste chemistry. Chapman and Hall. London, England. p.226-252. 

  16. Sung JS, Bang KH, Park CH, Park CG, Yu HS, Park HW and Seong NS. (2004). Discrimination of Angelicae radix based on anatomical character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67-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