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MF 모델을 이용한 도심지역 PM2.5 오염원 기여도 분석
The PM2.5 Emission Source Contribution Analysis using The PMF Model in Urban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3, 2019년, pp.905 - 914  

구태완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  홍민선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  문수호 (다산지역발전연구원) ,  김호정 (다산지역발전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MF 모델을 이용하여 $PM_{2.5}$에 대한 오염원 확인 및 오염원별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A시의 배출원별 기여도 순위는 Secondary Sulfate가 19.8%로 가장 기여도가 높고, 그 다음으로는 Mobile 19.5%, Industry 16.0%, Biomass Buring 14.1%, Secondary Nitrate 14.1%, Oil Combustion 11.6%, Aged Sea Salt 2.6%, Soil 2.5% 등으로 분석되었다. Sulfate와 Ammonium 농도가 배출원별 프로파일에서 기여도가 가장 높은 오염원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대기 중에서 가스상 전구물질(SOx와 암모니아 가스)이 광화학 반응하여 생성된 2차 에어로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MF model was used to identify pollutant sources and their contribution to pollution sources of $PM_{2.5}$. The contribution of A city to each source was 19.8% for Secondary Sulfate, followed by Mobile 19.5%, Industry 16.0%, Biomass Buring 14.1%, Secondary Nitrate 14.1%...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F 모델을 이용하여 PM2.5에 대한 오염원 확인 및 오염원별 기여도를 평가하고, 지역적 특성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수준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대응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의 PM2.
  • 5에 대한 오염원 확인 및 오염원별 기여도를 평가하고, 지역적 특성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수준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대응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의 PM2.5에 대한 배출원 관리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용모델은 무엇인가? 수용모델은 수용체(Receptor)에서 오염원에 의하여 파급된 오염물질의 정도를 파악하여 그 영향을 주는 오염원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모델이다[5]. 수용모델은 수십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검증되었고,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PM10 및 PM2.
자동차배출 오염원으로 배출되는 원소는 무엇이고, 어떤 과정에서 배출되는가? 휘발유 차량에 비해 디젤 차량에서 미량원소가 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Zn, Ba, Cu 등은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와 오일 첨가제 등에서 배출되고, Cu와 Fe는 브레이크 패드 또는 자동차 머플러 등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배출 오염원의 PM2.
PM2.5는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그 중에서도 각종 산업활동 및 자동차 등 인위적인 오염원으로부터 주로 발생하는 PM2.5는 대기 중에서 제거가 어렵고,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폐포까지 침투하여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PM2.5에 노출되면 호흡기계 및 심혈관계 관련 질환으로 인한 입원 증가뿐 아니라 사망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 W. Han,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Particle Matter in Busan and Daegu. Busan University(Master thesis)", (2014). 

  2. J. C. Ko, K. W. Ryu, I. G. Park,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PM10 and PM2.5 in industrial complex using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J. KSET, Vol.19, No.4 pp. 366-374, (2018). 

  3. B. H. Kim, D. S. Kim,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behaviors of ambient PM2.5 and PM10 in Suwon area", J. KOSAE, Vol.16, No.2 pp. 89-101, (2000). 

  4. G. H. Park, W. G. Do, E. C. Yoo, "Reduction of air pollutants through facility improvement of bus platform and risk assessment", The annual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Vol.20, No.1 pp. 163-175, (2011). 

  5. E. J. Park, M. S. Kang, D. E. You, D. S. Kim, S. D. Yu, K. Chung, K. Park, "Health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fine particles collec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Toxicology, Vol.20, No.2 pp. 179-186, (2005). 

  6. GIHE,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Gyeonggi-do 2016", Gyeonggi-do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2017). 

  7. Y. Jeong, I. Hwang, "Source Apportionment of PM2.5 in Gyeongsan Using the PMF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31, No.6 pp. 508-519, (2015). 

  8. K. J. Moon, J. S. Han, B. J. Kong, I. R. Jung, S. S. Cliff, T. A. Cahill, and K. D. Perry "Size-resolved source apportionment of ambient particles by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at Gosan, Jeju Island during ACE-Asia", J. Korean Soc. Atmos. Environ., Vol.22, No.5 pp. 590-603, (2006). 

  9. I. J. Hwang, Y. H. Cho, W. G. Choi, H. M. Lee, and T. O. Kim, "Quantitative estimation of $PM_{10}$ source contribution in Gumi city by the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model", J. Korean Soc. Atmos. Environ., Vol.24, No.1 pp. 100-107, (2008). 

  10. S. M. Yi, I. J. Hwang, "Source Identification and Estimation of Source Apportionment for Ambient $PM_{2.5}$ in Seoul, Korea", Asian J. Atmos. Environ., Vol.8, No.3 pp. 115-125, (2014). 

  11. E. J. Kim, C. G. Lee, J. H. Kim, Y. K. Park, "Evaluation of Enviromental Benefit and Cost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Based on Fine Dust Pollution on Donghae Harbor]",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29, No.4 pp. 561-569, (2012). 

  12. J. H. Kim, Y. K. Park, "Fine dust(PM10) emission calculated of Dong-Hae harbor around area using inverse modeling technique",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32, No.4 pp. 649-660, (2015). 

  13. I. Hwang, D. Kim, "Research Trends of Receptor Model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Improvement Directionsfor Air Quality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29, No.4 pp. 459-476, (2013). 

  14. H. W. Lee, T. J. Lee, S. S. Yang, D. S. Kim, "Identification of atmospheric PM10 sources and estimating their contributions to the Yongin-Suwon bordering area by using PMF",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24, No.4 pp. 439-454, (2008). 

  15. I. Hwang, D. Kim, "Source identification of ambient PM-10 using the PMF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19, No.6 pp. 701-717, (2003). 

  16. P. Paatero, "User's Guide for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rograms PMF2 and PMF3, Part 1: Tutorial; 2000", (2000). 

  17. E. Lee, C. K. Chan, P. Paatero, "Application of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in source apportionment of particulate pollutants in Hong Kong", Atmospheric Environment, Vol.33, No.19 pp. 3201-3212, (1999). 

  18. B. Liu, J. Yang, J. Yuan, J. Wang, Q. Dai, T. Li, X, Bi, Y. Feng, Z. Xiao, Y. Zhang, "Source apportionment of atmospheric pollutants based on the online data by using PMF and ME2 models at a megacity, China", Atmospheric Research, Vol.185, pp. 22-31, (2017). 

  19. J. H. Tan, J. C. Duan, F. H. Chai, K. B. He, J. M. Hao, "Source apportionment of size segregated fine/ultrafine particle by PMF in Beijing", Atmospheric Research, Vol.139, pp. 90-100,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