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MF 모델을 이용한 경산지역 PM2.5의 오염원 기여도 추정
Source Apportionment of PM2.5 in Gyeongsan Using the PMF Model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1 no.6, 2015년, pp.508 - 519  

정영진 (대구대학교 환경공학과) ,  황인조 (대구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estimate $PM_{2.5}$ source contribution in Gyeongsan. Ambient $PM_{2.5}$ samples have been collected on zefluor, quartz and nylasorb filter by $PM_{2.5}$ samplers of cyclone method from September 2010 to December 201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양행렬 인자분석(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MF) 모델을 이용하여 오염원의 정량적 기여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PMF 모델링에 의해 얻어진 기여도 자료와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CPF (conditional probability function) 모델을 이용하여 지역규모 오염원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0년 9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경북 경산시의 대구대학교 옥상에서 채취한 초미세먼지 (PM2.5) 자료를 이용하여 본 연구지역에 존재하는 각 오염원의 파악 및 각 오염원의 정량적 기여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PMF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CPF 모델을 적용하여 지역규모의 오염원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대기오염현상이 야기된 원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1960년대 경제성장 위주의 정책을 추진 하여 각종 산업시설의 증가,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 도시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해 야기된 대기오염현상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대기오염현상은 시정장애, 산성비 등 인간의 건강 및 복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내에서 대기오염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용모델은, 무엇이 있는가? , 2008a). 국내의 경우는 1990년대를 기점으로 수용모델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는 CMB 모델과 PMF 모델이 주로 사용되면서 입자상 오염물질의 오염원 기여도 평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CMB를 이용한 여수산단의 VOC 의 기여도 추정 연구(Jeon et al.
대기오염현상이 미치는 악영향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1960년대 경제성장 위주의 정책을 추진 하여 각종 산업시설의 증가,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 도시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해 야기된 대기오염현상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대기오염현상은 시정장애, 산성비 등 인간의 건강 및 복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과거 50년간 대기질 개선을 위해 환경관련 법규 개정, 배출허용기준 설정, 청정연료 사용의무제도 등의 노력으로 일부 대기오염물질(criteria air pollutants)의 농도는 환경기준을 만족하는 수준까지 감소하였다(Kim, 2013;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lis, C.A., F. Karagulian, B.R. Larsen, and P.K. Hopke (2013) Critical review and meta-analysis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 source apportionment using receptor models in Europe, Atmos. Environ., 69, 94-108. 

  2. Chow, J.C. (1995) Measurement methods to determine compliance with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for suspended particles, J. Air Waste Manage. Assoc., 45(5), 320-382. 

  3. Dockery, D.W. and P.H. Stone (2007) Cardiovascular risks from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6(5), 511-513. 

  4. Harrison, R.M., D.C.S. Beddows, L. Hu, and J. Yin (2012) Comparison of methods for evaluation of wood smoke and estimation of UK ambient concentrations, Atmos. Chem. Phys., 12(17), 8271-8283. 

  5. Huntzicker, J.J., R.L. Johnson, J.J. Shah, and R.A. Cary (1982) Analysis of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in ambient aerosols by a thermal optical method, In Particulate Carbon (pp. 79-88). Springer US. 

  6. Hwang, I.J. (2010) Source Identification and Estimation of Source Apportionment of Ambient $PM_{2.5}$ at Western National Park Site in US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6(1), 21-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wang, I.J. and D.S. Kim (2003) Source Identification of AmbientPM-10 Using the PMF model, J. Korean Soc. Atmos. Environ., 19(6), 701-7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wang, I.J. and D.S. Kim (2013) Research Trends of Receptor Model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Air Quality Management,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4), 459-4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wang, I.J. and P.K. Hopke (2007) Estimation of source apportionment and potential source locations of $PM_{2.5}$ at a west coastal IMPROVE site, Atmos. Environ., 41, 506-518. 

  10. Hwang, I.J., D.S. Kim, and P.K. Hopke (2008a) Estimation of Source Apportionment of Ambient $PM_{2.5}$ at Western Coastal IMPROVE Site in US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4(1), 30-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Hwang, I.J., P.K. Hopke, and J.P. Pinto (2008b) Source apportionment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coarse particles during the Regional Air Pollution Study, Environ. Sci. Technol., 42, 3524-3530. 

  12. Hwang, I.J., Y.H. Cho, W.G. Choi, H.M. Lee, and T.O. Kim (2008c) Quantitative estimation of $PM_{10}$ source contribution in Gumi city by the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model, J. Korean Soc. Atmos. Environ., 24(1), 100-1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eon, J.M., D. Hur, and D.S. Kim (2005) Development of source profiles and estimation of source contribution for VOCs by the chemical mass balance model in the Yeosu Petrochemical Industrial Complex, J. Korean Soc. Atmos. Environ., 21(1), 83-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D.S. (2013) Air Pollution History, Regulatory Changes, and Remedial measures of the Current Regulatory Regimes in Ko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4), 353-3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E. and P.K. Hopke (2004) Source apportionment of fine particles in Washington, DC, utilizing temperature-resolved carbon fractions, J. Air Waste Manage. Assoc., 54(7), 773-785. 

  16. Lee, H.S., C.M. Kang, B.W. Kang, and S.K. Lee (2005) A study on the $PM_{2.5}$ sourc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Seoul area using a chemical mass balance receptor model, J. Korean Soc. Atmos. Environ., 21(3), 329-3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H.W., T.J. Lee, S.S. Yang, and D.S. Kim (2008) Identification of Atmospheric $PM_{10}$ Sources and Estimating Their Contributions to the Yongin-Suwon Bordering Aera by Using PMF, J. Korean Soc. Atmos. Environ., 24(4), 439-4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T.J., J.B. Hur, S.M. Yi, S.D. Kim, and D.S. Kim (2009) Estimation of $PM_{10}$ source contributions on three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by using PMF model, J. Korean Soc. Atmos. Environ., 25(4), 275-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Moon, K.J., J.S. Han, B.J. Kong, I.R. Jung, S.S. Cliff, T.A. Cahill, and K.D. Perry (2006) Size-resolved source apportionment of ambient particles by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at Gosan, Jeju Island during ACE-Asi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2(5), 590-6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Oh, M.S., T.J. Lee, and D.S. Kim (2011) Quantitative source apportionment of size-segregated particulate matter at urbanized local site in Korea, Aerosol and Air Quality Research, 11, 247-264. 

  21. Paatero, P. (1997) Least squares formulation of robust nonnegative factor analysis, Chemom. Intell. Lab. Syst., 37(1), 23-35. 

  22. Polissar, A.V., P.K. Hopke, P. Paatero, W.C. Malm, and J.F. Sisler (1998) Atmospheric aerosol over Alaska: 2. Elemental composition and sources, J.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03(D15), 19045-19057. 

  23. Sahu, M., S. Hu, P.H. Ryan, G.L. Masters, S.A. Grinshpun, J.C. Chow, and P. Biswas (2011) Chemical compositions and source identification of $PM_{2.5}$ aerosols for estimation of a diesel source surrogate, Science Total Environ., 409(13), 2642-2651. 

  24. Shin, S.A., J.S. Han, and S.D. Kim (2006) Source apportionment and the origin of Asian dust observed in Korea by receptor modeling (CMB), J. Korean Soc. Atmos. Environ., 22(2), 157-1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Taiwo, A.M., R.M. Harrison, and Z. Shi (2014) A review of receptor modelling of industrially emitted particulate matter, Atmos. Environ., 97, 109-120. 

  26. Wang, Y., P.K. Hopke, X. Xia, O.V. Rattigan, D.C. Chalupa, and M.J. Utell (2012) Source apportionment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using inorganic and organic species as tracers, Atmos. Environ., 55, 525-532. 

  27. Watson, J.G., A.L.W. Chen, J.C. Chow, P. Doraiswamy, and D.H. Lowenthal (2008) Source apportionment: findings from the US supersites program, J. Air Waste Manage. Assoc., 58(2), 265-288. 

  28. Yi, S.M. and I.J. Hwang (2014) Source Identification and Estimation of Source Apportionment for Ambient $PM_{10}$ in Seoul, Korea, Asian J. Atmos. Environ., 8(3), 115-125. 

  29. Zhang, X., A. Hecobian, M. Zheng, N.H. Frank, and R.J. Weber (2010) Biomass burning impact on $PM_{2.5}$ over the southeastern US during 2007: integrating chemically speciated FRM filter measurements, MODIS fire counts and PMF analysis, Atmos. Chem. Phys., 10(14), 6839-6853. 

  30. Zhao, W. and P.K. Hopke (2004) Source apportionment for ambient particles in the San Gorgonio wilderness, Atmos. Environ., 38(35), 5901-59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